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Changes on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Korea

우리나라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시대적 변천 특성

  • Lee, Kwan-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 Yun, Ju-Che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 이관희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 윤주철 (대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keep a sharp look-out on changes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in Korea from 1962 to 2007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its desirable direction in the near fu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work classification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included under the earth work and in 1974 it had the name which was called landscape architectural process with earth works, and in 1984 the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separated from the earth work but it was still under name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the engineering construction. In 1972 the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began with a 'planting' and a 'pruning' and still consists of 7 work classification total: 'sodding and herbaceous sowing', 'digging out', 'planting', 'digging round the root', 'keeping and management', 'rubble masonry' and 'planting for protection of rocks split section'. The processes consist of 29 sub-processes in total. The lawn construction was mainly established in the 1960s, the planting construction in the 1970s, the keeping and management in the 1980s, split section protection in the 1990s along with new technology with keeping management in the 2000s.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s, the process to be added in the near future could be related to new material and new technology and the process might be much more subdivided.

본 연구는 1962년부터 2007년까지 약 45년간 제정된 토목공사 표준품셈 공종에 속해 있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을 대상으로 시대별 표준품셈의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그 특성을 밝혀 향후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속해 있는 공종 명칭과 관련해서 최초에는 '토공사'에서 1974년에 '토공 및 조경공사' 그리고 1984년에는 '조경공사'로 명칭이 개정되었으나, 현재까지도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토목공사 표준품셈에 조경공사라는 공종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1972년에 조경공사와 관련해서 '식재'와 '전정작업' 품셈이 최초로 제정된 이후 현재는 '떼붙임 및 초류파종', '굴취', '식재', '뿌리돌림', '유지관리', '정원석 쌓기 및 놓기', '암 절개면 보호식재공' 등 총 7개 대공종과 29개 소공종으로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구성되어 있다. 시대별 특성을 10년 단위로 살펴보면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1960년대($1962{\sim}1969$)는 '잔디' 분야, 1970년대($1970{\sim}1979$)는 '수목식재' 분야, 1980년대($1980{\sim}1989$)는 '유지관리' 분야, 1990년대($1990{\sim}1909$)는 '절개면 보호' 분야 그리고 2000년대($2000{\sim}$현재)는 '신소재 및 신공법'과 '유지관리' 분야 위주로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제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신소재 및 신공법' 품셈의 제정과 '유지관리' 분야의 품셈들이 더욱 세분화된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호(2001) 조경시공적산. 도서출판 국제
  2. 건설부(1963-1966, 1968, 1969) 건설공사 토목공사설계 표준품셈. 건설부
  3. 건설부(1977, 1978, 1980, 1984, 1985, 1986, 1988, 1990 1992, 1993. 1998)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부
  4. 경제기획원(1974-1976) 표준품셈(토목부문). 경제기획원
  5. 김종성(1997) 우리나라 조경식물 유지관리품셈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대한건설협회(1970, 1972, 1994, 1995, 1997, 1999, 2000-2004)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7. 박원규(2008a) 조경적산학. 도서출판 조경
  8. 박원규(2008b) 2008년도 조경공사 관련 표준품셈 개정 내용. 월간 '조경생태시공' 통권48호 pp. 112-119
  9. 수서원(1973) 건설공사 표준품셈
  10. 손창구 등(1990) 조경 식재 공사 표준품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23-37
  11. 안관호, 임병훈(2004)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12. 윤근영(1990) 조경 수목 식재공사 품의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3. 이권(1984) 공사비적산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이성진, 이상홍(1992) 표준품셈 체계정립에 관한 연구. 전기통신연구 6(4): 72-79
  15. 이재근(1988) 조경공사 표준품셈 개정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 학술논문 발표회
  16. 장봉진(2001) 수목이식공사의 적산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인식 편저(1981, 1983, 1987, 1989, 1991, 1996)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연구사
  18. 정영선(2002) 되돌아 본 한국조경 30년사. 한국조경학회 30주년 기념집
  19. 정평란(1980) 조경적산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한국건설기술원(2007) 2007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 한국건설기술원
  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5-2007)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2. 한국이공학사(1979, 1982) 표준품셈. 한국이공학사
  23. 한국조경학회(1996) 조경공사표준시방서. 사단법인 한국조경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