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oles of Local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지역 재난현장 대응조직의 역할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 fields to cope with large-scaled disasters including Emergency Management Agency, Emergency Response Unit, Emergency Support Center, and Field Command Center (Field Command Offi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roblems of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local disaster fields are; 1) the scopes of roles among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 fields are ambiguous, 2) the structures of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s are different each other, 3) the integrated management functions among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s are overlapped, and 4) the one who assumes the integrated command is not defin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first, the range of working of each organization for responses in local disaster fields should be definitely established and an agreement in services among the organizations should be settled in advance. Second, similar designs in the structure among the organizations for responses in disasters are necessary for amicable communication. Third, the works for integration and management for each organization for responses should be apportioned. Fourth, the organization in charge and the one who assumes the integrated command for each type of disasters should be appointed in advance for rapid decision-making.

본 논문은 대규모 재난발생시 재난을 수습하는 재난현장 대응조직인 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구조통제단, 비상지원본부, 현장지휘대(현장지휘소)를 비교분석한 결과, 지역 재난현장 대응조직의 문제점으로 첫째, 재난현장 대응조직간 역할범위가 모호하고, 둘째, 재난대응기관간 조직구조가 다르며, 셋째, 재난현장 대응조직간 총괄 조정기능이 중복되어 있고, 넷째, 총괄지휘권자의 미지정을 지적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지역 재난현장 대응조직별로 명확한 업무범위 지정과 사전에 재난대응기관간 업무협정을 체결하여야 하고, 둘째,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재난대응 조직간 동일한 조직구조설계가 필요하며, 셋째, 각 재난현장 대응조직별로 총괄 조정기능 업무를 분담하고, 넷째,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하여 재난유형별 재난대응 책임기관과 총괄지휘권자를 미리 지정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삼척소방서 (2007) 2007 삼척시 긴급구조대응계획. 성은기획
  2. 삼척시 (2008) 2008 안전관리계획. 성은기획
  3. 삼척시 (2009) 삼척시 재난안전대책본부운영조례, 삼척시 현행자치 법규집(IV) 제2회 추록
  4. 안중석 (2004) 우리나라 재난대응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 논문,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5. 양기근 (2008) 재난현장지휘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정부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한국정부학회, pp. 161-186
  6. 위금숙, 백민호, 권건주, 양기근 (2009) 한국의 재난현장 대응체계 : 문제점과 향후과제. 대영문화사
  7. 이기옥 (1999) 재난현장의 효과적 지휘체계,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8. 이재은 (1998) 우리나라 위기관리 대응기능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조직과 법규분석을 통해. 한국정책학회보, 한국정책학회, 제7권, 제2호, pp. 229-252
  9. 이재은 등 (2006) 재난관리론. 대영문화사
  10. 황윤원 (1989) 돌발사고에 대한 위험대비행정의 분석. 한국행정학보, 한국행정학회 제23권, 제1호, pp. 149-173
  11. 자연재해대책법 일부개정 2008.3.28 법률 제9001호
  12.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일부개정 2008.2.29 법률 제8856호
  13. Petak, William J. (1985)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Special Issue, Jan.), pp. 3-7 https://doi.org/10.2307/3134992
  14. 매일신문 2005.9.3, http://www.imaeil.com/ 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2104&yy=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