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Volume and Air Quality Using Existing Monitoring Data

기존 교통량/대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자료를 활용한 상관성 분석

  • Received : 2009.03.22
  • Accepted : 2009.08.24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As the level of the ambient air qualit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ransportation management strategies tend to incorporate air quality standards into their measure of effectiveness. However, previous research efforts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traffic volume and air quality, potentially due to the lack of data.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using Seoul's existing traffic and air quality monitoring data collected over the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05 through 2007. In particular, those paired monitoring sites with a distance of less than one kilometer apart were utilized, targeting the emissions of CO, NO, $NO_2$, and $PM_{10}$. As a result, in general the data of two monitoring systems exhibited lower correlations, $NO_2$ showing a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with traffic volumes than other emiss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rrelation can be higher for the data obtained over the morning time period, 6am-9am, and the day after rainy days.

대기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면서, 교통관리 전략 수립에 대기질 개선여부를 반영시키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자료수집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서 교통량과 대기질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는 많이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구축해온 2005년~2007년 3년간의 대기 및 교통 모니터링 자료들을 활용하여 그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두 모니터링 시스템간의 이격거리가 반경 1km이내의 지점만을 선별하고 그룹화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오염물질로는 CO, NO, $NO_2$, $PM_{10}$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 현재 구축된 두 자료의 상관성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타 오염물질에 비해 $NO_2$는 상대적으로 교통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오전시간대, 강수 다음날의 자료를 사용한 경우 그 상관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우택.김형철(1997), '교통량특성과 거리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분포에 관한 연구(성남시의 NOXCO를 중심으로)', 대한위생학회지, 제12권 제3호, 대한위생학회, pp.41-49
  2. 권우택(2005), '교통 및 미기상에 의한 대기오염 물질의 확산분포에 관한 연구', 환경관리학회지, 제11권 제4호, 환경관리학회, pp.249-261
  3. 대기환경연구회(2003), '대기환경개론'
  4. 박성규.김신도.이영인(2001),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산정 방법론 설정에 관한 비교 연구(강남구의 실시간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35-47
  5. 서울시(2006),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 기본계획 추진을 위한 서울특별시 시행계획'
  6. 서울시(2007), '서울시 미세먼지 특성분석'
  7. 태드 고디쉬 (한화진 외 3인 옮김)(2005), '대기환경론'
  8. 환경관리공단(2004), '측정망 설치.운영실태 평가 및 기본계획 조정을 위한 연구 용역'
  9. 환경부(2005), '대기오염측정망 기본계획(2006-2010)'
  10. 환경부(2006),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지침'
  11. 환경부(2007), 비산먼지의 효율적 저감방안 마련을 위한 워크숍
  12. 홍민선.우완기.최종인(1993), '대도시 교통신호 시스템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대기보전학회지, 제9권 제1호, pp.93-100
  13. Costabile, F and Allegrini, I (2008). A new approach to link transport emissions and air quality: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based on the control of traffic air pollution,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3, pp.258-267 https://doi.org/10.1016/j.envsoft.2007.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