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about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of Natural Dyeing Experience Program - Focused on the Natural Dyeing and Craft Center in Bosung -

천연염색 체험학습에 대한 태도 - 보성 천연염색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

  • 김지연 (호남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natural dyeing experience program as a personal learning experience and consumer's interest and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f natural dyeing program so as to collect the practical data about natural dyeing program. To examine the interest and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f natural dyeing program,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convenient survey of 326 citizens and tourists over 15 years old from Gwangju-city and Bosung in Chonnam during May 15${\sim}$July 30 in 2006. It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t-test using SPSS 10.0.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1) The 40% of respondents are interested in natural dyeing. 2) Only 19% of respondents have ever participated in natural dyeing experience program. 3)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such as motivation and time of participation, item and source of natural dyeing according to natural dyeing program were various. 4) 65% of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natural dyeing experience.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of natural dyeing increases, consumer awareness about natural dyeing will increase and finally industrialization of natural dyeing may be advanced.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연 (2009). “천연염색 체험학습의 현황과 체험자의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권 2호.
  2. 김지향 (2004). “체험학습을 위한 천연염색 프로그램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창수, 전대희 (2007).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평가 비교분석: 2005-2006년 무주반딧불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2권 2호.
  4. “나주.보성 천연염색단지 찬반양론 뜨겁다." 한국염색신문 (2004년 1월 7일 [2003년 6윌 2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 @ http://www.btnt.co.kr
  5. 남성우 (2000). 천연염색의 이론과 실제. 서울: 보성문화사.
  6. 노은희 (2002). “미국의 천연염색 산업 및 디자인 현황에 대한 고찰.” 한국공예논총 5권 1호.
  7. 보성군.호남대학교 천연염색활성화 사업단 (2006). 천연염색을 활용한 지역문화 활성화. 보성군.호남대학교 천연염색활성화 사업단.
  8. 서철현, 고호석 (2008). “지역축제 이미지가 방문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보성 '다향제'와 '하동 야생차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국호텔경영학회지 17권 1호.
  9. 송화순, 김병희 (2004). 아름다운 우리의 색, 천연염색.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10. 유명님, 노의경 (2005). “델파이법을 이용한 천연염색에 관한 기초연구(제1보): 당면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 권 6호.
  11. 유명님, 노의경 (2006). “델파이법을 이용한 천연염색에 관한 기초연구(제2보): 천연염색의 당면과제와 전망과의 관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권 1호.
  12. 예용해 (1997). 민속공예의 맥. 서울: 대원사.
  13. 전통자연염색에 관한 실태조사 (2006). 월간 아름다운 우리옷. 서울: 문광부.
  14. 이승철 (2001). 자연염색-내 손으로 만드는 자연의 색-. 서울: 학고재.
  15. 이재민 (2003). “지역문화를 기반한 패션 문화 상품개발 연구: 함평의 나비 캐릭터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종남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천연염색. 서울: 현암사.
  17. (재)전남테크노파크 전략산업기획단 (2008). 전라남도 천연염색 심포지움 및 TRM 공청회.
  18. (재)전남테크노파크 전략산업기획단.
  19. 장종대 (2008). “천연염색 산업화 현황과 전망." 전라남도 천연염색 심포지움 및 TRM 공청회. (재)전남테크노파크 전략산업기획단.
  20. 홍나영, 유혜경, 이주현, 석혜정, 신혜성, 김찬주 (2003). “천연염색 의류에 대한 소비자 반응 및 소비자 특성." 복식문화연구 11권 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