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Focused on Household Types and Poverty Levels

여성노인의 가구유형 및 빈곤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compare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by focusing on household types and poverty level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dminister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in 2006. The data for 1,017 older women ages over 65 including 427 single households and 590 couple households was analyzed. First, interaction effects of household types and poverty levels on lif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non-poverty households of older women, there was no explicit difference between single households and couple households in life satisfaction, but for the poverty households, single households were lower in life satisfaction than couple households.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four groups of older women (poverty-single household, poverty-couple household, non-poverty-single household, and non-poverty-couple household), besides relig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number of children, health level, residence area, and status of economic activity. Third, when analyzing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common predictors for the four groups were health level and ownership of house. Older women who perceived to be healthier and owned their own homes were higher in life satisfaction. For poverty-single households, older women with over middle school graduation were also higher in life satisfaction, but for poverty-couple households, older women with over middle school graduation and more children were higher.

Keywords

References

  1. 고보선(2003) 제주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한국노년학 23(1), 1-12.
  2.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3. 김교성(2002) 소득이전의 빈곤완화 및 빈곤이행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8, 113-149.
  4. 김동배.박은영(2007) 여성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38,339-358.
  5. 김수정(2007)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원인과 빈곤위험의 젠더격차. 페미니즘연구 17(1), 93-133.
  6. 김영숙(2002) 도시 빈곤노인 가계의 경제적 생활수준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3(3), 95-119.
  7. 김진욱(2004) 한국 소득이전 제도의 소득불평등 및 빈곤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0,171-195.
  8. 김희삼(2008) 사적소득이전과 노후소득보장. 한국개발연구 30(1), 74-130.
  9. 남현주.이현지(2005) 여성 노인이 지각하는 통제감이 우울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7, 255-277.
  10. 박찬임(2005) 복지국가의 고민 자영업자에 대한 사회보장. 국제노동브리핑 3(4), 1-3.
  11. 보건복지가족부(2008) 2007년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보건복지가족부.
  12. 보건복지부(2005) 고시2006년도 최저생계비 개정 고시.보건복지부.
  13. 석재은(2004)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 분석.한국사회복지학 56(2), 167-194.
  14. 석재은.김태완(2000) 노인의 소득실태분석과 소득보장체계 개선방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여지영(2003) 여성가구주와 남성 가구주의 빈곤 차이에 관한 연구 -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여유진(2005)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오승환.윤동성(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연구-도시.농촌.어촌지역을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 연구 32, 119-147.
  18. 오영희.석재은.권중돈.김정석.박영란.임정기(2005)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윤홍식(2004)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소득이전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56(2), 5-27.
  20. 정영숙(2005) 빈곤과 최저생계비 측정에 관한 연구-노인, 모자, 장애인 가구에 대한 비교. 소비자학연구 16(1), 195-207.
  21. 조해경(2002)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성인학습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최옥금(2007)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9(1), 5-25.
  23. 최현수.류연규(2003) 우리나라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3(3), 143-160.
  24. 최희경(2005) 빈곤 여성 노인의 생애와 빈곤 형성 분석. 노인복지연구 27, 147-174.
  25. 허준수(2004)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 127-151.
  26. McLaughlin DK, Jensen L(2000) Work History and U.S. Elders' Transitions into Poverty. The Gerontologist 40(4), 469-479. https://doi.org/10.1093/geront/40.4.469
  27. Rupp K, Strand A, Davies PS(2003). Poverty among Elderly woman; Assessing SSI Options to Strengthen Social Security Reform. Journal of Gerontology 58B(6), 359-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