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First Marriage Formation: Marriage Delayed or Marriage Forgone?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결혼 연기 혹은 독신?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first marriage form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whether higher education is associated primarily with delayed marriage or with a higher likelihood of never marry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nd toward later and less marriage is occurring at all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in Korea. The data also indicated that educational attainment showe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risk of first marriage formation for Korean men and women. For those born before 1970, both highly educated men and women delayed marriage but caught up by marrying at higher rates at later ages. However, for those born after 1970, highly educated women were increasingly more likely to show the trend toward later and less marriage, while highly educated men were more likely to delay marriage but caught up by marrying at higher rates at later ages. Overall the evidence in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the argument that gender divisions make it difficult for women to balance work and family in Korea.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이 수집하고 있는 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고등교육의 획득이 단순한 결혼의 연기로 이어지는지 아니면 결혼의 연기뿐만 아니라 생애 동안 결혼을 하지 않을 개연성 또한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남녀 모두 최근의 출생 코호트로 올수록 결혼을 연기할뿐만 아니라 결혼을 하지 않는 개인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러한 출생 코호트별 격차는 모든 교육수준에서 공통적으로 관측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또한 교육의 효과가 출생 코호트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는데, 1970년 이전에 출생한 코호트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은 초기에는 결혼을 하는 비율이 낮지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결혼을 함으로써 교육으로 인해 연기된 결혼을 사후적으로 따라잡기 하는 현상이 남녀 모두에서 관측되었다. 그러나 1970년 이후에 출생한 코호트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의 따라잡기 현상은 남성의 경우에 뚜렷하게 관측되는 현상으로 나타나지만, 여성의 경우 고학력 여성들이 결혼을 하지 않고 미혼으로 남아 있는 비중은 저학력 여성들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상이한 패턴을 보였다. 기존 연구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최근으로 올수록 남성들의 경우 저학력 남성들이 배우자를 찾을 기회가 상대적으로 취약해지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으며, 여성들의 경우 고학력 여성들을 중심으로 결혼을 연기할 뿐만 아니라 생애 동안 결혼을 하지 않을 개연성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성분리 규범이 강하게 작용하는 사회의 경우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효과가 성별로 상이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권, 최민자, 이연주, 박정한, 선우덕, 조성현, 곽혜경, 조애저, 김유경, 강옥희 (2003) '저출산 대비 인구정책 개발 및 범정부추진체계 수립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박경숙, 김영혜, 김현숙 (2006)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원인: 계층혼, 성역할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 28(2): 33-62
  3. 은기수 (1995)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규범과 순서규범' '한국인구학' 18(1): 89-117
  4. 은기수 (1999)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생애사건 연쇄분석' '한국인구학' 22(2): 47-71
  5. 이삼식 (1993) '한국인의 혼인행태 변화분석' '한국인구학' 16(2): 84-110
  6. 이삼식 (2006) '가치관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7. Allison, P. D. (1982) 'Discrete-Time Methods for the Analysis of Event Historie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61-98 https://doi.org/10.2307/270718
  8. Becker, G. S. (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9. Blossfeld, H. and J. Huinink (1991) 'Human Capital Investment or Norms of Role Transitions? How Women's Schooling and Career Affect the Process of Family Form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7(2): 143-168
  10. Blossfeld, H. and U. Jaenichen (1992) 'Educational Expansion and Changes in Women's Entry into Marriage and Motherhood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2): 302-315 https://doi.org/10.2307/353062
  11. Bruderl, J. and A. Dickmann (1997) 'Education and Marriage: A Comparative Study' University of Munich, University of Berne
  12. Efron, B. (1988) 'Logistic Regression, Survival Analysis, and the Kaplan-Meier Curve'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3:414-425 https://doi.org/10.2307/2288857
  13. Fahrmeir, L. and S. Wagenpfeil (1996) 'Smoothing Hazard Functions and Time-Varying Effects in Discrete Duration and Competing Risks Model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1: 1584-1594 https://doi.org/10.2307/2291584
  14. Goldstein, J. R. and C. T. Kenney (2001) 'Marriage Delayed or Marriage Forgone? New Cohort Forecasts of First Marriage for U.S. Wom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4): 506-519 https://doi.org/10.2307/3088920
  15. Hamplova, D. (2003) 'Marri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A Dynamic Approach to First Union Formation' Czech Sociological Review 39(6): 841-863
  16. Huinink, J. and M. Kreyenfeld (2004) 'Family Formation in Times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 An Analysis of the 1971 East German Cohort' MPIDR Working Paper WP 2004-013. Max 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17. Katus, K., A. Puur, A. Poldma, and L. Sakkeus (2007) 'First Union Formation in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Patterns across Countries and Gender' Demographic Research 17(10): 247-300
  18. Oppenheimer, V. K. (1988) 'A Theory of Marriage Timing'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3): 563-591 https://doi.org/10.1086/229030
  19. Raymo, J. M. (2003)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e Transition to First Marriage among Japanese Women' Demography 40(1): 83-103 https://doi.org/10.1353/dem.2003.0008
  20. Singer, J. D. and J. B. Willett (2003)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1. Waite, L. J. and G. D. Spitze (1981) 'Young Women's Transition to Marriage' Demography 18(4): 681-694 https://doi.org/10.2307/206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