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re-wilting on the Forage Quality of Organic Sorghum$\times$Sudangrass Silage

예건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유기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main nutritional problem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is low quality and dry matter (DM) content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field pre-wilting treatment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increases DM content and forage quality of the silage. The experiment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were consisted of five different wilting days: 0 day (direct cut silage), 0.5 day, 1 day, 2 days and 3 days.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with pre-wilting showed low 4.00 pH values, however direct cut silage (control) showed a 4.30 value because of its high moisture content. The DM content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with pre-wilting was high above 25.1% after 1 days, however that of direct cut silage had 17.6%. And the effluent of wilted silage was decreased with prolonged wilting period, but that of direct cut silage produced effluent of 183 mL/kg.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with wilted silage were decreased, however crude ash was increased with prolonged wilting period. Silage with pre-wilting had higher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than control silages, while its non-fiber carbohydrate (NFC) showed the opposite results. Lac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were increased with prolonged wilting period. For the palatability of dairy goat, silage with 2 days wilting was highest among silages.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wilted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effluent, increasing pH and forage quality more than direct cut silage. Optimum pre-wilting day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may be 1 days.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사일리지의 큰 문제점은 낮은 건물률과 품질이다. 본 시험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을 재배하는 포장에서 예건으로 사일리지의 건물률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배치는 5처리 3반복의 완전임의배치법으로 하였다. 시험구의 처리는 비예건(대조구), 예건 0.5일, 예건 1일, 예건 2일 및 예건 3일의 5수준을 두었다. 예건한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사일리지의 pH는 4.0 이하였으나, 비예건 사일리지의 pH는 4.30으로 가장 높았다(p<0.05). 비예건 사일리지의 건물률은 17.6%였으나 예건한 사일리지의 건물률은 예건 1일 후부터는 25.1% 이상이었다(p<0.05). 예건한 사일리지의 침출수는 예건을 많이 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비예건 사일리지의 침출수는 283mL/kg로 가장 많았다(p<0.05). 예건을 함에 따라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조회분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비예건보다 예건 사일리지의 ADF 및 NDF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비섬유성탄수화물(NFC)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젖산 및 유기산 함량은 예건 일수를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예건 1일부터는 변화가 없었다(p<0.05). 유산양의 기호성도 예건 1일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사일리지 제조시 예건이 건물률 증가에 의하여 침출수를 줄이고, pH와 사일리지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예건일수는 1일이 가장 적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찬호, 김호중, 김종덕, 김수곤, 이병생, 채상헌. 2005. CODEX 유기축산 규정에 따른 조사료 생산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농림부.
  2. 김정갑, 진현주, 신재순, 정의수, 한민수. 1996. 봄재배 연맥의 Silage 제조 이용시 예건 및 Formic Acid 처리에 의한 품질개선 효과. 한초지 16(2): 155-160.
  3. 김종근, 정의수, 서성, 함준상, 김맹중, 이종경. 2006.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1): 39-44.
  4. 김종덕, 권찬호, 김종근, 김창현, 노환국, 윤영만, 이종경. 2009. 조사료 생산 및 이용. 신광종합출판.
  5. 김종덕, 권찬호, 김호중, 박진길, 이병생, 빙기선, 문승태. 2002.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사초 수량 및 품질 비교. 한초지 22(4): 297-302.
  6. 농협중앙회. 2008. 2008년도 제2차 목초 및 사료작물품종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 자료. 농협중앙회 사료자원단.
  7. 서성. 1982. 질소 시비수준과 예취관리가 청예용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저장탄수화물 함량, 재생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신정남, 윤익석. 1985. 예건이 silage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3(2): 92-99.
  9. 안종호, 권찬호, 김창현, 김종덕, 박중국, 박광순, 임현진, 전경협. 2009. 유기축산을 위한 유산양 사육체계 및 조사료 생산기술 확립에 관한 연구. 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농림수산식품부.
  10. 이광녕, 김동암. 1997. 예건 및 첨가제가 호밀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 및 호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7(2): 187-198.
  11. 이석순, 최상집. 1990. 흑조위축병이 심한 지역에서 옥수수와 수수 품종의 사료생산성. 한초지 10(1): 42-47.
  12. 이종경, 김종근, 신동은, 윤세형, 김원호, 서성, 박근제. 2000.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출수형과 비출수형 품종간 예취횟수가 수량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0(4):237-242.
  13. 전우복, 최기춘, 김광현. 1995. 전남지역에 있어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잡종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성분 비교. 한초지 15(1): 67-72.
  14.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Washington, DC.
  15. Cottyn, B. G., C. H. V. Boucque, L. O. Fiems, J. M. Vanacker, and F. X. Buysse. 1985. Unwilted and prewilted grass silage for finishing bulls. Grass Forage Sci. 40: 119-125.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5.tb01728.x
  16.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7. Holland, C., W. Kezar, W. P. Kautz, E. J. Lazowski, W. 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A.
  18. Kwon, Chan Ho, Jong Duk Kim, Su Gon Kim, and Chang, Hyun Kim. 2006. Effect of corn grain addition on forage quality and production cost of sorghum silage. Chinese J. of Grassl. Sci. 16(Suppl.): 59-61
  19. McCullough, M. E. and K. K. Bolsen. 1984. Silage management. Nat. Feed Ingred. Assoc., West Des Moines, Iowa.
  20. McDonald, P. 1981. The biochemistry of silage. John Wiley and Sons Ltd. England.
  21. Seo, S. Kim W. H., and Kim J. G. 2006.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whole crop barley and whole crop rice in Korea. Chinese J. of Grassl. Sci. 16(Suppl.): 274-279.
  22. SAS. 2000.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01. SAS Institute Inc., Cary, 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