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usic jump roping on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itness of obes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음악줄넘기 활동이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활동량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Kwon, Hyun-Jin;Chung, Jin-Wook;Yang, Han-Nah;Kim, Yeon-Soo
권현진;정진욱;양한나;김연수

  • Published : 200905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jump roping on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itness of obes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18 boys age between 9 to 13 years old with mental retardation who are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tivity group(n=9), control group(n=9).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by accelerometer. BPFT(Brockport Physical Fitness Test) was use to evaluate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and Inbody3.0 was used for body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8 weeks of jump roping activity. The activity group exercised jump roping for 8 weeks(2 sessions/wk, 90min/s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and post hoc was conducted. Significant level was p<.05. As a result, music jump rop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physical activity,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decreased %body fat of obes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줄넘기활동이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활동량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비만 지적 장애 남자아동(9세$\sim$13세) 18명으로,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사전에 부모의 동의를 얻은 후 아동의 체격 검사 및 면담을 실시하여 연구 대상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었다. 그리고 예비조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본 실험에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8주간 실시하였으며, 주 2회, 매회 90분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사전과 사후에 각각 신체활동량과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유연성, 체지방률의 체력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alpha$=.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 신체활동량,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유연성에서 유의한 향상과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음악줄넘기 활동은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활동량과 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성, 배문엽(2001). 초등학생 일상생활의 신체활동량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1), 59-72
  2. 김덕진(2005). 조깅운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조성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3. 김명식(2001). 정신지체 학생의 거주별 및 장애정도별 비만도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4. 김성찬(2006). 건강교육. 제주: 온누리
  5. 김은경(2004). 장애 아동의 성장발달 및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연구. 보건의료기술 연구 개발사업 최종보고서
  6. 김의수(2003). 장애아동 체육교실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무지개사
  7. 김종원, 임인아(2006). 줄넘기 운동이 정상체중과 과체중 여중생의 건강관련 체력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17(1), 373-382
  8. 김춘득(2005). 강도별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9. 김혜진(2006). 초등학생의 비만수준별 가속도계를 이용한 신체활동 평가.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10. 남기수(1990). 줄넘기 운동이 운동 능력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1. 대한비만학회(2001). 임상비만학. 서울: 고려의학
  12. 박찬교(1996). 줄넘기운동 프로그램 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3. 서길종(2004). 지속적인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기초체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14. 안홍석(1996). 어린이 비만과 대책. 농촌진흥청 생활과학, 63-67
  15. 오정숙(1999). 생활중심 전환교육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16. 이상원, 김재우, 김영택, 정성혜, 김연수(2007). 한국 중,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유형별 참여정도와 비만과의 관계.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5(2), 151-158
  17. 이유진(2000). 음악활동이 정신지체청소년의 사회생활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8. 이범진(2007).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학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5(3), 167-181
  19. 이성민, 양점홍, 김수진, 전영남(2005). 초등학교 정상아와 비만아의 건강관련체력과 신체활동량의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4(6), 1185-1193
  20. 장명숙(2004).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기초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1. 조인수(1995). 주의집중과 정신지체, 정신지체아의 심리학적 이해. 서울: 특수교육
  22. 최대혁(2004). 줄넘기 운동형태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대사적 변화. 운동과학, 13(1), 25-33
  23. 최중옥, 하정화(2002).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조정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4(1), 35-55
  24.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1994). 특수체육총론. 서울: 태근문화사
  25. 한민규(2002). 정신지체아의 장애정도별 형태학적 특성.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0(2), 73-80
  26. 허윤종(2003). 지속적인 줄넘기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들의 체지방율과 혈청지질 및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육대학원
  27. 홍양자(1996). 장애인을 위한 특수체육. 서울: 21세기교육사
  28. ACSM(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lkins
  29. Baumgartner, T. A., & Horvat, M. (1991). Reliability of field based cardiovascular fitness running test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8(2), 107-114
  30. Eichstaedt, C. B., Polacek, J. J., Wang, P. Y., & Dohrmann, P. F. (1991). Physical fitness and motor skill level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Mild, moderate, and Down syndrome. Normal: Illinois State University Printing Services
  31. Eizo, T. (1994). Incidence of Obesity Among School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Japa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5, 283-288
  32. Fernhall, B. (1993).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training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3(4), 442-450
  33. Fernhall, B., Pitetti, K., Vukovich, M., Stubbs, N., Hensen, T., Winnick, J., & Short, F. (1998). Validation of cardiovascular fitness field tests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2, 602-612 https://doi.org/10.1352/0895-8017(1998)102<0602:VOCFFT>2.0.CO;2
  34. Hulens, M., Vansant, G., Lysens, R., Claessens, A. L., & Muls, E. (2001). Exercise capacity in lean versus obese women.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11(5), 305-309 https://doi.org/10.1034/j.1600-0838.2001.110509.x
  35.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2004).http://www.iotf.org/
  36. Janz, K. F. (1994). Validation of the CSA accelerometer for assessing children's physical activity. Med Sci Sports Exerc., 26, 369-375
  37. Kerr, R., & Hughes, K. (1987). Movement difficulty and learning disabled children.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4, 72-79
  38. Kim, E. S., Im, J. A., Kim, K. C., Park, J. H., Suh, S. H., Kang, E. S., Kim, S. H., Jekal, Y., Lee, C. W., Yoon, Y. J., Lee, H. C., & Jeon, J. Y.(2007).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and adiponectin level after exercise training in obese Korean youth. Obesity, 15(12), 3023-3030 https://doi.org/10.1038/oby.2007.360
  39. Lobstein, T., Baur, L., & Uauy, R. (2004). Obesity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crisis in public health. Obesity review, 5(1), 4-85 https://doi.org/10.1111/j.1467-789X.2004.00133.x
  40. Louis, E. M. (1963). Intramurals their organization and Administra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Hall Inc
  41. Muller, M. J., Mast, M., Asbeck, I., Langnas, K., & Grund, A. (2000). Prevention of obesity- is it possible?. Obesity Reviews, 2, 15-18 https://doi.org/10.1046/j.1467-789x.2001.00012.x
  42. Ozcelik, O., Dogan, H., & Kelestimur, H. (2006) Effects of eight weeks of exercise training and orlistat therapy on body composition and maximal exercise capacity in obese females. Public health, 120(1), 76-82 https://doi.org/10.1016/j.puhe.2005.05.010
  43. Reybrouck, T., Mertens, L., Schepers, D., Vinckx, J., & Gewillig, M. (1997). Assessment of cardiorespiratory exercise function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by body mass-independent parameter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and occupational physiology, 75(6), 478-483 https://doi.org/10.1007/s004210050192
  44. Sallis, J. F., Bouno, M. J., Roby, J. J., Carlson, D., & Nelson, J. A. (1990). The Caltrac accelerometer as a physical activity monitor for school-age childr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2, 698-703 https://doi.org/10.1249/00005768-199010000-00023
  45. Wabitsch, M.(2002). Molecular and biological factors with emphasis on adipose tissue development. In: Burniat, W., Cole, T., Lissau, I., Poskitt, E.M.E.(eds.).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causes and consequences; prevention and management (pp. 50-68).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Winnick, J. P. & Short F. X. (1999). The Brockport Physical Fitness Training Manual. Champaign, IL: Human Kinetics
  47. Zasueta, A. S., & Kasch, F. W. (1973). Physical performance changes in educable mentally retarded children over two years. In Bar-Or(Ed.), Pediatric Work Physiology (pp. 304-314). Natanya, Israel: Wingate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