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ted Students' Personality and Types of Ego-gram Based on Eric Borne's Transactional Analysis

영재아의 성격유형과 자아상태 분석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ifted students' gender difference in ego state and personal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 types and the temperable types in personality traits and relations between gifted students' ego state and their personality traits by Ego-gram test based on Borne's personality theory and MMTIC test based on Jung's psychological the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 of gifted students of K Gifted Center, The data analyzed by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in accordance with each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material data for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and for guidance in students' human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ego state and personality traits in two dimensions. Second,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Korean standardization in the functional types and the temperable types of personal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olid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ego-gram and personality of gifted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영재아를 대상으로 남녀 영재들의 성격유형과 자아상태의 차이 그리고 성격유형의 기질별, 기능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아들의 성별에 따른 성격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판단방식 측면에서 남아와 여아 간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며 자아상태에서는 영재 여아가 남아보다 자유스런 어린이자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아의 기질별 기능별 성격유형의 특성에서는 영재 집단이 한국판 표준화와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질면에서는 한국판 표준화에 비해 NT형의 분포가 월등히 높은 반면 SJ형의 분포는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면에서는 NT형의 분포가 한국판 표준화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리적 기능유형에 따른 자아상태의 분석 결과에서 영재아의 자아상태유형은 어떤 판단을 내릴 때 기준으로 삼는 감정형(F)과 사고형(T)의 성격특성과 관련 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미 (2008). 5요인 성격모형을 이용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특성 비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정택, 심혜숙 (1993) 어린이 및 청소년 성격유형검사 안내서. 서울: 한국심리검사 연구소
  3. 김정택, 심혜숙 (2000). 16가지 성격유형의 특성.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4. 남경숙 (1995). MBTI의 성격유형과 Ego-gram의 자아상태와의 관계.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문정화, 이승희 (1993) 인문화 검사를 통한 영재아와 비영재아의 심리적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2(1), 239-251
  6. 방희정 (1996). 성고정 관념: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설체. 김태련외 5 인. 여성 심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7. 배미란 (2002). 5요인 인성 모형에 기초한 과학영재들의 성격 연구. 연셰교육연구, 15(1), 55-75
  8. 서준석 (2001). 교사의 성격유형과 자아상태와의 관계: MBTI의 4가지 심리기능과 교 류분석의 Ego-Gram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성은현 (1998). 성별, 결혼, 연령이 성격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3(1), 51-63
  10. 심혜숙, 임승환 (1997). 성격과 삶의 양식.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1. 우재현 (1991) 심성 개발을 위한 TA프로그램. 대구: 우신출판사
  12. 우재현 역 (1993). 이고그램. 대구:정암서원
  13. 이병래 (1998)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자아상태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3(2)
  14. 이순형 (1995). 여성의 심리(하). 양서원
  15. 이현정 (2006). 사립유치원 교사의 에고그램에 의한 성격유형과 역할수행인식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혜영 (2003). MBTI를 이용한 영재학생의 성격유형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장선심 (2006). 초기 청소년의 자아상태 및 인생태도와 성격특성과의 관계. 한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18. 장언효, 조석희 (1980). 영재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118
  19. 장휘숙 (1996). 여성 심리학-여성과 성차. 서울: 박영사
  20. 전경원 (1992). 휴머니즘에 업각한 특수한 영재교육. 양서원
  21. 정순진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과 학습양식 비교.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조숙자 (1996) 사회 행동의 발달과 성차. 김태련 외 5 인 여성심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3. 최윤정 (1999). 청소년의 자아상태와 공격성의 관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최원현 (2000). MMTIC에 의한 초등학생의 성격유형과 학습양식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한국교류분석협회 (1994). 교류분석 (TA) 체크리스트. 대구: 정암서원
  26. Ablard, K. E. (1997). Self-perceptions and needs as a function of type of academic ability and gender. Roeper Review, 20(2), 110-115 https://doi.org/10.1080/02783199709553870
  27. Bartell, N. P., & Reynolds, W. M. (1986).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academically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 A comparison study.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4(1), 55-61 https://doi.org/10.1016/0022-4405(86)90042-7
  28. Beme, E. (1957). Egostates in psychotherapy, Amer J Psychoth, 11, 293-309
  29. Beme, E. (1964). Games people play. New York: Grove Press
  30. Best, D. L., & Williams, J. E. (1993). A cross-cultural viewpoint. In A.E. Beall & R.J. Sternberg(Eds.), The psychology of gender(215-248). New York; Guilford Press
  31. Brody, L. E., & Benbow, C. P. (1986). Social and emotional adjustment of adolescents extremly talented in verbal or nathematical reasoning.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e, 15(1), 1-18
  32. Coleman, J. M., & Fults, B. A. (1983). Self-concept and gifted children. Roeper Review, 44-47
  33. Fairhust, A. M., & Fairhurst, L. L.(1995). Effective teaching effective learning: Marking the personality connection in your classroom. Palo Alto, Davis-Black, Inc
  34. Getzels, J. W., & Jackson, P. W. (1962). Creativiη and 1ntelligence. London: John Wily and Sons
  35. Gross, M. U. M (1993).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NY: Routledge
  36. Honig, A. S., & Wittmer, D. S. (1994). Encouraging positive soci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9(5)), 4-12
  37. Janos, P. M., & Robinson, N. (1985).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In F. D. Horowitz & M. O'brien (Eds.), The gifted and talented.Developmental perspectives (pp. 149-196).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8. Keirsey, D. (1982). Word Learning with Hierarchy Guided lnferen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lntelligence (AAAI-82, Pittsburgh). Los Altos, CA: Morgan Kaufmann
  39. Keirsey, D., & Bates, M. (1984). Please understand me. Del Mar, CA: Prometheus Nemesis
  40. Lawrence, G. (1984). A synthesis of learning style research involving the MBTI. Journal of psychological Type
  41. Lian, Hwang (1990). Self-esteem of gifted, normal and mild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Adolescene, 27(3), 263-268
  42. Martinson, R. A. (1973). The l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National State Leadership Training on the Gijied and the Talented. 176-182
  43. Montour, S. (1977). William James Sidis, the hroken twig. American Psychologist, 32. 265-279 https://doi.org/10.1037/0003-066X.32.4.265
  44. Myers, I. B., & McCaully, M. H. (1985). Manual: A Guide to the Development.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45.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 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2.3.357
  46. Patterson, C. j., Kupersmidt, J. B., & Griesler, P. C. (1990). Chíldren’s perceptions of self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function of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1, 1335-1349 https://doi.org/10.2307/1130746
  47. Schaefer, E. S., & Bayley, N. (1963). Maternal behavior child hehavior, and their intercorrelation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28(3)
  48. Schurr, K. T., Henriksen, L. W., Alcorn, B. K., & Dillard, N. (1992). Tests and Psychological Types for nurses and teachers: Clasroom achievement and standardized test scores measuring specific training ohjictives andgeneral ability. Journal of Psychological Type. 23, 38-44
  49. Silverman, L. K. (1993). The Gifted Individual. In L. K. Silverman (Ed.), Counselig the gifted and talented. Colorado: Love Puhlishing Company
  50. Tallmage, G. K., & Shearerm J. W. (1969).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styles,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nature of learning experienc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0, 222-230 https://doi.org/10.1037/h0027623
  51.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Y: Macmillan
  52. Torrance, E. P. (1965). Rewarding creative behavìor. Englewood Cliffs, NJ: Prentive-hall
  53. Waldrop, M., & Halerson, C. (1975). Intensive and extensive peer behavior; Longitudinal and cross-scctional analysis. Child Development. 436, 19-26
  54. Whalen. S., & Csikazentmihalyi, M. (1989). A comperison of the self-image of teenagers with a normal adolescent popul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8(2), 131-146 https://doi.org/10.1007/BF02138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