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Related to Adolescent Students' School Uniform Behavior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청소년의 교복행동과 외모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 연구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ity between school uniform behavior(especially attitude toward school uniform, school uniform satisfaction, school uniform alteration)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in the adolescence.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07, 898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four schools in Jeollabuk-do Province were analyzed and the influence of relevant variables was understood to gather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life in the adolescence. This study used SPSS 11.5 for Windows Progra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hi}^2$-test,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factors to the response attitude toward uniforms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clothing attitude emerged four dimensions(fashion, symbolism, cleanliness, alternation), three dimensions(needs value conformity toward appearance). In attitude toward uniform, female students were more actively altering their uniforms than 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o trends than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cleanliness and alteration of uniforms. Overall, most students were not very satisfied with their uniforms (design, color, texture). When students'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aware of desire, value, and conformity in appearances than male students. By age,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lso, students receiving KRW 30,000 or more for monthly allowance were more aware than others who receive a lower amount between KRW 10,000 and KRW 20,000. Therefore, most students(62.1%) have experiences in altering uniforms. Especially, more female students and more high school students had such experiences. Uniform alteration is more related to attitude to appearance. In other words, students who choose to alter their uniforms are highly aware of desire, value, and conformity toward appearance. Students who are satisfied with all factors regarding attitude toward uniform, except for alteration, did not alter their uniforms that much. In addition, when the relativity between students' attitude toward appearance with uniform was considered, students that are not very satisfied with their uniforms were more aware of desire, value, and conformity toward appearanc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school uniform behavior are closely related and their interests in appearance lead to alteration of uniforms, the clothing in which they spend most time of the day. From now on, students' opinions shall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or designing school uniforms.

본 연구는 2007년 11월에서 12월 중에 전라북도 소재 4개교의 남녀 중 고등학생 89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교복행동(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 교복변형)을 알아보고 외모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성 등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학교현장에 청소년기 의생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SS 11.5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x^2$ 검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교복에 대한 태도는 유행성, 과시성, 관리성, 변형성 4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교복에 대한 태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변형에 대한 태도가 높았으며, 중학생이 교복에 대한 태도 중 유행성이 높았고, 관리성과 변형성에서는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교복착용실태를 살펴보면,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디자인, 색상, 옷감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교복변형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교복 변형 경험이 많았다. 교복변형실태에서 스커트(바지) 길이를 줄인 학생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외모를 돋보이기 위해 교복의 길이, 옆선 등 교복을 줄여서 몸에 밀착된 형태로 변형시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복변형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체형보정', '유행', '활동성', '무난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결과, 외모에 대한 동조 가치 욕구 3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하여 욕구 가치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이 고졸 이상 일수록 욕구 가치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의 월수입이 300만원 이상인 학생들이 욕구와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한 달 용돈을 3만원 이상 받는 학생들이 1만원에서 2만원 이하로 용돈을 받는 학생들보다 외모에 대한 욕구와 가치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청소년의 교복변형유무에 따른 외모에 대한 태도, 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의 차이에서 교복변형을 경험한 학생일수록 외모를 변화시키고자 하며 매력적인 외모에 가치를 두고 추구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고, 교복변형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교복에 대한 태도 중 유행성, 상징성, 관리성에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으며, 교복변형을 한 학생들은 변형성만에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다. 교복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유행성은 외모에 대한 태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변형성은 외모에 대한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디자인, 색상, 옷감에 대한 만족도와 외모에 대한 태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교복행동과 외모에 대한 태도는 관련이 있었으며, 청소년기 외모에 대한 관심은 하루 일과 중 가장 많이 접하는 교복행동 즉, 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 교복변형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