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대도시 주부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우려도에 관한 연구

  • Lee, Jeung-Yun (Food & Nutrition, School of Food Sciences, Eulji University) ;
  • Kim, Kyu-Dong (Health Industry Distribution, School of Medical Industry, Eulji University)
  • 이정윤 (을지대학교 식품과학부 식품영양학) ;
  • 김규동 (을지대학교 의료산업학부 보건산업유통학)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We investigated consumer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5 urban housewives aged more than 20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vegetables and fruit showed the highest purchase frequency of 29.2%, and meat was the highest with 17.2% in the food which feel concerned about safety. Respondents observed that 'domestic food was safer than imported food' (3.92 on a 5 point scale) and 'I always feel concerned about food safety' (3.37). The study also showed that respondents were aware of environmental hormones (3.57), natural toxins (3.51), mad cow disease (3.48), and avian influenza (3.43), in that order. Finally, respondents were deeply concerned about mad cow disease (4.43), heavy metals in food (4.05), environmental hormones (4.02), food poisoning bacteria (3.96), avian influenza (3.87), agrichemical residues (3.86), and food additives (3.84), in that order.

본 연구는 대도시 주부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식품위해요소별 우려도를 조사하여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신뢰구축 및 식품안전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과 경기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 주부 27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주요 구입식품은 채소류 및 과실류가 29.2%로 가장 높았고, 육류(17.9%), 곡류 및 서류(13.1%), 생선 및 해산물(12.2%) 등이 순서대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식품안전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식품은 육류가 17.2%로 가장 높았고 수입식품(15.4%), 햄 및 소시지 등(14.7%), 냉동식품 및 통조림(14.5%), 패스트푸드(14.3%) 등이 순서대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도는 '국내산이 수입산보다 더 안전'(3.92), '식품안전이 늘 불안'(3.37), '유기농식품은 안전'(3.26), '원산지표시 식품은 어느정도 안전'(3.25) 등의 항목순으로 높았다. 반면에 '정부가 수입농축산물 안전에 대한 정보를 잘 알려줌'(2.04) 항목과 '선진국에서 수입된 식품은 안전'(2.16) 항목은 상대적으로 낮은 동의를 보였다. 식품위해요소별 인지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는데, 환경호르몬(3.57), 자연독(3.51), 광우병(3.48), 조류독감(3.43), 식중독 미생물(3.21) 및 원산지(3.21) 등의 순서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식품위해요소별 우려도는 전반적으로 매우 높았는데, 특히 광우병(4.43), 중금속(4.05), 환경호르몬(4.02), 식중독미생물(3.96), 조류독감(3.87), 잔류농약(3.86), 식품첨가물(3.84), 항생물질(3.82) 등의 순으로 우려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