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bandoned Farmlands Status and Management in Rural Area

우리나라 농촌지역 휴경지.유휴지 현황 및 활용방안

  • 이상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강현경 ((주)기술사사무소 L.E.T 부설 에코플랜연구센터) ;
  • 이승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Owing to the industrialization, the urbanization and cultivation abandonment actual condition, the most abandoned farmlands increased. Those results have occurred inefficient land use and destruction of agricultural ecosystem with the secondary succession. The research for the abandoned farmlands of Korea is fundamental phase. Also, the researches to restore abandoned farmlands are something yet to develop and not established the restoration for ecological value of abandoned farmlands. The objective of research revealed the ecological functions of abandoned farmlands and it presented an application plan. The research method divided i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y. Using abandoned farmlands, Japan government tries to create the ecological parks for the conservation of a vulnerable plant species, dragonfly biotop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research, etc. Accordingly, the goal for the abandoned farmlands coulds be set suitably to Korean situation as of Japanese styl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man-made biotopes.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등, 2003, 절멸위기종 낙지다리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환경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1(2), 83-93
  2. 국립농업과학원, 2003, 2003년도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사업보고서-농업환경연구-
  3. 권택진, 1991, 간척지이용 분배 및 한계농지 활용방안, 한국농어촌경제연구원, 240
  4. 김기성, 1996, 강원도 내 유휴지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논문집,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7, 105-118
  5. 김병택 등, 1995, 한계농지 유휴화 요인과 활용방안-서부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지역개발연구소 자료집, 167
  6. 김상기 등, 1994, 경북지역 유휴.한계농지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북대농업과학기술연구소, 96
  7. 김인호, 2007, 친환경 학교를 위한 학교숲 운동 개선방안-행정주도의 학교숲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1), 121-129
  8. 김점수 등, 1996, 한계농지의 효율적 이용방안, 강원개발연구원, 171
  9. 김정연, 1995, 농촌 취락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농촌계획학회지, 1(1), 89-98
  10. 김정호, 권택진, 1992, 경지유휴화의 실태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15(3), 71-82
  11. 농림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4, 2003 경지면적통계 보고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38
  12. 농림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5, 2004 경지면적통계 보고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35
  13. 농어촌연구원, 2000, 중산간지 조건불리지 역 농경지개발모텔 및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268
  14. 박석두, 김수석, 2005, 휴경농지의 실태와 정책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4
  15.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에코플랜연구실, 습지를 가꾸는 사람들, 2007, 둔촌동 생태계보전지역 모니터링에 의한 관리방안, 87
  16. 신희준, 2005, 농업환경 변화에 따른 농지수급 추세와 전망,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농어촌과 환경, 87, 16-24
  17. 심우경, 1997, 한국형 농촌지역 생물서식공간 조성기법 개발, "농촌지역에 생물서식공간 조성 정책 및 기법"에 관한 국제심포지움, 113-164
  18. 이광우, 심우경, 2001, 휴경지를 활용한 나비원 조성계획 -월악산 골뢰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4(4), 7-16
  19. 이덕재, 이종성, 2008, 내용분석을 이용한 농촌과 산촌 마을홈페이지 체험경관 사진앨범 비교, 농촌계획학회, 농촌계획학회지, 14(4), 47-56
  20. 이정환 등, 1997, 곡물의 중장기 수급 전망과 대응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15
  21. 이한방, 1999, 과소농촌지역의 휴경화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3
  22. 이한방, 2001, 과소농촌지역의 휴경 요인과 유형, 한국지역지리학회,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3), 74-90
  23. 임승빈 등, 1998, 농촌문화마을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공간계획 방향연구, 농촌계획학회지, 4(1), 22-31
  24. 임원현, 이귀옥, 1999, 농촌지역 유휴토지의 관광농업적 활용 한국정원학회지, 17(3), 75-86
  25. 임재환, 1995, 한계농지의 농업적 이용방안, 농어촌진흥공사, 유휴.한계농지의 다목적 활용방안 심포지엄 발표논문, 18
  26. 정영일 등, 1995, 유휴.한계농지의 다목적 활용 방안,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공사, 108, 17-88
  27. 최혁재 등, 2005, 유휴농지의 효율적 활용.관리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62
  28. 姜賢敬 等, 2004, 中山間地における執作放棄水田の植生遷移に影響を及ぼす要因に關する硏究, 農村計劃學會誌, 23(1), 63-70
  29. 九鬼康影, 高橋 强, 1999, 耕作放棄地の活用方法に關す一考察, 農村計劃論文集, 247-252
  30. 深町加律技, 2000, 農村空間における生物相および景觀の保全に關する最近10年間の硏究動向, ランドスヶープ硏究 63(3), 178-181
  31. 有田ゆり子, 小林達明, 2000, 谷律田の士地利用變化と水田.畦畔植生の特性, ランドスヶープ硏究 63(5), 485-490
  32. 冂置佳之, 2002, 生態系復元における日標設定の考え方, ランドスヶープ硏究, 65(4), 278-281
  33. 自然保護年鍵編集委員會, 1996, 自然保護年鑑 4, 自然保護年鑑發行會, 東京, pp. 461
  34. 中村俊彦, 長삼川雅美, 谷ロ薰美, 1997, 灣岸都市千葉市の自然環境の保特, 復元の方 (中村俊彦, 長谷川雅美, 藤原道郞 編 "灣岸都市の牛態系と自然保護"), 信山社ツサイテツク, 東京, 967-979
  35. 中村俊彦, 1993, 都市の中のビ才ト一プ千葉縣立中央博物館生態園: 構想, 設計, 整備 あゆみ, (自然環境復元硏究會編, "ビオト一プ一復元と創造-"), 信山社, サイテツク, 東京, 114-123
  36. 淺見佳世, 中尾昌弘, 未松弘治, 田村和也, 2001, 水生生物の保全を目的とした放棄水田の植生管理手法に關する事例硏究, ランドスヶープ硏究, 64(5), 571-576
  37. 士田勝義, 鹽原明彦, 高山光弘, 1997, 農村地域ιにおけるビオト一プづくりとその評價. 環境情報科學會誌, 26(4), 49-55
  38. Delanoe. O., Montmollin B. and L Oiver, 1996, Conservation of mediterranean island plants, 1, Strategy for Action. IUCN/SSC Mediterrnean Plants Specialist Group, 106
  39. Harker. D., Evans S., Evens M. and K. Harker, 1993, Landscape Restoration Handbook, Lewis Publisher, pp. 661
  40. Krippendorf, K., 2004, Content Anal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Thousand Oaks, SAGE, 440
  41. Terborgh, J., 1986, Keystone plant resources in the tropical forest, Conservation Biology(ed. Soule, M.E.), Sinauer, 330-344
  42. Whitten A. J., 1990, Recovery: A proposed programme for Britain's protected species, Nature Conservancy Council, CSD Report, No. 1089,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