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normal pubertal development in Korean adolescent girls

한국 청소년 여성에서의 비정상 사춘기 발달

Lee, Mee-Hwa
이미화

  • Published : 20090000

Abstract

Puberty is the period of first attaining capability of reproduction, and is signed by the appearance of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and the occurrence of menarche in females. The timing of puberty is ethnically, sexually and individually variable and is influenced by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diagnosis of precocious or delayed puberty is considered when signs of puberty develop before or after 2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age for the onset of puberty. Consequently,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ormal progression of puberty is vital in the evaluation of abnormal pubertal development. In most western countries, the first signs of puberty occur between 8 and 13 years of age. Correspondingly, the recent Korean data have shown that puberty begins in most Korean girls with breast development at the age between 8.7 and 13.9 years. This article reviewed lately published literatures on normal and abnormal pubertal development in Korean adolescent females to delineate features of pubertal disorders in this population.

사춘기는 생식 능력을 처음으로 획득하는 시기로 이차성징의 완성과 함께 여성에서는 초경을 경험하게 되는 시기이다. 사춘기의 시기와 속도는 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영양상태, 생활환경, 지리적 특성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종, 성별 및 개체 간에 차이가 나타난다. 비정상 사춘기 질환인 성조숙증과 사춘기 지연은 이차 성징 발현의 평균 연령을 기준으로 2 표준편차를 벗어나는 경우로 정의되기 때문에 한 국가의 비정상 사춘기 질환의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상 사춘기의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서구 여러 나라의 사춘기 연구에서 첫 이차 성징 발현 시기가 대부분 8세에서 13세 사이인 것과 유사하게 한국 여성 청소년의 이차 성징 발현의 2 표준편차 연령도 8.7세와 13.9세로 보고되었다. 본 종설에서는 한국 여성 청소년의 정상 및 비정상 사춘기 발달에 관한 최근의 문헌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여성에서의 사춘기 질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erman-Giddens ME, Slora EJ, Wasserman RC, Bourdony CJ, Bhapkar MV, Koch GG, et al.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and menses in young girls seen in office practice: a study from the Pediatric Research in Office Settings network. Pediatrics 1997; 99: 505-12 https://doi.org/10.1542/peds.99.4.505
  2. Sun SS, Schubert CM, Chumlea WC, Roche AF, Kulin HE, Lee PA, et al. National estimates of the timing of sexual maturation and racial differences among US children. Pediatrics 2002; 110: 911-9 https://doi.org/10.1542/peds.110.5.911
  3. Wu T, Mendola P, Buck GM. Ethnic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and menarche among US girls: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Pediatrics 2002; 110: 752-7 https://doi.org/10.1542/peds.110.4.752
  4. 구병삼. 우리나라 여성 초경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회지 1977; 20: 623-47
  5. Hwang JY, Shin C, Frongillo EA, Shin KR, Jo I. Secular trends in age at menarche for South Korean women born between 1920 to 1986: the Ansan Study. Ann Hum Biol 2003; 30: 434-42 https://doi.org/10.1080/0301446031000111393
  6. Cho GJ, Park HT, Shin JH, Hur JY, Kim YT, Kim SH, et al. Age at menarche in a Korean population: secular trends and influencing factors. Eur J Pediatr 2009; 169: 89-943 https://doi.org/10.1007/s00431-009-0993-1
  7. 박미정, 이인숙, 신은경, 정효지, 조성일. 한국청소년의 성성숙 시기 및 장기간의 초경연령 추세분석. 소아과 2006; 49: 610-6
  8. 홍창호, 노혜옥, 송상희. 한국 남녀 청소년의 성 성숙도에 관한 연구. 소아과 1994; 37: 193-8
  9. 신재철, 이찬, 문준, 오민정, 김탁, 구병삼 등. 한국 10대 여성의 초경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회지 1996; 39: 865-79
  10. Park MJ, Boston BA, Oh M, Jee SH. Prevalence and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the Korean NHANES survey, 1998-2005. J Pediatr 2009; 155: 529-34 https://doi.org/10.1016/j.jpeds.2009.03.063
  11. Kim JY, Oh IH, Lee EY, Choi KS, Choe BK, Yoon TY, et al. Anthropometric chang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1965 to 2005 in Korea. Am J Phys Anthropol 2008; 136: 230-6 https://doi.org/10.1002/ajpa.20801
  12. Ma HM, Du ML, Luo XP, Chen SK, Liu L, Chen RM, et al. Onset of breast and pubic hair development and menses in urban chinese girls. Pediatrics 2009; 124: e269-77 https://doi.org/10.1542/peds.2008-2638
  13. Parent AS, Teilmann G, Juul A, Skakkebaek NE, Toppari J, Bourguignon JP. The timing of normal puberty and the age limits of sexual precocity: variations around the world, secular trends, and changes after migration. Endocr Rev 2003; 24: 668-93 https://doi.org/10.1210/er.2002-0019
  14. 김소라, 전균호, 김성훈, 채희동, 김정훈, 강병문. 여아에서 성조숙증의 임상양상. 대한산부인과내분비학회지 2009; 1: 31-40
  15. 나정민, 김찬종, 여채영, 김민선, 이대열, 이양진 등. 성조숙증의 원인: 호남지역 다기관 연구.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2009; 14: 30-7
  16. Kaplowitz P. Clinical characteristics of 104 children referred for evaluation of precocious puber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 3644-50 https://doi.org/10.1210/jc.2003-031532
  17. 백경훈, 진동규. 중추성 및 말초성 성조숙증의 원인분석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2002; 7: 199-205
  18. 최철훈, 이유영, 양숙영, 윤병구, 배덕수, 최두석. 사춘기 여성 클리닉 (Adolescent Gynecology Clinic)을 방문한 2070명 환자의 임상 양상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회지 2004; 47: 729-38
  19. Sedlmeyer IL, Palmert MR. Delayed puberty: analysis of a large case series from an academic center. J Clin Endocrinol Metab 2002; 87: 1613-20 https://doi.org/10.1210/jc.87.4.1613
  20. 최영민, 구승엽, 채호진, 정현정, 김기동, 김훈 등. 원발성 무월경의 원인별 빈도. 대한산부회지 2001; 44: 1834-7
  21. 이정호. 원발성 무월경의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2002; 45: 1045-51
  22. 채희동, 강은희, 추형식, 김정훈, 강병문, 장윤석. 무월경 여성에서의 원인적 분류에 따른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1999; 42: 975-80
  23. Lee SH, Han JH, Cho SW, Lee WH, Cha KY, Lee MH. Mutation analysis of the KAL gene in female patients wit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deficiency. Yonsei Med J 2004; 45: 107-12
  24. 양영호, 황한성, 양은석, 김유리, 김덕희. 한국인 선천성 이상 질환이 의심되는 14,402 환자에 대한 세포유전학적 연구: YUMC의 31년 경험 (1974-2004년간). 대한산부회지 2005; 48: 1183-96
  25. 최영민, 지병철, 최진, 오선경, 황도영, 서창석 등. 터너 증후군의 세포유전학적 및 임상적 양상. 대한산부회지 2000; 43: 295-301
  26. Kleczkowska A, Dmoch E, Kubien E, Fryns JP, Van den Berghe H. Cytogenetic findings in a consecutive series of 478 patients with Turner syndrome. The Leuven experience 1965-1989. Genet Couns 1990; 1: 227-33
  27. Jacobs P, Dalton P, James R, Mosse K, Power M, Robinson D, et al. Turner syndrome: a cytogenetic and molecular study. Ann Hum Genet 1997; 61 (Pt 6): 471-83
  28. 김태형, 채현욱, 박미정, 김덕희, 김호성, 이선우 등. 성조숙증 아동의 임상 및 내분비 검사의 특징.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2007; 12: 119-26
  29. 송기헌, 송문영, 서병규, 이병철. 성조숙증: 성별 빈도 및 원인.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1997; 2: 226-32
  30. 이승엽, 이이경, 윤만수, 김원회. 원발성 무월경 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1987; 30: 8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