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graduates' Response Pattern on the Problem-Solving-Typ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문제해결형 일반화학 실험에서 나타나는 대학생의 반응유형

  • Lim, Hee-You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
  • Kang, Seong-J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 임희영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 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dergraduates' characteristics of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analysis of the response patterns on problem-solving laboratory. For this purpose, 18 freshmen taking a problem-solving-typ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had been interviewed for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solv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tudents' responses have been classified into five types; trying to solve problems using new factors, trying to solve problems by finding missing factors in manual, recognizing problem-situations but just repeating the given process, not recognizing problem-situations but trying to solve doubts generated during execution, satisfying about results, and taking no further ac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materials to suggest the role model of the students' laboratory execution and to look back on each students' execu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형 탐구실험(Problem-Solving Laboratory)에서의 문제 상황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문제 해결과정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형 일반화학 실험을 1학기 동안 수강한 1학년 1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문제 상황에 대한 반응유형은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에 대한 반응유형은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해결 시도, 실험매뉴얼 내에서 본인 간과한 변인 탐색 시도, 문제 상황을인식하였으나 같은 과정의 반복 시도, 결과에 만족하나 실험 수행 중에 발생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 실험결과에도 만족하고 자신의 실험수행과정에 의심하지 않고 실험 중단의 5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과정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자기가 수행한 과정을 되돌아보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노석구, 이희순, 홍석인, 최선영, 원용준, 하정원, 김지선(2001). 창의력 계발을 위한 자연과 교수${\cdot}$학습 자료 개발 -2.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89-101
  2. 김영신, 양일호, 박경숙(2006). 대학교 과학 실험 수업의 질 분석. 중등교육연구, 54(1), 79-94
  3. 김희경, 송진웅 (2003). 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54-264
  4. 양일호, 정진우, 김영신, 김민경, 조현준(2006a).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cdot}$상호작용${\cdot}$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5), 509-520
  5. 양일호, 조현준(2005). 학교 과학수업에서의 실험의 목적에 대한 고찰. 초등과학교육, 24(3), 268-280
  6. 양일호, 조현준, 정진우, 허명, 김영신 (2006). 학교과학교육에서 실험활동의 목적: 전문가 커뮤니티를 통한 델파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177-190
  7. 양일호, 조현준, 한인경(2006b). 초등과학교육에서 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235-252
  8. 윤덕근, 김성하, 차희영, 이길재, 정완호(2004), 과학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물 실험 모듈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56-564
  9. 이은경, 강성주(2008).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문제 해결형 탐구 모듈에서의 SWH 활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0-138
  10. 이화정, 강성주(2005). 교사 양성 대학에서의 일반화학 실험 개선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46-352
  11.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2002).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12. 조연순, 성진숙, 채제숙, 구성혜(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07-328
  13. 조연순, 최경희(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29-343
  14. 최경희, 조연순, 조덕주(1998).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육과정 연구-현행 교육 과정과 수업현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49-160
  15. 홍미영, 박윤배(1994). 대학생들의 기체의 성질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43-158
  16. AAAS(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A Project 2061 Report on Literacy Goals in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Washington, D. C. AAAS, pp. 11-15
  17. Blosser , P. E. (1988). Lab-Are They Really as Valuable as Teacher Think They are? The Science Teacher 55(5). 57-59
  18. Bodner, G. M. & Herron, J. D. (2002). Problem-solving in Chemistry. In Gilbert, J. K. & Jong, O. D. & Justi, R. & Treagust, D. F. & Driel J. V. (Eds.) Chemical Education: Towards Research-based Practice (pp. 235-266).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Booth, S. (1997). On Phenomenography: Learning and Teaching.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16, 135-158 https://doi.org/10.1080/0729436970160203
  20. Chang, C. Y., & Weng, Y. H.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in Earth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441-451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66502
  21. Domin, D. S. (1999). A Review of Laboratory Instruction Styles. J. Chem. Ed., 76(4), 543-547 https://doi.org/10.1021/ed076p543
  22. Dunbar, K. (1993). Concept Discovery in a Scientific Domain. Cognitive Science Society, 17, 397-434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1703_3
  23. Dunbar, K. (2000) How Scientists Think in the Real World: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1), 49-58 https://doi.org/10.1016/S0193-3973(99)00050-7
  24. Germann, P. J., Aram, R. A., & Burke, G. (1996). Identify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79::AID-TEA5>3.0.CO;2-M
  25. Hofstein A., & Lunetta, V. 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 28-54 https://doi.org/10.1002/sce.10106
  26. Hofstein, D. (1988). Practical Work and Science Education Ⅱ. In, P. Fensham (Ed.). Development and Dilemmas in Science Education(pp. 188-217). London: The Farmer Press
  27. Johnson, A. M. F. (2006).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General Chemistry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Regarding Knowledge Transfer: A Phenomenographic Study.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Indiana
  28. Kampourakis, C., & Tsaparlis, G. (2003). A Study of the Effect of a Practical Activity on Problem Solving in Chemistr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4(3), 319-333 https://doi.org/10.1039/b2rp90047e
  29. Kvale, S. (1987). Validit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Methods: A Journal for Human Science, 1(2), 37-72
  30. McGarvey, D. J. (2004). Experimenting with Undergraduate Practicals. U. Chem. Ed., 8, 58-65
  31. NRC (1996). Science Teaching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7-54
  32. Roth, W. M. (1994). Experimenting in a Constructivist High School Physics Labora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97-223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9
  33. Staer, H., Goodrum, D., & Hackling, M. (1998). High School Laboratory Work in Western Australia: Openness to Inqui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2), 219-228 https://doi.org/10.1007/BF02462906
  34. Tobin, K. (1990). Research on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5), 403-418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722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