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of Current Task and Development of Korea's Education in Music Talent

국내 음악영재교육의 현황 및 발전방안 탐색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domestic Gifted education is evaluated to attain many achievements and to reach stable circle in short term. What about the present situation of artistic talent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talent education areas, especially music talent education? The result of domestic Gifted education can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by actually searching the present situation of diverse Gifted education areas. In this sense, this research aims to search the overall situation of domestic music talent education and to draw the tasks to be improved later mainly on the basis of important matters for efficient operation of music talent education. Thus far,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mainly through quantitative statistical data or survey materials in the form of questionnaire. Meanwhile, this research tries to deeply understand the problems that have been superficially managed so far by collecting the voice of diverse practical staffs related to music talent education for comprehensive analysis and investigat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s the direction of more effective music talent education in the future by lessening the gap between policy and reality, intent and result, etc through diverse comprehension of actual situation and position related to music talent education and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based on reality to cultivate teacher and administrator and to develop curriculum.

국내 영재교육이 단기간에 많은 성과를 거두고 안정권에 이르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영재교육 분야 중의 하나인 예술계 영재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영재교육은 어떠한가? 국내 영재교육의 성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는 다양한 분야 영재교육의 실제적 현황 탐색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국내 음악영재교육의 전주기적 현황을 탐색하고 음악영재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중요한 사항들을 중심으로 향후 개선되어야 할 과제들을 도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간 많은 연구들이 양적 통계 자료 또는 설문지형의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한편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 관련 다양한 실무자들로부터 현장의 소리를 수집해 총체적으로 분석 고찰함으로써 그간 표면적으로 다루어졌던 문제점들에 대해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음악영재교육 관련 실제 상황과 입장에 대한 다면적 이해의 노력을 통해 정책과 실제, 의도와 결과 간의 괴리를 줄여 향후 보다 효과적인 음악영재교육 방향을 수립하고 교사, 행정가 양성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실제에 기반 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숙 (2007).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 김미숙, 이희현 (2008). 시도교육청과 대학의 영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 김용환 (2000). 세계의 주요 예비학교 현황연구.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4. 서울특별시교육청 (2009). 서울특별시 교육청 영재교육진흥위원회 회의 자료
  5. 서울특별시교육청 (2009). 2009년 영재교육 운영현황. 과학영재교육과
  6. 이미경 (2005). 최근에 일고 있는 음악영재교육에 대한 몇 가지 제안. 음악과 민족, 29. 255-275
  7. 이성주 (1999). 미국의 음악 예비학교 현황 분석- 종합대학교를 중심으로. 99정기학술세미나 '음악대학 부설 예비학교 설치 및 운영 방안
  8. 태진미 (2005). 음악영재와 판별. 2005 한국영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9. 태진미 (2006). 음악영재교육. 인천: 도서출판 예종
  10. 한국교육개발원 (2009). 2009 한- OECD 국제세미나: 새천년 학습자 및 교원. 연구자료 RRM 2009-20-2
  11. 한국교육개발원 (2009). 교육통계서비스. 2009 년 12월 기준 통계
  12. 한기순, 양태연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13. 한수연, 호사라, 정진원, 김정희, 장인주, 권용선, 김경대 (2006). 예술영재교육과정 연구.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4. Haroutounian, J. (2002). Kindling the spa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5. Subotnik, R. F., & Jarvin, L. (2005). Beyond expertise: Conceptions of giftedness as great performance. In R. J. Stemberg, & J. E. Davidson(Eds), Conceptions of giftedness(2nd ed), 343-35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