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Weeds Emergence at the Rice Field Applied Successively with Green Manure

녹비 연용 벼 재배 논에서 잡초발생 조사

Seong, Ki-Yeong;Jeon, Weon-Tai;Cho, Hyeon-Suk;Kim, Min-Tae;Kim, Chung-Gek
성기영;전원태;조현숙;김민태;김충국

  • Published : 20090900

Abstract

Study on weed emergence in the 3 paddy fields, successively applied with green manure for 3, 4 and 7 years, respectivel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weed emerg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3-year-application of green manure induceed changes in weed emergence, 4-year-application of it caused them in weed community and 7-year-application of it made it necessary to change the conventional weed control method. The emergence of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and common false pimpernel, Lindernia procumbens was increased, weed community was changed. The gross emergence of weeds was increased through applying green manure successively. The emergence of biennial water foxtail,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was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species of summer annual was increased. In the paddy field applied successively with green manure for 7 years, the leaf number of barnyard grass ranged from 3.6 to 4.2 at about 13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the population of it, surviving soil-applied herbicide treatment, ranged from 4.3 plants $m^{-2}$ to 6.1 plants $m^{-2}$, and these were estimated to be troublesome enough to cause yield loss.

녹비연용 논 포장에서 벼 재배 시 잡초발생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3년, 4년 7년간 녹비를 연용한 국립식량과학원 논 포장에서 각각 잡초발생을 조사하였다. 3년간 녹비를 연용하면 잡초발생에 변화가 시작되고 4년간 녹비를 연용하면 잡초군락에 변화가 오고 7년간 연용하면 잡초방제법을 달리하여야 할 정도로 잡초발생에 변화가 온다. 녹비를 연용하면 피, 밭뚝외풀의 발생이 많아지고 잡초군락이 변화하며 총발생수가 많아진다. 잡초종류로는 월년생 뚝새풀 발생이 줄어드는 대신 하잡초의 초종수가 증가한다. 녹비를 7년간 연용한 논포장에서의 피는 이앙 후 13일경 엽수가 3.6~4.2개였으며, 토양처리 제초제를 처리하여도 방제되지 않은 피 개체수가 4.3~6.1개 $m^{-2}$로 벼 수량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상수, 김길웅. 1984. 보리 잔여물 속에 함유된 주요 Phenolic Acids가 논 잡초 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4(1):39-51
  2. 金吉雄. 1998. 雜草防除學原論, 慶北大學校出版部. pp. 76-77
  3. 농촌진흥청. 2002. 표준영농교본-123 두과녹비작물 재배와 이용
  4. 농촌진흥청. 2009. 친환경농업육성 정책방향. 친환경농업. 13 p
  5. 마상용, 김종석, 양환승. 1999. 잡초성벼 및 피에 대한 보리의 타감효과 탐색. 한국잡초학회지 19(3):228-235
  6. 성기영. 1997. 벼 생육중기에 발생한 피 생태 및 방제 연구. 1997년도 시험연구보고서 작물환경편. 작물시험장. pp. 78-87
  7. 성기영. 2008. 고품질 녹비 쌀 생산 기술 개발. 2008년도 시험연구보고서 II 본부 전작 분야. 국립식량과학원. pp. 479-493
  8. 성기영. 2009. 보리녹비 투입 시 중부지역 후작물의 병.해충 잡초 발생 양상 및 현장 실증연구. 농임특정기술개발과제결과보고서. 농림수산식품부. 129 p
  9. 안승현. 2008. 피복식물 이용 녹비 및 잡초관리 기술 개발. 2008년도 시험연구보고서. III 벼맥류 분야. 국립식량과학원. pp. 1131-1136
  10. 양계진, 김광호, 정일민. 1998. 호밀, 귀리 추출물로부터 제초활성물질 탐색 및 동정. 한국잡초학회지 18(4):348-355
  11. 유영채, 이철원, 송범헌, 오성환, 최낙거. 2007. 과수원에서 헤어리베치(Vicia villosa Roth)를 이용한 잡초방제 효과. 한국잡초학회지 27(2):140-147
  12. 홍선희, 심상인, 이용호, 나채선, 김욱, 강병화. 2007. 중북부 지방에서 자운영 재배에 따른 작기 이동이 논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27(4):325-333
  13. Andy Clark. 2007. Managing Cover Crops Profitably Third edition. Sustainable Agriculture Network, Beltsville, MD. 100 p
  14. John R. T., and Parthan P. 2005. Contribution of ammonium to stimulation of smooth pigweed (Amaranthus hybridus L.) germination by extract of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residue. Weed Biol. Manag. 5(1):19-25 https://doi.org/10.1111/j.1445-6664.2005.00155.x
  15. Mostafa O., Hamid R. M., Mohammad A. B., Hassan M. A., and Samira B. 2008. Assessment of the allelopathic potential of 17 Iranian barley cultivars in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and their variations over 60 years of selection. Weed Biol. Manag. 8(4):225-232 https://doi.org/10.1111/j.1445-6664.2008.0030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