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Coping Schemes and Mental Health for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 Published : 2009.1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coping strategies and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from health related and non-health related departments by developing an efficient managerial indicator using student lifestyle guidance and employment guidanc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tress factor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artments. Hope management was used the most for stress-coping strategies for health related departmental students and emotional management was used the most for stress-coping strategies for non-health related departmental students. Compulsion scored high for health related departmental students in regards to mental health while fear and hostility scored high for non-health related departmental students. Results also showed that active stress-coping strategies and paranoi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ile passive stress-coping strategies and many mental health substructu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conclusion, negative influences on mental health is the reason for instances where stress-coping strategies were not pertinent. Therefore colleges and professors should consider developing a program which can appropriately manage and regulate college students stress and thereby allow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with benefits from college lifestyle guidance and employment guidance.

본 연구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생활지도와 취업지도에 효율적인 관리지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과 계열 간에는 스트레스요인이 차이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보건계열은 소망대처를 비보건계열은 정서완화 대처를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왔다. 정신건강에서 강박증은 보건계열이 공포와 적대감은 비보건 계열이 높음을 나타냈다. 적극적 대처는 편집증과 부적관계를, 소극적 대처는 많은 정신건강 하부구조와 정적관계를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적절하지 못했을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 측과 교수는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고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학교생활과 취업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사려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J. Halon and G. E. Pickett, Public health : administration and practice 9th ed. Mosby, p.459, 1990.
  2. 조희, "일반인들의 정신건강과 자기 노출에 관한 연구", 적십자 논문집, 제13집, pp.115-150, 1991.
  3. 조순영, "간호사관생도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과한 연구", 국군사관학교, 논문집 제 22집, pp.256-278, 2003.
  4. E. H, Erikson, "Identity and the Life Cycle. Psychological Issues," N.Y: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Vol.1, No.1, p.92, 1959.
  5. 김정호, "체계적 마음 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정서 마음 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23-58, 2001.
  6. 조성만,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 선일선, 생활사 변화와 불안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8. 김광일, 김재환, 남정현, 양병환, 김이영, 김지혜, 주영희, 이경섭, 임휴종, 서혜희, "대학생의 정신 건강에 관한 연구", 정신건강연구, 제7집, pp.86-102, 1988.
  9. 김선희, "스트레스와 질병, 면역, 그리고 영양과의 관계", 식품영양정보, 제5집, pp.3-12, 1994.
  10. 고경봉, "내과계 입원환자들에서 정신신체 장애의 유병율과 스트레스 지각", 신경정신학, 제27집, pp.525-534, 1998.
  11. W. A. Rafuls, M. A. Menza, G. B. Murray, and V. F. Holmes, "Decreased extrapyramidal symptoms with intravenous haloperidol," J Clin Psych , Vol.48, pp.278-280, 1987.
  12. 김창덕, 한국과 중국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 스트레스, 대응방법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교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6.
  13. 강재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 자아존중감, 의사결정유형,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6.
  14. Laux, Land G, Vossel,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achievement reated stress and anxiety research," 1982.
  15. R. S. Lazarus and S. Forlkman,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No.48, pp.150-170, 1985.
  16. 이영희, 중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정신건강의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7. 박재석, 류설영, 장은진, 김정범, "의과대학생의 불안 및 자아강도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 생물치료 정신의학회, 제8권, 제1호, 2002.
  18. 박찬원, 박상학, 조용래, "의과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신경정신의학회, 제38권, 제5호, 1999.
  19. 김희수, 고등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0. L. R. Derogatis, R. S. Lipman, and L. Covi, "SCL-90: An outpatient psychiatric rating scalepreliminary report," Psychopharmachology Bulletin, No.9, pp.13-27, 1973.
  21. 김범준, 대학신입생의 정신건강 실태와 그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2. 이지영, 이숙희,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중앙의학, 제64권, 제1호, pp.56-64, 1999.
  23. 전화연, 정후주, 임현빈,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행위양상 비교연구", 동남보건대학, 제22권, 제1호, pp.7-24, 2004.
  24. 한금선, 김근면, "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자존감, 건강증진 행위, 가족적응도 및 스트레스 증상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78-84, 2007.
  25. 김동연, 의대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관한연구-인제대학교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6. 문태영, "삼척대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삼척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12집, pp.45-67, 2006.
  27. 최정, "보건계열 대학생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피로와 피조조절행위",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83-91, 2009.
  28. 안권숙, 지민경,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위험평가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치료의학, 제62권, 제6호, 2007.
  29. 김성영, 차병준, 박재용, 감신, "전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8권, 제2호, 1995.
  30. 조장원, 예․체능 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유형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산업정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1. 전미애, 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2. 박정란, 서울 시내 일부 대학생의 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3. 조희, "정신간호학 실습 시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적십자 간호대학 논문집, 제14호, pp.64-78.1992.
  34. 전화연, 임상실습시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35. 양승희, "일부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정신건강학회지, 제10권, 제3호, pp.376-390, 2001.
  36. 정상호, 일반계와 체육계 대학생과의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비교,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7. 김광운, "광주보건전문대학 신입생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광주보건전문대학 논문집, 제15권, 1990.
  38. 조정희, 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정신건강상태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39. 엄미란, 하양숙, "간호대학생의 자아실현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2권, 제1호, pp.23-38, 1993.
  40. 임정섭, "1994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간이정신 진단 검사 분석결과",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22권, pp.82-87, 1995.
  41. 전겸구, 김교헌, "한국주부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제1호, pp.1-39, 2003.
  42. P. M. Aranda, I. Castaneda, P. J. Lee, and E. Sobel,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as precictors of depressive symptom: gender differencesamong Mexican Americans," Social Work Research, Vol.84, pp.191-215, 2001.
  43. C. R. Anderson, Locus of control, coping behaviors, and performance in a stress setting, A longitudinal study. J Applied PSYCHOL, 62, 446-451, 1997. https://doi.org/10.1037/0021-9010.62.4.446
  44. 하나선, 한금선, 최정,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각과 대처유형, 스트레스 대처반응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358-368, 1998.
  45. 최영민,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장인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기독교 신앙의 스트레스 완충 역할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Cited by

  1. Correlation between Oral dryness and Stress level of college students vol.12, pp.9,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9.4030
  2. Health Education Needs and Mental Health Education of College Student vol.13,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85
  3. The relation of life style and quality of sleep in university students' vol.14, pp.6,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795
  4.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vol.14, pp.8,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866
  5.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Test Anxiety, Stress Response and Serum Cortisol in Nursing Students vol.20, pp.4, 2013, https://doi.org/10.7739/jkafn.2013.20.4.410
  6.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urpose-in-Life depending on their Ability to Manage Anger vol.28, pp.1, 201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1.46
  7.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vol.15, pp.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233
  8. Exploration of Anger Expression Patterns of Female Nursing Students using Q Methodology vol.27, pp.3,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3.682
  9.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on Perimenstrual Sympto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Health and Non-health related Majors: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vol.24, pp.3, 2018, https://doi.org/10.4069/kjwhn.2018.24.3.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