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Methods to Evaluate Pedestrian Environments

보행환경수준의 평가방법 개발

  • 지우석 (경기개발연구원 교통정책연구부)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While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edestrian environments recently, methods to evaluate their service level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yet. Although many kinds of pedestrian environment-related surveys and field studies are conducted, data are not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accumulated due to the lack of consistent evaluation tools and method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for pedestrian environments. This paper suggests technical indices to evaluate pedestrian environments for a city. These indices provide useful ways to determine priorities to enhance pedestrian streets and also provide ways to compare cross sectional and time series changes of pedestrian environments. These indices therefore can be used as criteria for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and policy.

근래에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보행환경의 수준에 대한 평가를 위한 기법이 통일되지 않아 도시간 비교 또는 도시 내 시계열적 비교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보행환경에 대한 각종 조사는 시행되고 있지만 조사기법이 다양하여 자료의 축적이 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보행환경에 대한 평가기법과 조사방법을 통일하여 보행환경계획의 체계를 갖출 필요성이 높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보행환경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더불어 이동편의지수 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지표와 이동편이지수는 사례지역 조사를 통하여 산정방안과 활용방안을 검증하였다. 이들 지표와 이동편의 지수는 상호 연계되어 도시 내 보행환경수준의 평가를 통하여 보행환경개선 우선가로를 선정하는데 유효한 방법이 된다. 또한 전국 도시간 비교와 도시별 시계열 비교가 가능한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보행환경관련 도시 및 교통 계획의 목표치의 설정을 위한 주요 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7),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수립'
  2. 노현숙. 김현주. 황재훈(2004), '청주시 초등학교 주변의 보행환경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23-233
  3. 서한림. 박소현(2006), '주거지역내 보행환경요소의 통합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19-127
  4. 송대호(2000), '가로변건축계획요소 분석을 통한 도시가로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16권 4호, pp.59-66
  5. 윤종국(2002), '지방도시 중심가로의 환경인지 특성에 따른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18권 11호, pp.217-228
  6. 은민균(2002), '도심 주거지구의 특성 보존과 활용을 위한 보행자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18권 8호, pp.139-148
  7. 이종언.손봉수.김형진(2008), '도심 쇼핑을 위한 보행 경로탐색알고리즘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147-154
  8. 임현식.김영욱(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제23권 1호, pp.551-554
  9. 조준범(2007), '중소도시의 보행환경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8권 2호, pp.67-84
  10. 하재명(2005),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 단독주택지 가로공간 계획',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21권 4호, pp.159-166
  11. 한상진.김영욱.오순미(2008),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네트워크와 보행통행량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37-144
  12. Boris Pushkarev, Jeffrey Zupan(1978), 'Urban Space for Pedestrians', Report of the Regional Plan Association, the MIT Press
  13. David H. Mitchell, J. MacGregor Smith(2001), 'Topological network design of pedestrian network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35, pp.107-135 https://doi.org/10.1016/S0191-2615(99)00039-9
  14. Kelly J. Clifon, Andrea D. Livi Smith, Daniel Rodriguez(2007),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audit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80, pp.95-110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6.06.008
  15. Maricopa Association of Governments(2005), 'Pedestrian Policies and Design 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