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ance of hydrogeological and hydrologic studies for Haean basin in Yanggu

양구군 해안분지 지역에 대한 수리지질 및 수문학적 연구의 중요성

Lee, Jin-Yong
이진용

  • Published : 20090800

Abstract

The Haean basin is located in Haean-myun, Yanggu-gun of Kangwon Province. Due to its peculiar topographic features, it has drawn attentions on many relevant researchers including geologists, hydrogeologists and ecologists. Area of the basin is small while difference in the topographic elevations is very large, which results in a marked basin feature. Circular outer boundary of the basin is comprised of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but Jurassic granites are very highly weathered in inner part of the basin. Several tributaries adjoin a single stream and it flows eastward. There exist over 100 groundwater wells of shallow and deep depths developed mainly for agriculture. Water levels of the wells are relatively sensitive to precipitation events. Most of the intermediate mountainous area has been used for high cool land vegetables field, which is considered one of main causes for turbid water of the Soyang river in monsoon period. The basin shows a very simple configuration and it is not readily affected by artificial factors, which facilitate estimating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groundwater recharge and stream flow. Therefore, it is considered an ideal site for studies of water budget or material budget such as C and N.

해안분지는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한다. 접경지역으로 군사적 요충지일 뿐만 아니라 특이적인 지형으로 인해 지질, 수리지질 및 생태관련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해안분지는 면적은 작고 고도차는 매우 큰 뚜렷한 분지경관을 보인다. 외륜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이며 분지 내부의 쥬라기 화강암류는 심하게 풍화되어 나타난다. 내부의 여러 지천은 합류하여 하나의 하천을 이루며 동쪽 방향으로 유하한다. 주로 농업용으로 개발된 천부 및 심부 지하수 관정이 100 여개 이상 존재하며 지하수위는 강수에 비교적 민감하다. 분지 중산간에 해당하는 지역의 대부분이 고랭지 채소밭으로 개발되어 있어 우기에 소양강에서 나타나는 탁수의 주요 발원지의 하나로 지목된다. 해안분지는 매우 단순한 지형으로 인해 인위적 영향이 적어 강수, 식생의 증발산, 지하수 함양 및 하천유량 등의 산정이 비교적 용이하며 물수지 혹은 탄소 질소 등의 물질수지 연구에 이상적인 지역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민일보, 2006, 접경지 지뢰 피해지역 표본 양구 해안면 결정. 1월 16일자
  2. 권영식, 이형호, 한욱, 김원형, 김동진, 김두일, 염승준, 1990, 해안분지의 지구과학적 분석. 지구과학회지, 11, 236-241
  3. 김봉균, 박용안, 1967, 펀치볼의 생성원인. 지질학회지, 3, 61-66
  4. 뉴시스, 2009, 양구 펀치볼 분지 국제 조사 본격 착수. 2009년 6월 5일자
  5. 류찬희, 2007, 맑은 물 밝은 세상 (3) 비점오염원을 막아라. 서울신문 4월 16일자
  6. 박진혁, 김우구, 2007,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자원 전망과 댐유역관리. 물과 미래, 40, 83-87
  7. 양구군, 2008, 해안면 지하수 신고시설현황. 양구군청, 3 p
  8. 양구군, 2009, 양구군 일반현황. 양구군청 홈페이지(www. yanggu.go.kr), 2009년 6월 11일 접속
  9. 원종관, 나기창, 이문원, 1988, 민통선 북방지역 지질. 민통선 북방지역자원조사 보고서(지질), 문화재청, 114-120 p
  10. 원종관, 이문원, 우준기, 1987, 해안분지의 지질과 지형적 특성. 강원대학교 개교 40주년 기념도서, 45-57 p
  11. 원종관, 이문원, 진명식, 한상복, 2006, 양구 해안분지. 2006 지질.광물문화재 정밀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50-83 p
  12. 윤상웅, 이진용, 2008,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일대 지하수함양율 추정방법의 적용성 비교연구.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 230 p
  13. 윤상웅, 이진용, 2009a, 지하수위변동법 및 염소이온을 이용한 지하수함양율 추정비교.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276-278 p
  14. 윤상웅, 조윤주, 이진용, 2009b, 양구 해안분지에서 지하수 위 변동과 하천유출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율 추정 비교. 지질학회지, 45, 391-404
  15. 윤상웅, 이진용, 2009c, 양구 해안분지 지역의 일반지질 특성연구. 지질학회지(준비중)
  16. 이병호, 1988, Punch Bowl은 운석분지인가? 대한기계학회 학술발표회 논문
  17. 이진용, 2008a, 소양강 탁수 현황 및 저감 전망. 추계지하수토양환경학회 학술대회, 31-33 p
  18. 이진용, 2008b, 소양강 탁수 현황과 저감에 대한 수리학적분석. 지하수토양환경, 13, 85-92
  19. 이진용, 2009, 공간 및 시간 적용규모를 고려한 지하수 함양율 추정방법의 적용성 비교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연구지원 결과보고서, 18 p
  20. 한국농촌공사, 2008, 이현지구 밭기반정비 지하수개발 지하수영향조사서. 한국농촌공사 강원지역본부, 53 p
  21. 한국일보, 1981, 6.25 격전지 양구 해안분지 '펀치볼' 세계최대 운석분지 판명. 11월 22일 사회면
  22. Bartsch, S., Fleckenstein, J., Peiffer, S., Kim, B., Kim, K., 2009, Identification of source areas and the role of the hyporheic exchange and the riparian zone in NO3 and DOC export from catchments (WP II, P13). Conceptual sketch for WP II, P13 within TERRECO, 4 p
  23. Google Earth, 2009, 해안면 위성사진. 2009년 6월 1일 접속
  24. Lee, J.Y., Yi, M.J., Hwang, D., 2005, Dependency of hydrologic responses and recharge estimates on waterlevel monitoring locations within a small catchment. Geosciences Journal, 9, 277-286 https://doi.org/10.1007/BF02910588
  25. Moon, S.K., Woo, N.C., Lee, K.S., 2004,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graph and water-table fluctuation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Journal of Hydrology, 292, 198-209 https://doi.org/10.1016/j.jhydrol.2003.12.030
  26. Scanlon, B.R., Healy, R.W., Cook, P.G., 2002, Choosing appropriate techniques for quantifying groundwater recharge. Hydrogeology Journal, 10, 18-39 https://doi.org/10.1007/s10040-001-0176-2
  27. Tenhunen, J., 2009, Okologische Heterogenitat in komplexem Gelande (TERRECO): Okosystemare Produktivität, Wasser-verfugbarkeit und Wasserqualitat in Bergregionen. DAAD Informationszentrum, 33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