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iminary evaluation for carbon dioxide storage capacity of the Chungnam, Taebacksan, Mungyeong and Honam basins

충남, 태백산, 문경 및 호남분지의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 예비 평가

Hong, Sung-Kyung;Lee, Hyo-Jong;Egawa, Kosuke;Choi, Tae-Jin;Lee, Min-Kyung;Yoo, Kyu-Cheul;Kihm, Jung-Hwi;Lee, Yong-Il;Kim, Jun-Mo
홍성경;이효종;에가와 코우스케;최태진;이민경;유규철;김중휘;이용일;김준모

  • Published : 20091000

Abstract

We evaluated $CO_{2}$ storage capacity and suitability of deep aquifer(sandstone) and coal for $CO_{2}$ storage in the Chungnam, Taebaeksan, Mungyeong and Honam sedimentary basins. The total volume of sandstone in the studied Chungnam, Taebaeksan, Honam and Mungyeong basins are estimated to be 211 $km^{3}$, of which 58 $km^{3}$ are considered as target sandstone volume for suitable $CO_{2}$ storage. The $CO_{2}$ storage capacity of the sandstone in the Chungnam, Taebaeksan and Mungyeong basins are estimated in total as 16${\times}10^{6}$ tons. The Chungnam (8${\times}10^{6}$ tons) and Mungyeong basins (6${\times}10^{6}$ tons) have larger potential capacity than that of the Taebaeksan Basin (3${\times}10^{6}$ tons). Besides sandstones, the studied basins contain coalbeds for possible $CO_{2}$ storage with a volume of 0.5 $km^{3}$, yielding a $CO_{2}$ storage capacity of 12${\times}10^{6}$ tons. Although the $CO_{2}$ storage capacity of coal is similar to that of sandstone, actual conditions for $CO_{2}$ storage in coals do not appear to be so favourable because coalbeds are generally less than 1 m thick and their lateral continuity is rather limited.

본 연구에서는 충남, 태백산, 문경, 호남분지의 이산화탄소 저장 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을 추정하였다. 연구 지역에 가장 적합한 이산화탄소 저장 방법인 대염수층(사암) 및 석탄층 저장방법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을 평가하였다. 충남분지, 태백산분지, 문경분지에 분포하는 사암의 총 부피는 211 $km^{3}$이며 이중에서 58 $km^{3}$의 사암에 이산화탄소가 안정하게 저장될 것으로 추정된다. 지질구조와 퇴적학적 특징을 고려해본 결과 호남분지에 이산화탄소 저장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에 안정하게 저장 가능한 이산화탄소 예상 추정량은 16 Mton으로 평가된다. 충남분지(8 Mton)와 문경분지(6 Mton)의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은 태백산분지(3 Mton)에 비해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에 안정하게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석탄층의 총 부피는 0.5 $km^{3}$이며 약 12 Mton의 이산화탄소가 저장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석탄층과 사암층의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은 비슷하지만 연구지역의 석탄층은 비교적 박층으로 협재되며 연장성이 좋지 않으므로 실제 지중 저장 능력은 계산된 값 보다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희재, 고경석, 고동찬, 기원서, 김지환, 김복철, 김태희, 박석환, 박인화, 염병우, 이승구, 이승렬, 최범영, 황세호, 2008, 석탄층 메탄가스 자원 (CBM) 탐사 개발. 지식경제부 연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전, 363 p
  2. 대한석탄공사, 1966,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2. 대한석탄공사, 서울, 51 p
  3. 대한광업진흥공사, 1968,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2.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429 p
  4. 대한광업진흥공사, 1972,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3.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431 p
  5. 대한광업진흥공사, 1975,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4.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883 p
  6. 대한광업진흥공사, 1977,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5.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843p
  7. 대한광업진흥공사, 1980,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6.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389 p
  8. 대한광업진흥공사, 1982,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7.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330 p
  9. 대한광업진흥공사, 1983,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8.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390 p
  10. 대한광업진흥공사, 1984,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9.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380 p
  11. 대한광업진흥공사, 1985,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10.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399 p
  12. 대한광업진흥공사, 1986,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11.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435 p
  13. 대한광업진흥공사, 1987,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12.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426 p
  14. 대한광업진흥공사, 1988,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13.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422 p
  15. 대한광업진흥공사, 1989,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14.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323 p
  16. 대한광업진흥공사, 1990,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 보고서 15. 대한광업진흥공사, 서울, 323 p
  17. 엄상호, 서해길, 김동숙, 최현일, 박석환, 배두종, 이호영, 전희영, 권육상, 1977, 문경탄전 정밀 지질 조사 보고서. 자원개발연구소, 서울, 60 p
  18. 정창희, 1969, 강원도 삼척탄전의 층서 및 고생물(I). 지질학회지, 5, 13-56
  19.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 1962, 태백산지구 지질도 (1:50,000). 국립지질조사소, 10 p
  20. 최현일, 서해길, 김동숙, 1986, 충남탄전 서부지역 대동지층의 퇴적환경 및 분지발달. 석탄자원조사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89-297
  21. 채기탁, 윤성택, 최병영, 김강주, Shevalier, M., 2005, 이산화타소 저감을 위한 지중처분기술의 지구화학적 개념과 연구개발 동향. 자원환경지질, 38, 1-22
  22. Bachu, S., Gunter, W.D. and Perkins, E.H., 1994, Aquifer disposal of $CO_2$hydrodynamic and mineral trapping.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5, 269-279 https://doi.org/10.1016/0196-8904(94)90060-4
  23.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2007, Carbon Sequestration Atla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U.S. Department of Energy, 86 p
  24. Ennis-King, J. and Paterson, L., 2001, Reservoir engineering issues in the geological disposal of carbon dioxide. In: Williams, D.J., Durie, R.A., McMullan, P., Paulson, C.A.J. and Smith, A.Y. (eds.),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enhouse Gas Control Technologies. CSIRO Publishing, Australia, 290-295
  25. Korbol, R. and Kaddour, A., 1995, $CO_2$ disposal injection of removed $CO_2$ in to the Utsira Formation. Energ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36, 509-512 https://doi.org/10.1016/0196-8904(95)00055-I
  26. Hamelinck, C.N., Faaij, A.P.C., Turkenburg, W.C., van Bergen, F., Pagnier, H.J.M., Barzandji, O.H.M., Wolf, K.H.A.A. and Ruijg, G.J., 2002, $CO_2$ enhanced coalbed methane production in the Netherlands. Energy, 27, 647-674 https://doi.org/10.1016/S0360-5442(02)00012-9
  27. Hendriks, C.A. and Blok, K., 1993, Underground storage carbon dioxid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24, 949-957
  28. Laenen, B., van Tongeren, P., Dreesen, R. and Dusar, M., 2004,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in the Campine Basin and the adjacent Roer Valley Graben (North Belgium): an inventor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London, 233, 193-210 https://doi.org/10.1144/GSL.SP.2004.233.01.13
  29. Law, D.H.S. and Bachu, S., 1996, Hydrological and numerical analysis of $CO_2$ disposal in deep aquifers in the Alberta sedimentary basin.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6, 1167-1117
  30. Maroto-Valer, M.M., Tang, Z. and Zhang, Y., 2005, $CO_2$ capture by activated and impreganated anthracites. Fuel Processing Technology, 86, 1487-1502 https://doi.org/10.1016/j.fuproc.2005.01.003
  31. van der Meer, L.G.H., 1995, The $CO_2$ storage efficiency of aquifers.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6, 513-518 https://doi.org/10.1016/0196-8904(95)00056-J
  32. van der Meer, L.G.H., 1996, Computer modelling of underground $CO_2$ storag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7, 1155-1160 https://doi.org/10.1016/0196-8904(95)00313-4
  33. van der Meer, L.G.H., 1996, Computer modelling of underground $CO_2$ storag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7, 1155-1160 https://doi.org/10.1016/0196-8904(95)003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