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oastal Erosion in Korea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Cho, Kwang-Woo (Strategic Assessment Divis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Maeng, Jun-Ho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Review,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Shin, Hyun-Hwa (Coast & Harbor Division, Dong IL Engineering Consultants Co. Ltd.) ;
  • Joo, Yong-Jun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Review,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조광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전략평가연구실) ;
  • 맹준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검토센터) ;
  • 신현화 (동일기술공사 항만부) ;
  • 주용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검토센터)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attempt to effectively incorporate the environmental issue of coastal erosion into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ss of Korea. We assess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n coastal erosion for the previous development plans and provide potential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The considerable project plans should be screened for the impact of coastal erosion, which occupies about 20% of the total project plans reviewed, and the ratio increased with project scale. In addition to screening process, most process including scoping, baseline study, impact assessment, and follow-up need to be improved. The potential directions of improvement are provided in terms of appropriate guideline development, employment of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follow-up improvement and rearrangement of the preparation regul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Emphasis is given for follow-up process to review post-monitoring period, to employ science compensation, and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institution. Final suggestion is made for the establishments of comprehensive national plan to manage coastal erosion and streamlined environmental process from strategic to project levels based on the national plan.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환경평가제도에서 해안침식 문제를 합리적으로 다루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기존 환경평가서를 대상으로 해안침식 환경평가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기술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안침식 검토가 필요한 개발계획은 전체 검토사업 중 약 20%를 차지하였으며 사업규모가 클수록 그 비율은 증가하였다. 환경평가 대상사업 중 해안침식 검토가 필요한 사업에 대한 재정비와 함께 현재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도 항목설정, 영향예측, 및 사후관리 등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작성규정 재정비,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 누적영향평가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안침식 영향평가의 과학적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사후관리가 주요한 과정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해안침식과 관련하여 사후관리 기간의 재검토, 과학적 보상방안 도입 및 사후관리 기관의 설치 등의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연안토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가종합정책의 개발이 필요하며, 전략 환경평가를 통한 이들 정책 및 계획의 합리성을 검토하고 사업환경평가를 통하여 일관성이 유지되는 과정이 구축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한, 유형석, 정의진 (2008). 해안침식 관리시스템과 그 적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6호, 602-610
  2. 맹준호, 조광우, 주용준, 이지현, 홍재상, 강윤구, 김규한 (2005). 해양매립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효율적인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조공장, 최준규, 박영민, 송영일, 사공희, 이상법, 정주철, 임영신 (2008). 환경평가제도 30년의 성과분석과 발전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 조광우, 맹준호, 주용준, 신현화, 김규한 (2006). 해안개발사업에 따른 해안침식 영향 저감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환경부 (2008). 고시·훈령·예규 등 환경영향평가 관련 규정집. 환경부 환경평가과
  6. 해양수산부 (2002). 연안침식방지 종합대책수립을 위한 조사 연구용역(I). 해양수산부
  7. 해양수산부 (2002). 연안침식방지 종합대책수립을 위한 조사 연구용역(I). 해양수산부
  8. 해양수산부 (2003). 연안침식 모니터링체계 구축용역 I. 해양수산부
  9. 해양수산부 (2008). 연안침식방지 기술개발연구 제3차년도 보고서. 해양수산부
  10. EC (2009). The National Environmental Effects Monitoring Office. Environment Canada. www.ec.gc.ca/eem/English
  11. Eurosion (2004). Living with Coastal Erosion in Europe: Sediment and Space for Sustainability. European Union
  12. FEARO (1994). A Reference Guide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Act. Addressing Cumulative Environmental Effects. Federal Environmental Assessment Review Office. Environment Canada
  13. GC (2004). Smart Regulation-A Regulatory Strategy for Canada. External Advisory Committee on Smart Regulation. Government of Canada
  14. Hanna, K.S. (200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Canada
  15. HCC (2003).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House of Commons Canada. Canada
  16. IAIA (1999). Principl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est Practic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1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orking Group I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8. Tyndall Centre (2006). Research Strategy 2006-2009. Tyndall Centre for Climate Change Research. UK
  19. UNCED (1992). Agenda 21.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Earth Summit. Rio de Janeiro
  20. UNEP (200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raining Resource Manual.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21. USEPA (1998). Principl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A
  22.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