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dea in an Urban Area of South Korea

일 도시지역 주민들의 수면시간과 자살사고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Lee, Yu-Ji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Kim, Seog-Ju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Cho, In-Hee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Kim, Jo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Bae, Seung-Mi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Koh, Seung-Hee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Cho, Seong-Ji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이유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 교실) ;
  • 김석주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 교실) ;
  • 조인희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 교실) ;
  • 김종훈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 교실) ;
  • 배승민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 교실) ;
  • 고승희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 교실) ;
  • 조성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 교실)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ntroduc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suicidality. In addition, suicidal patients habitually report their sleep problems. Although sleep-related complaints and electroencephalographic changes are generally encountered in psychiatric disorders, sleep complaints such as insomnia, hypersomnia and nightmares are more common in suicidal patients. In current study, we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sleep duration and suicidality in general population. Methods: One thousand general population (male:female=500:500, mean age=$39.6{\pm}11.6$ years, ranged age=20-77 years) complete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Depression (CES-D), Beck Suicide Intent scale (BSI), Spielberger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Morningness-Eveningness Scale (MES) and brief questionnaire of sleep habits.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sex, score of BSI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score of CES-D, STAXI and BIS on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r_p$=0.251; p<0.001, $r_p$=0.352; p<0.001, and $r_p$=0.175; p<0.001, respectively). In addition, score of BSI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MES (rp=-0.066; p=0.037). However, score of BSI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leep duration. Howeve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hort (<6 hrs) or long (>10 hrs) sleep duration, the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 the score of CES-D, and the score of STAXI predicted higher score of BSI significantly in total subjects (F=17.837, adjusted $R^2$=0.166; p=0.003, p=0.003, p<0.001, and p=0.003, respectively). This model was explained better in depressed subjects with 16 or higher score of CES-D (F=9.920, adjusted $R^2$=0.298). Conclusion: Current result suggested that not only short sleep duration (<6 hrs) but also long sleep duration (>10 hrs) might be related to suicidality.

목 적: 수면문제와 자살위험의 증가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자살사고를 보이는 환자에서 수면문제의 호소는 매우 흔한 일이다. 비록 수면문제가 정신과적 질환에 매우 흔한 증상 중 하나이지만, 불면증, 수면과다증, 악몽등과 같은 수면문제는 특히 자살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흔함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시간과 자살사고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1,000명(남자:여자=500:500명, 평균연령=39.6${\pm}$11.6세, 연령범위=20~7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군의 사회인구학적 정보를 조사하였고, 지난 한달 동안의 수면시간 및 수면습관, Beck 자살사고 척도(Beck Suicide Intent scale;이하 BSI), 우울증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Depression;이하 CES-D), 분노감 척도(Spielberger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이하 STAXI), 충동성 척도(Barratt Impulsiveness Scale;이하 BIS), 아침형-저녁형척도(Morningness-Eveningness Scale;이하 MES)로 구성된 설문지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군에서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후, BSI점수는 CES-D, STAXI, BIS와 유의한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각각 $r_P$=0.251; p<0.001, $r_P$=0.352: p<0.001, $r_P$=0.175; p<0.001), MES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_P$=-0.066; p=0.037). 수면시간은 BSI점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_P$=-0.054; p=0.091). 전체 대상군에서 BSI를 종속변수로 하고, 나이, 성별, 가족내 소득, 정신질환의 가족력, 교육, 결혼상태, 종교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CES-D 점수, STAXI 점수, BIS 점수, MES 점수, 6시간 이하나 10시간 이상의 수면시간을 갖는 군을 독립변수로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정신질환의 가족력, CES-D 점수, STAXI 점수, 6시간 이하나 10시간 이상의 수면시간이 유의하게 자살사고 점수를 예측하였다(F=17.837, adjusted $R^2$=0.166, 각각 p=0.003, p<0.001, p<0.001, p=0.003). 경도 이상의 우울증상이 있는 군으로 한정하였을 때에도, 같은 변인들이 자살사고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는데, 이 모형이 가지는 설명력은 우울한 집단에서 더 높았다(F=9.920, adjusted $R^2$=0.298). 결 론: 본 연구결과는 주관적 보고에 기초한 6시간 이하의 짧은 수면시간뿐 아니라 10시간 이상의 긴 수면시간도 자살사고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