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Hwabyung (2) - Tools for Development -

화병 임상진료지침 개발 연구 (2) - 지침 개발에 활용되는 도구 -

  • 정선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Objectives : The approach to Hwabyung from all angles is needed to develop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 achieve this approach, various tools should be used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Methods : We gather the tools based on multi aspects of Hwabyung's characteristics. The tools will be used to each steps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Results : For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ere should be applied many kinds of tools, such as for decision and assesment, survey with oriental medicine property, collecting individual stress information, mental and psychological trait, and related or following disease. Conclusions : Application of many objective tools provides the evidence-based medical approaches for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Hwabyung.

Keywords

References

  1. 신승수. 임상진료지침의 개발. 한국의료QA학회지. 2003;10(2):266-77.
  2. 이희영, 김종우, 박종훈, 황의완. 화병의 진단 및 변증유형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1):1-17.
  3. 민성길, 김진학. 보길도에서의 홧병에 대한연구. 신경정신의학. 1986;25(3):459-66.
  4. 김종우, 권정혜, 이민수, 박동건. 화병면담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04;9(2):321-31.
  5. 임현주, 김석환, 이상룡, 정인철. 화병변증도구 개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5):1071-7.
  6. 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Diagnosis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 Washington, DC: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4:846.
  7. 민성길. 화병의 개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89;28(4):604-16.
  8. 민성길, 소은희, 변용옥. 정신과의사 및 한의사들의 화병에 대한 개념. 신경정신의학. 1989;28(1):146-54.
  9. 전겸구, 김종우, 박훈기. 화병환자와 일반주부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 스트레스 연구. 1998;6(1):9-24.
  10. 김종우, 전겸구, 임재환. 한국의 체질의학적 관점에서 본 화병환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2):193-203.
  11. 김태헌, 류영수. 전신체열촬영에 의한 화병 환자의 임상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1999;10(1):133-46.
  12. 정인철, 이상룡, 박양춘, 홍권의, 구영선, 조정효, 안정조, 강위창, 김종우, 최선미. 화병의 핵심증상에 대한 사암침 치료의 효과: 예비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1):79-94.
  13. 정인철, 이상룡, 박양춘, 홍권의, 이용구, 강위창, 최선미, 김종우, 최강욱, 오달석, 박지은. 화병의 핵심증상에 대한 사암침 심정격치료의 효과.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19(1):1-18.
  14. 박소정, 정선용, 황의완, 김종우. 화병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청취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2007;18(3):23-42.
  15. 趙志付. 用于抑鬱症的傳統醫學臨床實踐指南編寫思路. 第14次 中醫心身醫學學術沙龍曁國際 高端論壇. 2007.12.7.
  16. Chen KJ, Jiang YR.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developing clinical guidelines for Chinese medicine and integrative medicine. J Chin Integr Med. 2009;7(4):301-5. https://doi.org/10.3736/jcim20090401
  17. Jing ZC. Problems in establishing clinical guideline for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J Chin Integr Med. 2008;6(1):5-8. https://doi.org/10.3736/jcim20080102
  18. Liang WX. Problems-solving strategies in clinical treatment guidelin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integrative medicine. J Chin Integr Med. 2008;6(1):1-4. https://doi.org/10.3736/jcim20080101
  19. 안형식, 경민호. 국내 임상진료지침의 개발 및 보급동향. 한국의료QA학회지. 2007;13(2):19-28.
  20. 김호준, 한창호, 이의주, 송윤경, 신병철, 김윤경. 비만치료 및 체중감량에서의 적절한 마황 사용에 대한 임상진료지침 개발. 한방비만학회지. 2007;7(2):27-37.
  21. 김종우, 황의완, 전겸구, 박훈기. 화병과 정서적 스트레스간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97;2(1):168-85.
  22. 임현주, 김석환, 이상룡, 정인철. 화병변증도구개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5):1071-7.
  23. 권정혜, 김종우, 박동건, 이민수, 민성실, 권호인. 화병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08;27(1):237-52.
  24. 전겸구, 권기덕, 김상기. 한국판 CES-D 개정연구: I. 사회과학연구. 1999;6(1):429-51.
  25.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D. 한국판 STAXI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97;2(1):60-78.
  26.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연구. 최신의학. 1978;21(11):69-75.
  27. 원호택, 이용승. 사고 억제(Thought Suppression)와 통제 방략에서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99;18(1):37-58.
  28. Gross JJ, John OP.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3;85:348-62. https://doi.org/10.1037/0022-3514.85.2.348
  29. Gilbert P, Allan S. The role of defeat and entrapment (arrested flight) in depression: An exploration of an evolutionary view. Psychol Med. 1998;28(3):585-98. https://doi.org/10.1017/S0033291798006710
  30. Abbey A, Abramis DJ, Caplan RD. Effects of different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on emotional well-being. Basic &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5;6(2):111-29. https://doi.org/10.1207/s15324834basp0602_2
  31. 유성은. 완벽주의적 경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32. Kwon JH. Perceived criticism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0;19(4):697-712.
  33. Dalbert C. Beliefs in a just world as a buffer against anger. Social Justice Research. 2002;15(2):123-45. https://doi.org/10.1023/A:1019919822628
  34. Dalbert C. The world is more just for me than generally: About the personal belief in a just world scale's validity. Social Justice Research. 1999;12(2):79-98. https://doi.org/10.1023/A:1022091609047
  35.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매뉴얼. 서울:학지사. 2002:138.
  36. 전겸구, 김교헌. 한국 주부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양상.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2003;8(1):1-39.
  37. Koller M, Steyerberg E, Wolbers M, Stijnen T, Bucher H, Hunink M, Witteman J. Validity of the Framingham point scores in the elderly: Results from the Rotterdam study. American Heart Journal. 2007;154(1):87-93. https://doi.org/10.1016/j.ahj.2007.03.022
  38. Anda R, Williamson D, Jones D, Macera C, Eaker E, Glasman A, Marks J. Depressed affect, hopelessness, and th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a cohort of U. S. adults. Epidemiology. 1993;4:285-94. https://doi.org/10.1097/00001648-199307000-00003
  39. Chida Y, Steptoe A. The association of anger and hostility with future coronary heart disease: a meta-analytic review of prospective evidence. J Am Coll Cardiol. 2009;53(11):936-46. https://doi.org/10.1016/j.jacc.2008.11.044
  40. 이성윤. 관상동맥질환의 일차예방을 위한 아스피린의 사용. 인제의학. 2004;25(1):9-22.
  41. 박철구. 당뇨병으로 처음 내원한 환자들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