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arning System using Learner Created Contents based on Social Network

소셜 네트워크 기반 학습자 생성 콘텐츠를 이용한 이러닝 시스템

  • 장재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전산학과) ;
  • 김호성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Published : 2009.06.28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new e-learning model which introduces a participant method based on concepts of open source as well as UCC of web2.0 and achieves learner-centered learning. It is possible for learner to participate actively in creation of micro-contents and reorganize contents using various micro-content with one's learning strategies in consideration of one's own intellectual power, learning objectives and propensity to learn. The learner can achieve the learner-oriented learning through this procedure and select micro-contents in order to reorganize the personalized learning contents to take advantage of social network among learners. The higher effectiveness of learning would be expected by forming connectedness among learners using social network.

웹2.0의 UCC와 개방 개념에 기반한 참여적 설계방법을 도입하여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자기주도적 학습을 성취할 수 있는 새로운 이러닝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습자는 문단 단위의 마이크로 콘텐츠 생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지적능력, 학습목표, 학습성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영역의 마이크로콘텐츠를 자신의 학습전략에 맞춰 직접 재구성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자 맞춤형 학습콘텐츠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는 학습자들간의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필요한 마이크로콘텐츠를 선택하며 학습자들간의 유대감을 형성하여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V. Ray and M. S. David, "Web 2.0 : Get Ready for the Next Old Thing," Gartner Report, 2005.
  2. F. Stefano, M. Silvia, A. M. Ludovico, R. Marco, and S. Paola, "E-learning 2.0: you are We-LCoME!,"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ross- Disciplinary Conference on Web Accessibility(W4A), pp.116-125, 2008. https://doi.org/10.1145/1368044.1368070
  3. M. R. Charles, "A new paradigm of ISD?," Educational Technology, Vol.36, No.3, pp.13-20, 1996.
  4. 장재경, "문단 단위의 계층적 콘텐츠 구성", HCI2005년 논문발표집, 제2권, pp.343-348, 2005.
  5. C. Brooks and R. P. Warren, Modern rhetoric 3th ed., New york:harcourt Brace & World Inc, 1970.
  6. 남궁황, "문단의 의미구조에 의한 전문 검색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정보학 박사 논문, 1999.
  7. http://www.indiana. edu/-idtheory/ methods/m6c.html, 1999.
  8. V. Tinto,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5, No.1, pp.89-129, 1975. https://doi.org/10.3102/00346543045001089
  9. C. P. Fulford and S. Zhang, "Perceptions of interaction: The critical predictor in distance educ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7, No.3, pp.8-21, 1993. https://doi.org/10.1080/08923649309526830
  10. 박현선, "성격유형과 영어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11. 오윤숙, 박성선,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유형 별 집단구성방법이 수학적 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논문집, 제22집, 제2호, pp.211-227, 2008.
  12. 이윤선, "성격유형 및 학습양식과 학업 성취도와 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