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on of the Types of Analogies Generated by Science-Gifted Student, Mapping Errors on the Chromatography, and the Perceptions on Generating Analogy

크로마토그래피 개념에 대해 중학교 과학영재가 만든 비유의 유형과 대응 오류 및 비유 만들기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analogies generated by science-gifted students, mapping errors on the chromatography, and the perceptions on generating analogy. The subjects were science-gifted eighth-graders (N=68) enrolled at four gifted-education centers in Seoul.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science-gifted students represented the analogies using verbal and pictorial forms based on concrete and everyday experiences, and they elaborately explained them including the functional attributes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of the target concept. Science-gifted students selected the analogies having rich similarities or similar structure and principle between the target concept and the analogy as the best of the self-generated analogies. And they used mainly their 'school life' as analogy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mapping test showed that many science-gifted students had mapping errors such as 'failure to map' and 'overmapping'. They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perceptions on generating analogy. The present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in generating analogy in an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gifted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비유 만들기 활동을 도입한 크로마토그래피 개념 학습에서 과학영재들이 만든 비유의 유형과 대응 오류 유형 및 비유 만들기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서울시 4개 교육청의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 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들은 대부분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상황에 기초하여 글과 그림으로 비유를 표현하였고, 목표 개념의 기능적 속성과 인과 관계를 포함시켜 부연 설명하였다. 자신이 만든 비유 중 가장 좋은 비유로는 목표물과 비유물 사이의 유사점이 가장 많거나 구조와 원리가 비슷한 비유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비유 소재로는 주로 '학교생활'을 사용하였다. 선택한 비유에 대한 대응 검사 결과, 많은 과학영재들이 '대응 불이행', '과잉 대응' 등의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영재들은 비유 만들기 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유 만들기 수업 모형의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순 (2000). 화학 교육에서 비유의 사용 현황과 비유를 사용할 때 개념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 권혁순, 최은규, 노태희 (2003).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하여 중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분석. 대한화학회지, 47(3), 265-272 https://doi.org/10.5012/jkcs.2003.47.3.265
  3. 김경순, 최은규, 차정호, 노태희 (2006). 중학교과학 개념 학습에서 비유 만들기를 이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대한화학회지, 50(4), 338-345 https://doi.org/10.5012/jkcs.2006.50.4.338
  4. 김경순, 황선영, 노태희 (2008). 비유 만들기를 활용한 반응속도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유형과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 조사. 대한화학회지, 52(4), 412-422 https://doi.org/10.5012/jkcs.2008.52.4.412
  5. 김동렬 (2008). 유전 관련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비유 만들기 수업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24-437
  6.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4-40
  7. 김선희, 김기연, 이종희 (2005).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cdot}$정의적${\cdot}$정서적 특성 비교. 수학교육, 44(1), 113-124
  8. 나동진, 김진철 (2004). 삼원지능, 사고양식,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구조적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18(1), 115-130
  9.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 (2009). 포화용액 개념에 대해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과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 초등과학교육, 28(3), 292-303
  10.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 (2005).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22-131
  11.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영재교육지원센터 (2008).영재교수∙학습표준화자료 중학교 과학-화학. 과학전시관-2008-83
  12. 서울특별시교육청 (2009). 서울 영재교육과정/중등과학
  13. 이희주 (2007). 초등학생을 위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초등교육연구, 20(2), 139-160
  14.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 (2002). 과학 창의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15. 한국교육개발원 (2008). 영재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제8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정보과학 편]. 연구보고서 TM 2008-0102
  16.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 (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21-34
  17. Blake, A. (2004). Helping young children to see what is relevant and why: Supporting cognitive change in earth science using ana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5), 1855-1873 https://doi.org/10.1080/0950069042000266173
  18. BouJaoude, S., & Tamim, R. (2000). Analogies generated by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types and usefulness. School Science Review, 82(299), 57-63
  19. Else, M. J., Clement, J., & Ramirez, M. A. (2003).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Should different types of analogies be treated differently in instruction? Observations from a middle-school life science curriculum.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Philadelphia, PA
  20. Glynn, S. M. (1996). Teaching with analogies: Building on the science textbook. The Reading Teacher, 49, 490-492
  21. Keating, D. P. (1980). Four faces of creativity: The continuing plight of the intellectually underserved. Gifted Child Quarterly, 24, 56-61 https://doi.org/10.1177/001698628002400203
  22. Middleton, J. L. (1991). Student-generated analogies in biology. American Biology Teacher, 53(1), 42-46 https://doi.org/10.2307/4449212
  23. Orgill, M., & Bodner, G. M. (2006).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nalogy use in college-level biochemistry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 1040-1060 https://doi.org/10.1002/tea.20129
  24. Paatz, R., Ryder, J., & Schwedes, H. (2004). A case study analysing the process of analogybased learning in a teaching unit about simple electric circui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9), 1065-1081 https://doi.org/10.1080/1468181032000158408
  25. Taber, K. S. (2001). When the analogy breaks down: Modelling the atom on the solar system. Physics Education, 36(3), 222-226 https://doi.org/10.1088/0031-9120/36/3/308
  26. Van Meter, P. (2001). Drawing construction as a strategy for learning from tex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1), 129-140 https://doi.org/10.1037/0022-0663.93.1.129
  27. Wittrock, M. C., & Alesandrini, K. (1990). Generation of summaries and analogies and analytic-holistic abilit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7(3), 489-502 https://doi.org/10.3102/00028312027003489
  28. Wong, E. D. (1993). Self-generated analogies as a tool for constructing and evaluating explanations of scientific phenomen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67-380 https://doi.org/10.1002/tea.36603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