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Goods Designs Motivated by Ume Flowers

매화꽃을 모티브로 한 패션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

  •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ume flower image into a competitive fashion culture product image by reinterpreting the image in modern terms, manufacturing patterns and applying them to various items. In terms of method, ume flower petal was used as a motive and developed into a pattern, using Adobe Illustrator 10, a computer design program. Based on the symbolic image and realist form of ume flower, three new basic motives of new figurative image were set using form omission, simplification, overlapping, repetition and graphic elements. Each motive developed transformed patterns through the change, transformation, combination of colors. The repetitive unit of each motive set expressed geometrical patterns and combination of flower patterns using pattern repetition and $45^{\circ}$ repetition technique in combination with the check arrangement using quadrangle, and set the direction of design that would fit for each item of fashion culture products. Also, consistency and practicality were sought in the goods planning composition of each item by applying motive pattern results to the fashion culture goods, such as neckties, scarves, T-shirts that can be consumed in everyday life. It seems that more creative culture goods including ume flowers will be developed by seeing our own cultural elements as well as flower patterns like ume flower with modern trends.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선 (1997). “우리나라 문화 상품의 디자인 개발 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매일경제연구소.
  2. 강희안 (2000). 양화소록. 서울: 을유문화사.
  3. 김애숙 (2003). “광주시립미술관 문화 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6권 1호.
  4. 김지선 (2007). “한국전통 꽃문양의 상징성과 형태 및 색채특성에 따른 조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박미령, 김상률 (2006). “유용생물자원을 이용한 천연염료의 개발 및 문화 상품전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권 6호.
  6. 윤정 (2003). “패션트랜드 디자인에 나타난 꽃문양의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상필, 김선홍 (2007). “CAD를 활용한 함평나비축제 문화 상품 디자인 콘텐츠 연구.” 복식문화연구 15권 5호.
  8. 이상희 (1999). 우리 꽃 문화 답사기. 서울: 넥서스.
  9. 이상희 (2004). 매화. 서울: 넥서스.
  10. 이재민 (2002). “지역문화를 기반한 패션 문화 상품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종분, 이수철 (2000). “한국의 전통적 곡선미를 이용한 문화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디자인연구집 6권 1호.
  12. 이주연 (2007). “꽃문양을 이용한 생활용품디자인.”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전승현 (2002). “조선시대 매화문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온슬기, 정성혜 (2001). “우리나라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과 패션 문화 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권 1호.
  15. 정진순 (2004). “연꽃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문화 상품 제작.”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권 4호.
  16. 조현승, 이주현 (1998). “소비자 감성분석을 기반으로 한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기법: 제 1 보.” 한국감성과학회지 1권 2호.
  17. 문화예술 (1998년 3월). “21세기 문화산업 어떻게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