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Predicting Models of the Operating Speed and Operating environment Satisfaction Model in Expressways

고속도로의 주행속도예측 및 주행환경만족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장욱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장일준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
  • 김정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래기술실용화센터 실용화기획팀)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When most drivers take to the freeway, they don't necessarily pay attention to the geometric design. They expect proper design by depending on their own senses and recognition. When they evaluate the features of traveling on the freeway, they can think differently than engineers. The design needs to predict the exact speed of the driver to satisfy the driver's expectation, safety, pleasure and so 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peed of six freeways considering geometric and operational features to make a prediction model of speed. The model use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se factors and produced statically appropriate results. This study utilized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the quantification II analysis based on the image data of the satisfaction of the traveling environment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in a traveling environment. It made a satisfaction model of the traveling environment on freeways considering the change of driver's actual recognition and societal recogni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s and the quantification II theory. Through the model made in this study, This model can present not only qualitative factors like satisfaction of traveling environment on freeways, but also the quantitative elements like speed. What is important is the evaluation of features of traveling on freeways reflected in the recognition and traffic environment felt by drivers.

고속도로이용자가 주행할 때 도로기하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면, 도로이용자는 자신의 감각과 인식에 의존해 판단을 내리게 되기 때문에 고속도로의 주행성을 평가할 때 설계자와는 다른 판단을 내리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로이용자의 기대심리를 만족시키면서 안전성, 쾌적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주행속도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속도로의 기하구조적인 주행성뿐만 아니라 도로이용자가 이러한 구성요소의 조화에 의해 느끼는 감성적 측면에서의 주행환경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행속도 예측모형 구축하기 위해 6개 고속도로(경부, 서해안, 영동, 남해, 중앙, 호남)를 대상으로 주행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선형요소, 교통운영특성 요소로 분류하였다. 주행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를 이용한 주행속도예측모형 구축 및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주행환경만족도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량화 제II류 및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고속도로 주행환경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수량화 제I류 및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사회인식 및 고속도로 이용자의 실제인식의 변화가 고려된 고속도로의 주행환경만족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모형을 통해 주행속도와 같은 정량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도로이용자가 느끼는 고속도로의 주행환경만족도와 같은 정성적인 요인에 대한 결과도 제시할 수 있어서 도로이용자가 느끼는 변화된 교통 환경과 인식여부가 반영된 고속도로의 주행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필. 김성호(2002) '주행속도 예측을 위한 모형 개발 (2차로 지방부 도로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31-139
  2. 정준화(2001), '주행속도를 이용한 도로의 평면선형 안전성 평가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정준화 외 2인(2000), '속도에 따른 평면 곡선부 설치 방안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0권 제5-D호, 대한토목학회
  4. 최재성(1998),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일관성 평가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95-211
  5. 이점호. 홍다희. 이수범 (2006), '고속도로 교통운영 특성 및 도로선형요소를 반영한 주행속도 예측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09-121
  6. Al-Masaeid, H. R., M. Hamed, M. Abou-Ela, and A. Ghannam (1995), 'Consistency of Horizontal Alignment for Different Vehicle Class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0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78-183
  7.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2001),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8. Barnett, J.(1997), 'Safe Friction Factors and Superelevation Design,' In Gutierrez, N. I., 'A Model for Estimating Operating Speeds on Combined Horizontal and Vertical Alignments on Rural Two-Lane Highways,' Ph. D. Thesis of Texas A&M University
  9. Crosstown Associates(2001), 'Correlation of Accidnet Rates and Highway Geometric Features,' in:Ezra Hauer, 'Road Grade and Safety,' Review of Literature for the Interactive Highway Safety Design Model
  10. Fitzpatrick K. 외 4인 (2003),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Operating Speed and Roadway Features', TRB, Washington, D.C.
  11. Fitzpatrick, 외 10인 (2000), 'Speed Prediction for Two-Lane Rural Highway,' Report FHWA-RD- 99-171, USDOT, FHWA
  12. Fitzpartick & J.M.Collins(1999), 'Speed Profile Model for Two-Lane Rural Highway,' TRR 1737,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pp.7-15
  13. Fitzpatrick K. 외 4인 (2001), 'Design Factors that Affect Driver Speed on Suburban Streets', TRB, Washington, D.C
  14. Lamm,R. 와 2인 (1993a), 'Safety Module for Highway Design,' unpublished manuscript, Institute for Highway and Railroad Engineering, University of Karlsruhe, Germany
  15. McLean, J.R.,(1978), 'Speeds on Curves: Regression Analysis,' International Report 2003, Australian Road Research Board, Melbourne, Austraia
  16. McLean, J.R.,(1981), 'Driver Speed Behaviour and Rural Road Alignment Design,' Traffic Engineering&Control, Vol.22, Printerhall Limited, London, England, pp.208-211
  17. Islam, M.N., and Seneviratne, P.N.(1994), 'Evaluation of Design Consistency of Two-Lane Rural Highways,' ITE Journal, February.
  18. P. E. Rapp, T. R. Bashore, J. M. Martinerie, A. M. Albano, I. D. Zimmerman and A. I. Mees.(1989), 'Dynamics of Brain Electrical Activity.', Brain Topography, 2, 1&2, pp.99-118 https://doi.org/10.1007/BF01128848
  19. R. A. Krammes et al(1995), 'Horizontal Alignment Design Consistency for Rural Two-lane Highways', RD-94-034, FHWA
  20. Rozann W. Saaty(2003), 'Decision Making in Complex Environments : AHP & ANP', SuperDecisions
  21. Ruediger Lamm(1999), Highway Design and Traffic Safety Engineering Handbook
  22. Scott S. Washburn 외 2인(2004), 'Quality of Service Perceptions by Rural Freeway Travelers : An Exploratory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