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Vulnerable Area about Inundation on the Upriver Basin of Dam by Flood Simulation Using GIS

GIS 홍수 시뮬레이션에 의한 댐 상류 유역의 침수 취약지역 분석

  • 엄대용 (충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지혜 (충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ecently, it has been strangely increasing rainfall and rainfall meter by global warming. so flood damage is being increase. It has happened there are so many damaged by influence by backwater of dam. However, the alleviative solutions of flood damages are focused on the lower river basin where the density of population is higher than upper river basin. This research proceeds based on design and build 3D topography model and reflects the topographical factors of upper river basin. It also simulated the circumstances of flooding by investigation of factors of outflow, hence, as a result, we would find out the vulnerable area for flooding and scale of damages effectively. This research suggests the solution and method of flooding for vulnerable area of the flooding to reduce the damages by predicting flooding. Thus, the suggestion may support to make a decision efficiently to prevent the damage of flooding.

최근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집중호우의 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강우강도 역시 강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지적인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댐 상류지역에서는 지형적 특성과 댐에 의한 배수위의 영향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홍수피해의 경감대책은 인구밀집지역인 하류지역에 집중되고 있어 상류지역의 침수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밀 3차원 지형모델을 구축하여 상류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강우발생시 유출특성을 조사하여 홍수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상류지역의 침수피해양상과 침수취약지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홍수시뮬레이션에 의해 상류지역의 침수발생을 재현할 수 있었으며, 발생 가능한 강우에 대한 가상 홍수 시나리오에 의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침수 취약지역과 그 피해면적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침수 취약 지역에 대한 침수 예측도를 제작함으로써 강우 규모별 피해지역의 신속한 판단과 침수방어 대책의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준, 김계현, 송용철, 민숙주, 김경순 (2004), 효율적인 홍수범람모의용 지형자료 구축을 위한 LiDAR자료와 NGIS 수치지형도 자료의 비교,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pp. 141-146
  2. 김상호, 김한중, 이남호, 김성준 (2006), GIS기반 홍수예측 지도의 개발,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원격탐사학회,pp. 36-40
  3. 김양수 (2000), 홍수재해지도 작성 제도화 및 침수예상지역 추정방법 개발, 국립방재연구소
  4. 소방방재청 (2006), 2006년도 주요통계 및 자료 보고서
  5. 소방방재청 (2008), 2008년도 주요통계 및 자료 보고서
  6. 윤희천, 엄대용, 이용욱, 김정우 (2003), 가상홍수시나리오에 의한 홍수범람해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제 21권 ,제 2호, pp. 181-189
  7. 최윤수, 김경탁, 심명필 (2000), GIS를 응용한 홍수 유출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 3호, pp. 361-367
  8. 한건연 (2001), 댐·제방의 붕괴 및 홍수범람,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 34권, 제 1호, pp. 53-60
  9. Eric Christopher Tate, Francisco Olivera. and David R. Maidment (1999), Flood Plain Mapping Using HEC-RAS and ArcView GIS, Center for Research in Water Resources
  10. Moore, L.D.(1996), Hydrologic Modeling and GIS, GIS and Environmental Modeling, pp. 143-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