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hion Trend Acceptance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mong Digital Generation Male Consumers

디지털세대 남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패션트렌드 수용도와 패션정보원

  • Kim, Yeo-Won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Jong-Myoung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여원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 최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fashion information acceptance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mong digital generation male consumers. The subject were 349 male who were belonging to digital generation as the digital era's new consumers familial with internet and various kinds of digital media.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 test, $\chi^2$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WIN 12.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digital generation males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fashion oriented, impulse buying, aesthetic pursuit, individuality pursuit, practical type and reasonable economy. Based on the factor scores, 3 clusters were identified; independent, unconcern, high involvement. Second, the high involvement shopping group utilized various information 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unconcerned shopping group was passive in utilizing information sources. Third, the fashion information acceptance of digital generation was classified into 5 factors: searching, leading, following, non-accepting, and delaying acceptance. All fashion information acceptance factors were affected b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a. Finally, The high involved type of shopping group accepted fashion information at its most and actively.

Keywords

References

  1. 김숙현 (2001).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티브 패션트렌드의 수용현황과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주희, 박옥련 (2004). “20-30대 남성소비자의 가치의식에 따른 의류쇼핑 성향과 정보원 활용.” 한국생활과학회지 13권 2호.
  3. 김주희, 박옥련 (2005). “남성소비자의 패션의식에 따른 쇼핑 행동연구: 구매행동, 쇼핑 성향, 정보원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권 1호.
  4. 김지영 (2007). “디지털 신세대의 문화코드와 패션 경향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11권 1호.
  5. 김지현, 홍금회 (2000).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 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권 1호.
  6. 김찬주 (1998). “유행선도력에 의한 세분화된 남성소비자 집단의 특성 비교.” 복식 37호.
  7. 김현경 (2003). “메가트렌드의 형성요인과 디자인 트렌드 분석: 패션디자인의 관점과 20세기 후반 디자인 색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혜영 (1997). “상품 기획 과정에서 사용하는 패션 정보의 감성 요소에 대한 연구(I).” 복식문화연구 5권 3호.
  9. 김희수 (2005). “패션 라이센스브랜드의 소비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 연구: 20대.30대 여성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현지 (2003). “20-30대 남성소비자의 의복 구매 행동수준에 따른 쇼핑 성향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지역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노혜경, 이경희 (2002). “소비자 착장 스타일에 나타난 패션트렌드 수용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권 5호.
  12. 두산백과사전 [2007년 2월 26일 검색]. EnCyber & EnCyber.com;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100.naver.com/100.nhn?docid=797664
  13. “디지털 문화소비를 선도하는 C세대” (2006년 3월 28일 [2007월 3월 25일 검색]). 헤럴드 생생뉴스;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news.naver.com/
  14. 성희원, 전양진 (2006). “디지털세대 남성의 인터넷 쇼핑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권 11호.
  15. 손훈재 (1997). 95/96 한국패션 정보산업의 과제. 섬유패션연감. 한국섬유신문사.
  16. 송영진 (2003). “어머니의 의복소비성향이 유아복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신수래 (2003). “자아개념에 따른 패션 트랜드 수용도와 의복쇼핑성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수연 (2001). “20-30대 성인 남성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 성향, 점포속성중요도,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권 6호.
  19. 안미영, 박재옥 (2003) “사이버쇼핑 이용자의 의류쇼핑 성향에 따른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구매의도.” 한국의류학회지 27권 7호.
  20. 윤미라 (2000). “남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선호점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 거주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연정 (2000). “N세대의 인터넷 패션 상품 정보탐색과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운현 (2001). “Mass Fashion의 패션트랜드 예측정보 수용도: 1990년대 후반 캐주얼정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재현 (2000). 인터넷과 사이버 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4. 이홍림 (2000). “패션디자인기업의 머천다이징 정보활용에 따른 정보데이터베이스 분류에 관한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6권.
  25. 정재은, 정성지 (2004). “인터넷 패션 소비자의 의복 쇼핑성향과 판촉활동에 대한 수용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권 8호.
  26. 조윤정 (2000).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추구혜택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하오선, 신혜원 (2001). “인터넷 의류구매자의 의류 쇼핑 행동, 태도 및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25권 1호.
  28.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정책개발팀 (2006년 1월 [2009년 2월 9일 검색]). “2006년 한국문화콘텐츠산업 10대 전망”;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kocca.kr/sub/contents/CMContent.srt?method=view
  29. Jernigan, M. H. and C. R. Easterling (1997). 패션 머천다이징 & 마케팅. 임숙자 외 4 역. 서울: 교문사.
  30. Lewis, David and Darren Bridger (2001). 디지털시대의 신 소비자 혁명. 삼성전자 글로벌 마케팅 연구소 역. 서울: 위즈덤 하우스.
  31. LG경제연구원 (2005년 10월 12일). “신세대 소비백서 5.” LG 주간경제.
  32. Naisbitt, John and Patricia Aburdene (1990). 메가트렌드 2000: 1990년대 대변혁 10가지!. 김홍기 역.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33. Popcom, Faith and Lys Marigold (1996). 클릭! 미래속으로. 조은정, 김영신 역. 서울: 21세기 북스.
  34. Solomon, Micheal R. and Nancy J. Rabolt (2006). 패션과 소비자 행동. 이승희, 김미숙, 황진숙 역.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35. Greenwood, K. M. (1998). Fashion Innovation & Marketing. New York: Macmillian Publishion Co.
  36. How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and life style on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37. Shim, S.& Kotsiopulos, A. (1992). Patronage behavior apparel shopping: Part I. Shopping orientations,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10, No.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