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Watershed Model for Predicting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

도시 지역의 유출량 변화 예측을 위한 유역 모델 연구

  • Lee, Hye-W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이혜원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07.31
  • Accepted : 2009.11.12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was applied to Princeton University campus, USA to predict the change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Topography and infra structure of urban area are used in detail and watershed is made as form of regular squar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ata. Princeton campus was divided into 131 sub-basins and model input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DEM (Digital Elevation Model), land use type, and campus management map, etc.. The model was validated based on the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The validate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urbanization, which are two different scenarios: 50% and 100% increase of impervious area. The increase of impervious area causes the increase of runoff, especially in the first-flush.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적의 증가가 도시지역의 유출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델을 미국 프린스턴 대학 캠퍼스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시지역의 하수관거망을 고려하여 정밀한 지형 및 인프라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모형의 유역을 격자 형식으로 제시하고, GIS를 활용하여 지형인자를 추출하였다. 모델의 격자망은 구축 자료의 사용 용이성 및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200${\times}$200 ft (60.96${\times}$60.96 m)의 정사각형 형태의 131개의 소유역으로 구성하였다. 적용성이 검토된 도시지역의 SWMM 모델을 이용하여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적의 증가가 지표면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불투수면적이 50% 및 100%로 증가했을 경우의 유출량 증가를 검토하였다.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초기 강우시 유출량의 증가율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강우 강도시에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J. G., and Heaney, J. P., “Estimation of urban imperviousness and its impacts on storm water systems,” J. WATER RES. PL.-ASCE., September/october, 419~426(2003)
  2. Pappas, E. A., Smith, D. R., Huang, C., Shuster, W. D., and Bonta, J. V., “Impervious surface impacts to runoff and sediment discharge under laboratory rainfall simulation,” Catena, 72, 146-152(2007) https://doi.org/10.1016/j.catena.2007.05.001
  3. Farahmand, T., Sean, W. F., and Quilty, E. J., “Detection and visualization of storm hydrograph changes under urbanization: An impulse response approach,” J. Environ. Manage., 85, 93-100(2007) https://doi.org/10.1016/j.jenvman.2006.08.004
  4. 이범희,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도시화 유역에서의 유출 관리 방안 연구," 한국지구물리학회지, 9(4), 321-331(2006)
  5. 박정규, 박영기, "도시화의 영향에 따른 유출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관리학회지, 14(1),9-16(2008)
  6. Rahmat, S. N., Yusop, Z., and Abustan, I., “Modeling of stormwater quality from residential catchment using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 National Conference-Water for sustainable developed towards a developed nation by 2020, Malaysia, 1~8(2006)
  7. Jang, S., Cho, M., Yoon, J., Yoon, Y., Kim, S., Kim, G., Kim, L., and Aksoy, H., “Using SWMM as a tool for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Desalination, 212, 344-356(2007) https://doi.org/10.1016/j.desal.2007.05.005
  8. 박민지, 권형중, 김성준, "HSPF 모형을 이용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유출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8(6), 495-504(2005)
  9. 이승종, 김영오, 이상호, 이길성, "WEP 모형을 이용한 도림천 유역 물순환 모의,"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8(6), 449-460(2005)
  10. Park, S. Y., Lee, K. W., Park, I. H., and Ha, S. R., “Effect of the aggregation level of surface runoff fields and sewer network for a SWMM simulation,” Desalination, 226, 328-337(2008) https://doi.org/10.1016/j.desal.2007.02.115
  11. 박준호, 유용구, 박영곤, 윤희택, 김종건, 박윤식, 전지홍, 임경재, "SWMM을 이요한 춘천 거두 1지구의 LID 개념 적용으로 인한 유출 감소 특성 분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4(6),806-816(2008)
  12. 김정곤, 손경호, 노준우, 정창래, 고익환, "SWAT 모델을 이용한 갑천유역에 대한 수문 특성 분석 및 도시화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39(10), 881-901(2006)
  13. 배인희, 박정은, 박석순, "분산형 비점오염원 모델에서 단위 유역 크기의 민감도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7(9), 952-957(2005)
  14. Leon, L. F., Soulis, E. D., Kowen, N., and Farquhar, G. J., “Nonpoint source pollution: a distributed water quality modeling approach,” Water Res., 35(4), 997-1007(2001) https://doi.org/10.1016/S0043-1354(00)00336-5
  15. 유금환, 오경미, 박희경,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한 분포형 비점오염원 모델의 격자크기에 따른 매개변수 민간도 분석," 대한환경공학회 99추게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I), 대한환경공학회, 광주, pp. 363-364(1999)
  16. 양인태, 김연준, "수문해석을 위한 DEM에 의한 지형의 경사도분석에서 격자크기의 영향," 한국측지학회지, 15(2), 221-230(1997)
  17. Rossman, L. A., Strom Water Managment Moel, Ver. 5.0, User's Manual, U. S. EPA(2004)
  18. McCuen, R. H., Johnson, P. A., and Ragan, R. M., “Highway Hydrology,” U. 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Hydraulic Design Series, (1996)
  19. ASCE, Gravity Sanitary Sewer Design and Construction, ASCE Manual of Practice No. 60, New York, NY. (1982)
  20. ASCE, Design & construction of UrbanStormwater Management Systems, New York, NY. (1992)
  21. Jenkin, E. D., “Ground-Water Management in Western Kansas,” J HYDRAUL ENG-ASCE, 109, 1314-1322(1983)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3)109:10(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