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Possibility of the Landslide Occurrence in Kangwon-Do using a High-resolution LiDAR-derived DEM

고해상도 항공라이다 DEM 해석을 통한 강원도 일원의 산사태 예측 가능성 분석

  • 이동하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
  • 김영섭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서용철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geomorphic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high-resolution LiDAR-derived DEM. The results of analysis, slope angle and eigenvalue ratio (ER) were derived from the DEM for 3 landslide and 1 non-landslide occurrence area.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geomorphic analysis in characterizing landslide feature as well as the various contents in their future occurrence and ac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geomorphic analysis and landslides are well expressed in this paper.

본 연구에서는 항공라이다 측량을 통해 생성된 고해상도 DEM을 산사태 발생 가능성 예측을 위한 객관적인 판단근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1개의 사면과 3개의 산사태 발생지역에 대하여 항공레이저 측량데이터에서 얻어진 2m 간격의 DEM을 이용하여 지형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요소에는 경사면 구배와 고유치 비(eigenvalue ratio)를 이용하였으며, 발생한 산사태의 피해현황 파악을 위해 한국도로공사에서 수행한 현장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고해상도 DEM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 가능성 분석 결과, 산사태 발생이 가능한 지형의 특징적인 해석값의 밀도분포가 명확해졌으며, 이러한 밀도분포를 통해 산사태의 발생 예측 및 현재 위험도의 표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창호, 최윤수, 김재명(2008)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사면파괴 거동분석, 한국GIS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79-290.
  2. 이사로, 최위찬, 장범수(2002) 지질구조자료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47-261.
  3. Burrough, P.A. and McDonnell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4. Glenn, N.F., Streutker, D.R., Chadwick, D.J., Thackray, G.D. and Dorsch, S.J., 2006, Analysis of LiDAR-derived topographic information for characterizing and differentiating landslide morphology and activity. Geomorphology, 73, pp.131-148.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5.07.006
  5. Guth, P.L.(2003) Eigenvector Analysis of Digital Elevation Model in a GIS: Geomorphometry and Quality control, Concepts and Modeling in Geomorphology: International Perspectives, pp.199-220.
  6. Kasai, M., Ikeda, M., Fujisawa, K., Matsuda, M. and Suzuki, S., 2008, Observation of the landslide development process by analysis of LiDAR-derived DEMs. Journal of the Japan Landslide Society, 45, pp.26-32.(in Japanese).
  7. Kasai, M., Ikeda, M., Asahina, T. and Fujisawa, K., 2009, LiDAR-derived DEM evaluation of deep-seated landslides in a steep and rocky region of Japan. Geomorphology, 113, pp.57-69.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9.06.004
  8. McKean, J. and Roering, J., 2004, Objective landslide detection and surface morphology mapping using high-resolution airborne laser altimetry. Geomorphology, 57, pp.331-351. https://doi.org/10.1016/S0169-555X(03)00164-8
  9. Woodcock, N.H., 1977, Specification of fabric shapes using an eigenvalue method.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8, pp.1231-1236. https://doi.org/10.1130/0016-7606(1977)88<1231:SOFSUA>2.0.CO;2
  10. Woodcock, N.H. and Naylor, M.A., 1983, Randomness testing in three-dimensional orientation data.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5, pp.539-548. https://doi.org/10.1016/0191-8141(83)900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