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Yield and Qual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총체 벼의 직파시기에 따른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 김종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정의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이종경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임영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윤세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맹중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rect seeding time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rice at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and Forag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05 to 2006. Whole crop rice variety, "Namil", was direct seeded at five different calender date (25 April, 10 May, 25 May, 4 June and transplanted at 25 May). The heading date was delayed at late seeding date. Crude protein (CP) was increased with delayed direct seeding date. The content of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NDF(neutral detergent fiber) in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The average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content was 61.5% and it also decreased with delayed direct seeding date. The highest DM (dry matter) yield was seeded at 25 April and transplanted at 25 May, 15,185 and 15,815 kg/ha, respectively. Although delayed direct seeding date decrease the DM yield, mid-May will be recommendable as proper direct seeding date.

본 시험은 직파시기가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5년부 터 2006년까지 축산과학원 초지사료연구센터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 품종은 남일벼로 하였고 4월 25일부터 6월 4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직파하였고 5월 25일 이앙구를 대조구로 하였다. 출수기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지연되었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되었다. ADF 및 NDF 함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평균 TDN 함량은 61.5%이었고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건물수량은 4월 25일 직파 및 5월 25일 이앙구에서 각각 15,185 및 15,815kg/ha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직파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량적인 감소가 있지만 답리작 수확과 연계할 때 5월 중순경 직파를 하는 것이 연중 조사료 생산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수, 전병태, 박석홍. 1990. 다단식 시렁을 이용한 벼 어린묘 육묘기술. 한국작물학회지 34(6):492-496
  2. 김은석, 최진룡, 송근우. 1997. 남부 산간 고랭지에서 담수표면직파 시기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작물학회지. 42(6):699-705
  3. 김종근, 김원호, 서 성. 2006. 벼 대체 사료작물의 재배 및 이용기술.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6년도 학술심포지엄 프로시딩. pp. 59-85
  4. 김종림, 김동암. 1992 춘계 파종시기가 조.만생 연맥의 생장, 사초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2(2):111-122
  5. 농촌진흥청. 1990. 작목별 작업수단별 노동력 투하시간. 농업경영연구보고. 37:6
  6. 농촌진흥청. 1994. 쌀 생산비 절감을 위한 벼 직파 재배기술. p. 153
  7. 농촌진흥청. 2002. 쌀 소비촉진을 위한 연구개발현황과 금후전략
  8. 배순도, 김동길. 1994. 벼 건답직파시기에 따른 애멸구 및 바이러스병 발생. 한국곤충학회지. 33(3):173-177
  9. 최충돈, 김순철, 이수관. 1992. 벼 휴립 건답직파 재배시 파종방법과 파종량이 생욱과 도복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 34(2):62-68
  10. AOAC. 1991. Official method of analysis. Washington, DC
  11.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2. Kim, S.K., Lee, S.P., Lee, W.H., Lee, K.S. and Choi, B.S. 1992. Growth and yield of direct seeded rice in different seeding dates. Korean J. Crop Sci. 37(5):442-448
  13. Kwak, T.S. 1993. Environmental mechanism on seeding stage and ripening period in labour saving-direct sowing rice culture. Korean J. Crop Sci. 37(6):541-549
  14. SAS Institute, INC. 1999. Sas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 Inc

Cited by

  1. Effects of Feeding Whole Crop Rice Silage Harvested at Different Mature Stages on Rumen Fermenta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Hanwoo Steers vol.31, pp.2,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2.191
  2. Effect of Cropping System and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n Forage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Paddy Land vol.32, pp.3,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3.309
  3. Research on Adaptability of Major Varieties for Whole Crop Silage Rice to Wet Seeding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 vol.26, pp.3, 2014, https://doi.org/10.12719/KSIA.2014.26.3.258
  4. Effect of Seeding Methods and Nitrogen Fertilizer Rates on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Whole Crop Rice vol.35, pp.2,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