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f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their preparation for employment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 박기문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
  • 이규녀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기술연구소)
  • Received : 2009.07.30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regarding the problems of the employment training activities and their solutions by way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awareness of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reparation for employment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students themselves make plans for future jobs and their preparation for them, from the start of their university work. This includes taking employment preparation courses as liberal arts requirements. It also needs to have a systematic association with some organizations such as employment preparation centers. Second, it is necessary that the career portfolios of university students be accepted as materials for objective evaluation so that the companies use them at the time of hiring new employees. If those materials are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even after their graduation, they will be the strong foundation for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university.Third, it is necessary that university students establish the orientation of employment training in advan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and disciplinary possibilities by diagnosing the level of basic employment ability they possess and that they find out the appropriate programs, both personal and disciplinary, to enforce the abilities they need to develop furthe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have an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assess student's basic employment abilities, so as to increase the degree of their employment preparation and its support strategy based on the evaluation. Fourth, in the higher education level, university students' lower awareness (M=2.86) of their discipline satisfaction, their major selection, and the university's employment opportunity service shows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re be clos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and work. For short-term purpos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must be preceded about the various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and self-development programs offered by the university.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it is urgently necessary that the university ensure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xperts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employment services within the university.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진로개발 활동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입학 시부터 학생 스스로가 진로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교육체계 수립이 요구되어 진다. 이는 대학 교육과정에 진로개발 과목이 교양필수로 포함하여야 하고 취업준비센터 등의 기관과 유기적인 연계성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이 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활용되어 질 수 있는 대학생 커리어 포트폴리오(career portfolio)를 객관적인 평가자료로 인정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를 통하여 대학생의 커리어가 졸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리 유지한다면 대학경쟁력 강화에 기초가 될 것이다. 셋째, 대학생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진단을 통해 개인별, 학과별 진로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고 필요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개인별, 학과별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 졸업생의 취업 준비도를 제고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 평가와 그 결과에 따른 진로개발 지원책이 필요하다. 넷째, 고등교육단계의 대학생들이 학과에 대한 만족도, 전공 선택, 현재 대학에서의 진로관련 서비스 등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인식도(M=2.86)는 대학에서의 학습과 일과의 연계성 있는 체계구축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대학 내 운영되고 있는 각 종 취업 및 자기개발 역량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질적 평가가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대학 내 진로서비스 기관의 진단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확보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노경란 외(2008). 직업진로지도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 이정근(1988). 진로지도의 실제. 서울:성원사
  3. 임언, 장홍근, 윤형한(2005). 직업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장석민(2001). 학교현장에서의 진로교육프로그램개발과 활용. 진로교육연구, 14, 1-16
  5. 장창원(2005).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이해. 범한출판사
  6. 진미석 외(2002), 신정부 인재정책의 방향과 주요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진미석, 윤형한(2003). 성인의 진로개발체제 구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진미석, 한상근(2002), 재학생 희망직업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통계청(2007). 경제활동인구인보
  10. 최동선(2005). 대학생 진로지도 체제의 혁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Herr, E.L., & Cramer, S.H. (1996).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span: Systematic approaches. NY: Haper Collins
  12. Torbert, E.L. (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2nd Ed). Boston;Houghton Miffin. Westbrook et al
  13. http://std.kedi.re.kr/index.jsp. 교육통계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