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the Practice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 Chae, Young-Ra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nam University) ;
  • Park, Hee-Su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okpo Catholic University)
  • 채영란 (호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박희숙 (목포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practice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ubjects were 382 kindergarten teachers in G province. Kim A Young(1996)'s questionnaire which is modified and improved after preliminary research was used to measur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teaching careers, teacher's kindergarten types, children's age, learning experience in preservice curriculum.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teaching careers and kindergarten types.

Keywords

References

  1. 김아영 (2006).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및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영옥 (2002).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반편견, 세계이해교육의 현장 적용. 서울: 정민사.
  3. 김현덕 (1996). 한국의 세계교육-세계교육의 방향과 과제(국제학술 심포지움). pp. 186-206. 이화여자대학교 인간발달연구소.
  4. 김현경 (1996). 반편견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남지숙.박주희.정진경 (2007). 다문화 아동의 적응과 언어, 2007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520-521.
  6. 두혜옥 (2001).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장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미경.엄정애 (2007).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8. 박성연 (2001). 다문화 반영 도서를 통한 토의활동이 인종에 대한 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박은애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실태 조사연구-경상남도 다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지희 (2002). 다문화 반영도서를 통한 토의활동이 인종에 대한 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서현.이승은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12. 설동훈.한건숙.김현미 (2005). 결혼이민자 가족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11-1060100-000155-01.
  13. 윤현숙 (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2(1), 415-430.
  14. 오성배 (2005).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33(3), 61-83.
  15. 이미혜 (2004).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실제 비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순형 (2007). 여성 농촌 국제결혼 실태와 정착지원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07.
  17. 이혜경 (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18. 전덕수 (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대현.손선화 (2008). 다문화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미술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7(1), 255-267.
  20. 정선희 (1997).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지성애.정대현.김경숙.김현주.채영란.김지예 (2006).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 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0(4), 351-369.
  22. 최미숙.김경숙.윤현숙 (2008). 다문화교육활동이 유아의 반편견 인식 및 다른 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7(2), 65-79.
  23. 통계청(2008). 통계청 국가통계포럼 http://www.kosis.kr.
  24. 한석실 (2007).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 29-53.
  25. 홍달아기.채옥희 (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25(2), 56-69.
  26. 홍진주 (2004).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Alvin, M. P., & Violet, A. A. (1999). Using a questionnaire to assess prospective teacher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Education, 119(4), 651-657.
  28. Banks, J. A., & Banks, C. A. (2006).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6th Edition. CA: Jossey-Bass, An Imprint of Wiley.
  29. Bennett, C. I. (2007).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6th, ed., Massachusetts: Allyn and Bacon.
  30. Derman-Sparks, L., & A. B. C. Force. (1992). Anti-bias Curriculum-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1. Larke, P. J. (1990). Cultural diversity awareness inventory: assessing the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7(3), 23-30.
  32. Lucas, T., Henze, R., & Donato, R. (1990). Promoting the success of Latino language minority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of six high schools. Harvard Educational Review, 60(3), 315-341.
  33. Nieto, S. (1992).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 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NY: Longman.
  34. Ramsey, P. G. (1991). Teaching and learning in a diverse world. NY: Teacher's College press.
  35. Swick, K. J., Boutte, G., & Van Scoy, I. (1994). Multicultural education; A handbook of activities, information, and resources(4th Ed.). Boston: Allyn and Bacon.

Cited by

  1.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vol.13, pp.10,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0.4478
  2.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vol.33, pp.3, 2012, https://doi.org/10.5723/KJCS.2012.33.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