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sk Assessment of Butachlor for the Freshwater Aquatic Organisms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

  • Park, Yeon-Ki (Pesticide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Bae, Chul-Han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Hankooksamgong Co., Ltd.) ;
  • Kim, Byung-Seok (Pesticide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Jea-Bong (Pesticide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You, Are-Sun (Pesticide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Hong, Soon-Sung (Pesticide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Kyung-Hoon (Pesticide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Shin, Jin-Sup (Pesticide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Hong, Moo-Ki (Pesticide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Kyu-Seu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g-Ho (Daegu University)
  • 박연기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배철한 (한국삼공(주) 농업연구소) ;
  • 김병석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이제봉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유아선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홍순성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박경훈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신진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홍무기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이규승 (충남대학교) ;
  • 이정호 (대구대학교)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o assess the effect of butachlor on freshwater aquatic organisms, acute toxicity studies for algae, invertebrate and fishes were conducted. The algae grow inhibi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butachlor (Tech. 93.4%) in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formerly knows as Selenastrum capriconutum), Desmodesmus subspicatus (formerly known as Scendusmus subspicatus), and Chlorella vulgaris during the exposure period of 72 hours. The toxicological responses of P. subcapitata, D. subspicatus, and C. vulgaris to butachlor, expressed in individual $ErC_{50}$ values were 0.002, 0.019, and $10.4mgL^{-1}$, respectively and NOEC values were 0.0008, 0.0016, and $5.34mg\;L^{-1}$, respectively. P. subcapitata was more sensitive than any other algae species. Butachlor has very high toxicity to the algae, such as P. subcapitata and D. subspicatu. In the acute immobilisation test for Daphnia magna, the 24 and $48h-EC_{50}$ values were 2.55 and $1.50mg\;L^{-1}$, respectively. As the results of the acute toxicity test on Cyprinus carpio, Oryzias latipes and Misgurnus anguillicaudatus, the $96h-LC_{50}s$ were 0.62, 0.41 and $0.24mg\;L^{-1}$, respectively. The following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butachlor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toxicological data of algae, invertebrate and fish and exposure concentrations in rice paddy, drain and river. When a butachlor formulation is applied in rice paddy field according to label recommendation,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butachlor in paddy water was $0.41mg\;L^{-1}$ and the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PEC) of butachlor in drain water was $0.03 mg\;L^{-1}$. Residues of butachlor detected in major rivers between 1997 and 1998 were ranged from $0.0004mg\;L^{-1}$ to $0.0029mg\;L^{-1}$. Toxicity exposure ratios (TERs) of algae in rice paddy, drain and river were 0.004, 0.05 and 0.36, respectively and indicated that butachlor has a risk to algae in rice paddy, drain and river. On the other hand, TERs of invertebrate in rice paddy, drain and river were 3.6, 50 and 357, respectively, well above 2, indicating no risk to invertebrate. TERs of fish in rice paddy, drain and river were 0.58, 8 and 57, respectively. The TERs for fish indicated that butachlor poses a risk to fish in rice paddy but has no risk to fish in agricultural drain and river. In conclusion, butachlor has a minimal risk to algae in agricultural drain and river exposed from rice drainage but has no risk to invertebrate and fish.

우리나라에서 벼재배용 제초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butachlor는 농약 사용 성수기($5{\sim}6$월)에 하천수 중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utachlor의 담수조류와 담수무척추동물, 담수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여 독성영향을 구명하였고 위해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utachlor의 담수조류에 대한 생장영향을 알아보고자 녹조류 3종(P. subcapitata, D. subspicatus, C. vulgaris)에 대해 생장저해시험을 수행한 결과, butachlor에 대한 P. subcapitata, D. subspicatus, 그리고 C. vulgaris의 72시간 $ErC_{50}$은 각각 0.002, 0.019, 그리고 $10.49mg\;L^{-1}$이었고, NOErC는 0.0008, 0.0016, 그리고 $5.34mg\;L^{-1}$로 나타났다 Butachlor의 담수무척추 동물인 물벼룩(Daphnia magna)에 대한 24시간 및 48시간 $EC_{50}$ 값은 각각 2.55와 $1.50mg\;L^{-1}$이었고, NOEC는 $0.6mg\;L^{-1}$이었다. Butachlor의 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시험 결과, 잉어(C. carpio), 송사리(O. latipes) 그리고 미꾸리(M. anguillicaudatus)에 대한 96시간 $LC_{50}$ 값은 각각 0.62, 0.41 그리고 $0.24mg\;L^{-1}$으로 나타났다.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별 수서생물에 대한 TER을 산출한 결과, 논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04, 3.6 그리고 0.58로서, 조류와 어류는 우리나라 기준인 2보다 낮아 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로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5, 50 그리고 8로 조류는 2이하로 위해가능성은 있었다. 강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각각의 TER은 0.36, 357 그리고 57로 산출되어 조류는 2이하로 여전히 위해가능성이 있었다.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별 수서생물에 대한 TER을 산출한 결과, 논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04, 3.6 그리고 0.58으로서, 조류와 어류는 우리나라 기준인 2보다 낮아 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로에서 조류,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5, 50 그리고 8으로 조류는 2이하로 위해가능성은 있었다. 강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각각의 TER은 0.36, 357 그리고 57로 산출되어 조류는 2이하로 여전히 위해 가능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butachlor는 녹조류 중 감수성이 높은 P. subcapitata, D. subspicatus 등에 일시적인 개체수 감소 등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나 감수성이 낮은 C. vulgaris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Butachlor의 물벼룩과 어류에 대한 위해 가능성은 배수로 및 강에서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utachlor의 논에 살포시 논에 서식하는 미꾸리의 산란시기($6{\sim}7$월)가 butachlor의 사용시기와 비슷하여 논에 butachlor 사용으로 인한 미꾸리 수정란과 치어에 대한 영향, 개체수 감소 및 회복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hiang H. C., J. H. Yen and Y. S. Wang (1997) Sorption of herbicides butachlor, thiobencarb and chlomethoxyfen in soils. Bull. Envrion. Contam. Toxicol. 58:758-763 https://doi.org/10.1007/s001289900398
  2. Debnath A., A. C. Das and D. Mukherjee (2002) Persistence and effect of butachlor and basalin on the activities of phosphate solubilizing microorganisms in wetland rice soil.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8:766-770 https://doi.org/10.1007/s001280319
  3. EPA (1996) Ecological effects test guidelines
  4. Ferraz, D. G. B., C. Sabater and J. M. Carrasco (2004) Effects Drain River Paddy Drain River of propanil, tebufenozide and mefenacet on growth of four freshwater species of phytoplankton: a microplate bioassay. Chemosphere 56:315-320 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04.01.038
  5. Kasai, F. and S. Hatakeyama (1993) Herbicide susceptibility in two green algae, ChIarella vulgaris and Selenastrum capricornutum. Chemosphere 27(5):899-904 https://doi.org/10.1016/0045-6535(93)90019-2
  6. Kasai, F. (1999) Shifts in herbicide tolerance in paddy field periphyton following herbicide application. Chemosphere 38(4):919-931 https://doi.org/10.1016/S0045-6535(98)00221-5
  7. Ma, J., L. Xu, S. Wang, R. Zheng, S. Jin, S. Huang and Y. Huang (2002). Toxicity of 40 herbicides to the green alga chlorella vulgari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51:128-132 https://doi.org/10.1006/eesa.2001.2113
  8. ECD (2006) OECD Guidelines for testing of chemicals
  9. Sabater, C., A. Cuesta and R. Carrasco (2002) Effects of bensulfuron-methyl and cinosulfuron growth of four freshwater species of phytoplankton. Chemosphere 46:953-960 https://doi.org/10.1016/S0045-6535(01)00179-5
  10. Yu Y. L., Y. X. Chen, Y. M. Luo, X. D. Pan, Y. F. He and M. H. Wong (2003) Rapid degredation of butachlor in wheat rhizosphere soil. Chemosphere 50:771-774 https://doi.org/10.1016/S0045-6535(02)00218-7
  11. Zheng H. and C. Ye (2001) Photodegradation of acetochlor and butachlor in waters containing humic acid and inorganic ion.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7:601-608 https://doi.org/10.1007/s001280166
  12. Zheng H. and C. Ye (2002) Adsorption and mobility of acetochlor and butachlor on soil.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8:509-516 https://doi.org/10.1007/s001280284
  13. 김균, 김용화 (1990) 제초제 butachlor의 토양흡착. 한국환경농화학지 9(2):105-111
  14.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15. 김찬섭, 이병무, 임양빈, 최주현 (2002) Butachlor, ethoproph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흡착에 따fms 용탈잠재성평가. 한국농약과학회 6(4)309-319
  16. 김찬섭, 박경훈, 김진배, 최주현 (2002) Butachlor, ethoproph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중 용탈과 이동성예측. 한국농약과학회 6(4)300-9-308
  17. 농림부(1999) 농업환경 보존을 위한 농약의 표준생태독성시험법 연구
  18. 농업과학기술원 (1997) 시험연구사업보고서
  19. 농업과학기술원 (1998) 시험연구사업보고서
  20. 농촌진흥원 (2007) 농약관리법령 고시 훈령집
  21. 문영희 (1986) 담수토양중에 있어서의 제초제 butachlor의 분해속도에 미치는 각종 토양 환경조건의 영향. 한국 잡초학회지 10(1):41-48
  22. 문영희 (1990) 담수토양중에 있어서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분해에 미치는 중금속의 영향. 한국농화학회지 33(2):138-142
  23. 문영희 (1990) 실외조건의 담수조건중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소설. 한국환경농학회지 9(1):9-13
  24. 문영희, 이왕휴, 양환승 (1990) 담수토양중에 있어서 제초제 butachlor의 분해속도에 미치는 각종 토양환경조건의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10(1):41-48
  25. 문영희, 김영석 (2000) Butachlor, oxadiazon, pretilachlor, thiobencarb 의 토양흡착 및 지표수중 소설. 한국잡초학회 20(1):32-38
  26. 박연기, 박경훈, 주진복, 경기성, 김병석, 신진섭, 류갑희, 배철한, 이규승 (2003) 벼 재배 논 서식 미꾸리에 대한 농약의 영향. 한국농약과학회지 7(2):131-138
  27. 신천철, 이성규, 노정구 (1988) 농약의 노출시간에 따른 급성어독성의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7(2):124-129
  28. 양환승, 이석영 (1976) 토양조성의 차이가 butachlor 흡착에 마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농대 논문집 7:67-73
  29. 오병렬, 정영호, 이병무 (1981) 토양중 butachlr와 nitrofen의 분해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지 24(2):112-119
  30. 이석영 (1980) 토양중 제초제 butachlor의 잔류량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11:73-80
  31. 이재구 (1983)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butachlor, in soil. 한국농화학회지 26(1):53-57
  32. 정영호, 박영선 (1990) 농약학. 전국농업기술자협회
  33. 한국작물보호협회 (2007) 농약사용지침서
  34. 한국작물보호협회 (2007) 농약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