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Symptoms of VDT Syndrome

VDT 증후군의 환경적 요인과 증상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09.10.27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 Recently incidence of VDT syndrome has gradually increased as extensive use of computers. VDT syndrome reported by VDT workers include musculoskeletal disorder, neuropsychiatric disoders and eye symptoms such as eye strain, tired eyes, irritation and blurred visi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VDT syndrome include electromagnetic waves, size, brightness and lighting of computer screen, height of a monitor and a worktable, working hours, kind of task, distance between screen and workers, indoor humidity and temperature, indoor air contamination and ventil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body symptoms and health effects included in VDT syndrome. Methods: Study subjects were total 120 persons (54 male, 66 female) with age from 19 to 28. We surveyed the body symptoms and physical discomfort when doing an activity in a short distance such as reading book or paper, computer work. The questionnaire included main body symptoms, self-consciousness symptoms of eye, satisfaction of working environment, pain of the wrist when using keyboard and mouse. Results: Most of people (70%) felt physical pain from long time work of computer, paper, electrical apparatus. They mainly complained pain of neck and low back (57.1%), eye (45.2%) and head (31%).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78.3% of the subjects complaint pain of eye from inappropriate illumination. Most of the symptoms included 'eye fatigue'(38.3%), 'dryness of eye'(31.9%) and 'blurred vision'(23.7%). Subjects in this study complained discomfort of their chairs and most of them experienced pain in the wrist when using keyboard or mouse. Conclusions: When people use electrical apparatus or work with paper, people would get their eye fatigue and feeling of physical fatigue because of not harmonizi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space, posture, worktable with theirselves. Therefore, workers should develop preventive method such as self-control of adequate break time to avoid fatigue while VDT work. Work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to ergonomic design for optimal visual environment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 through constant research.

목적: 최근 컴퓨터가 대량 보급되면서 VDT 증후군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VDT 증후군은 VDT 작업자들에게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 신경정신계 장애, 눈의 긴장, 피로, 자극과 충혈 등 안과적 증상을 포함한다. VDT 증후군의 환경요인으로는 전자파, 컴퓨터 화면의 크기, 밝기, 조명, 모니터 및 작업대의 높낮이, 작업시간, 작업의 종류, 작업자와 스크린과의 거리, 실내습도 및 온도, 사무실내의 공기오염, 환기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시각 작업으로 인한 VDT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주요 신체증상 및 신체 및 심리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19세부터 28세사이의 남자 54명, 여자 66명으로 총 120명이었다. 책이나 문서 읽기, 컴퓨터 작업 등에 대한 근거리 작업을 할 때에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과 육체적 불편함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에는 근업작업에 따른 주요 신체 증상과 눈의 자각 증상, 작업환경에 대한 만족도, 키보드, 마우스 사용시의 손목 통증 경험 등을 포함하였다. 결과: 장시간 컴퓨터, 문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 대부분(70%)이 신체적인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부위는 주로 목과 허리(57.1%), 눈(45.2%), 두통(31%) 등이었다. 환경적 요인에서는 적절치 못한 조명으로 눈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78.3%였다. 대부분의 증상은 '눈의 피로'(38.3%), '눈의 건조성'(31.9%), '눈의 흐릿함'(23.7%)이었다. 대상자들은 의자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였고 키보드, 마우스 사용 때 손목의 통증은 대부분 경험하였다. 결론: 전자기기, 문서 등을 이용할 때 빛, 공간, 자세, 작업대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이 조화롭지 못해 눈의 피로, 신체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문서작업을 할 때에는 휴식시간에 대한 자기관리와 같은 예방법을 개발하여 눈의 피로를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 최적의 시각적인 환경을 위한 인간공학적 디자인으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Rom W. 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2nd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Boston, pp. 1109-1119(1992).
  2. 김주자, 이경재, "VDT작업 은행원들의 피로자각증상 조사", 대한예방의학회지,38(1):45-52(2005).
  3. Blehm C., Vishnu S., Khattak A., Mitra S., and Yee R. W., "Computer vision syndrome: a review", Surv. Ophthalmol., 50(3):253-262(2005). https://doi.org/10.1016/j.survophthal.2005.02.008
  4. WHO, "Visual display terminals and workers health", Geneva, pp. 85-108(1987).
  5. 김은아, 김양호, 진영우, 채창호, 최용휴, 문영한, "VDT 작업이 안 조절반응과 동공 대광반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지, 30(3):599-608(1997).
  6. 박수찬, 이남식, 장명현, 김철중, "VDT 작업을 위한 최적치수 및 작업자세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0(2):3-13(1991).
  7. Zenz C., "Occupational Medicine", 3rd Ed., Year Book Inc., Mosby, Chicago, pp. 428-443(1994).
  8. 서용원, 최영준, "VDT사용자의 시기능 불편과 굴절이상", 한국안광학회지, 3(1):75-86(1998).
  9. 김정태, 이영익, "VDT 작업자의 주관적 반응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지, 6(3):231-238(1990).
  10. 조윤애, 원종상, 안기정, "VDT 작업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지, 37(12):1991-1995(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