Strategies for Improving Agricultural ICT Literacy

농업정보화를 위한 농업인 ICT리터러시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Yu, Byeong-Min;Kim, Su-Wook;Park, Sung-Youl;Park, Hye-Jin;Lee, Eun-Jin
유병민;김수욱;박성열;박혜진;이은진

  • Published : 2009120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agricultural ICT literacy considered the one of factors that could rise the life quality and enlarge the economical value of agriculture. In order to figure out its problems, the current situation was analyzed by literature review and by professional meetings with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Information Servi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measurement of Agricultural ICT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purposes and features of agricultural ICT educational programs. Agricultural ICT should be useable in their life and should reflect the ICT educational programs. The primary approach to enhance ICT in rural area is expanding the connectivity to ICT. The ICT centers in rural area and non-governmental companies could be helpful to expand ICT to rural people and to improve their ICT skills. The ICT programs should be divided more specifically and be developed based on the needs of skills and knowledge that could be applied their real life.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ICT programs should be improved by standard educational materials from novice to profession-levels. The ICT measurement should reflect the current situation of rural area and it could expand and extend the knowledge of rural people. Improving ICT level of rural people is so important to guarantee the life in rural area that IC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ir need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인 ICT리터러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업인 ICT리터러시 제고방안을 수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농업인 ICT리터러시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또한 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의 농업인 교육 담당자와 전문가 자문 및 협의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ICT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수행분석과 근본원인을 토대로 지식정보사회에서의 농업인 ICT리터러시 제고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정보화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인 정보접근기회(환경적인 문제)의 추가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정보접근기회의 확대는 정보화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 내 정보화센터의 역할이 농업인의 계층적 정보격차의 실태를 조사하여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필요하며, 민간기업의 기술적 노력을 함께 병행하여 정보접근격차를 함께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농업인 정보화교육과정을 계층별, 연령별, 수준별로 철저히 세분화하고, 현장위주로 농업인들의 요구에 맞게 설계되어야 하고, 교육내용의 일상생활에서 수요가 높고 활용이 용이한 분야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교육내용을 담은 표준화된 교재를 제작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정보 활용의 기회와 연습의 기회를 부여하여 지식정보화시대에 맞춘 ICT를 어떻게 지식생산성 향상에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 넷째, ICT리터러시를 측정할 수있는 측정도구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궁극적으로 ICT를 활용하여 농업인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에 장애가 되기 때문에 ICT리터러시의 정확한 측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농업인들에게 필요한 가장 중요한 것은 점점 더 발달해 가는 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과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사화와 환경의 변화를 인식하여 농업인들에게도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을 접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 교육이 마련되어야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구. (2008). 농촌정보화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 (2000).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서울: 저자
  3. 교육인적자원부. (2005). 초${\cdot}$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개정안 및 해설서. 서울: 저자
  4. 김규일, 이동수. (2001). 정보화에 따른 한국사회의 정보격차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12(2), 315-333
  5. 김문조. (2008). 통신정책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연구.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6. 김수욱, 박성열, 깁학섭. (2003).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ICT 활용을 위한 농촌지도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 35(4), 99-114
  7. 김영미. (2001). 인터넷과 여성, 그리고 정보격차.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4(1), 65-81
  8. 김종길. (2001). 신기술 확산에 따른 기술사회적 역기능의 전개과정 및 대응전략. 과학기술학연구, 1(1), 235-259
  9. 김혜숙. (2006). 미국 ETS의 ICT리터러시 평가 현황 및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0. 나일주. (1997). 산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1. 민경석, 서순식. (2009).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의 수직 척도화.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3), 1-19
  12. 박성열. (2005). 교사의 컴퓨터 리터러시와 LISREL 구조모형 분석: 실업계 고교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2), 73-87
  13. 방민석. (2004). 전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방안. 지역개발논집, 15, 84-106
  14. 서순식, 민경석, 황경현, 장윤정, 김혜숙. (2009).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25(3), 193-220
  15. 유인환. (2000). ICT 문제해결과정의 통합에 기반한 정보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경희. (2002). 지식정보화사회에 있어서 ICT활용을 위한 교수전략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5(1), 1-16
  17. 이명진, 박기태. (2009). 정보격차 연구의 쟁점 변화와 그 함의. 정보화정책, 16(3), 3-17
  18. 이명진, 배영. (2008).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소비자 문제의 특징과 그 함의. 정보화정책, 15(2), 62-76
  19. 이태욱. (2001). ICT 교육론. 서울: 형설출판사
  20. 전수진, 한선관, 이철환. (2003). 교사 ICT 활용 기준의 표준에 관한 통계 연구. 한국스쿨넷학회학술발표 논문집, 29-40
  21. 정재삼. (2008). 수행공학의 이해: 기업교육 리엔지니어링의 틀. 서울: 교육과학사
  22. 최두진. (2002). 우리나라 정보격차의 특성 및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과제.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서울
  23. 최문경, 윤영민. (1998). 정보능력의 성별 격차.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 68-98
  24. 최정임. (2006).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가이드. 서울: 학지사
  2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1). 초${\cdot}$중등학생 ICT 활용 능력 기준 및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KR 2001-20
  26. 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 (2008). 농업인 ICT리터러시(Literacy) 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 저자
  27. 한국정보화진흥원. (2008). 2008 농업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Retrieved from http://www.nia.or.kr/index.aspx?PortalID=ko&MenuID=090727173118310051&tem plate=Default&control=View.ascx&seq=17045&idx=1
  28. 황진구. (2004). 소외계층 청소년의 정보격차 현황과 해소방안. 정보격차 이슈리포트, 1(4), 1-41
  29.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001). Digital transformation: A framework for ICT literacy. Retrieved from http://www.etsliteracy.org/Media/Tests/Information_and_Communication_Technology_Literacy/ictreport.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