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3D Spatial Data Models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 비교 분석

  • 박세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이지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Each system should have a suitable data model about their purpose for efficiently managing, analyzing, and manipulating data. And the usable range of application is determined by the data model, and suitable data models are being developed for each application. In GIS, diversity spatial data model is being developed too. The accuracy and update of the spatial data would be important for applying efficient application as well as the data modeling is important as constructing the spatial data structure.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1)compare domestic spatial data models with oversea spatial data models about their geometry model, topology model and visualizing method of 3D spatial data 2)to compare the features of the data model by analyzing each data structures. We 3)compare and analyze features of each spatial data models via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each spatial data models.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 분석,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시스템의 목적에 맞는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다. 데이터 모델에 따라 해당하는 활용 시스템의 활용 범위가 결정되며, 각각의 활용 시스템에 맞는 데이터 모델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GIS 분야에서도 각 GIS 응용시스템에 맞는 다양한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들이 개발 되었으며,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라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이 만들어지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공간정보 데이터의 정확성과 최신성등이 중요하지만 특히 공간정보 데이터 구조를 만드는 데이터 모델링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1)국내외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의 공간정보를 표현하는데 있어 기하학적 모델, 위상학적 모델과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방법 등의 항목별로 비교하고 2)각각의 데이터 구조를 분석하여 데이터 모델의 특징을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3)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을 선정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데이터 구조에 따른 특징을 분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준.진식.이재호.김인현.김광호, 2008, "3D 공간정보 데이터 포맷 변환 및 시각화 도구 개발", 한국GIS학회 춘.추계학술대회 한국 GIS학회 2008 공동춘계학술대회, pp.123-129.
  2. 김은형, 2007, "3차원 국토공간정보 활용모델 개발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p.918.
  3. 김은형, 2008,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효율성 향상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p.1147.
  4. 이기준, 2004, "기본 지리정보 교환 표준 연구",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p.463.
  5. 이태훈.황정래.이기준, 2008,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 포맷들 간의 변환", 한국GIS학회 춘.추계학술대회 한국 GIS학회 2008 공동춘계학술대회, pp.75-81.
  6. 이기원.문선희.지광훈, 2003,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응용: 지질주제정보 데이터 모델 개발과 시험구현",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3 추계학술대회, pp.78-83.
  7. 이동헌.홍성언.박수홍, 2005, "3차원 기하모델에 대한 공간 관계 연산 설계", 한국GIS학회지 제13권 제2호, pp. 119-128.
  8. 최성규.안병찬, 2001, "GIS와 EPANET 상수관망모델의 연계 방안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9권 제3호, pp.114-128.
  9. ESRI, 2004, "XML Schema of the Geodatabase", Technical Paper, p.46.
  10. ESRI, 1998, "ESRI Shapefile Technical Description", ESRI White Paper, p.28.
  11. ESRI, 2003, "Working With Geodatabase Topology", ESRI White Paper, p.23.
  12. Google, 2008, "KML reference document", code.google.com/apis/kml
  13.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 2006 "OpenGIS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for Geographic information - Simple feature access - Part1:Common architecture", p.95.
  14.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 2007 "OpenGIS Geography Markup Language Encoding Standard", p.437.
  15.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 2008, "OGC KML", p.251.
  16. ISO/TC 211, 2003, "ISO-CD 19107 Geographic Information - Spatial Schema", p.178.
  17. ISO/TC 211, 2007, "ISO-CD 19136 Geographic Information - Geography Markup Language", p.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