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Wave Distribu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Depending on the Incident Wave Directions Based on SWAN Model Simulation

SWAN 모델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역의 입사파향별 파랑분포 특성

  • Park, Soon (Hyein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
  • Yoon, Han-Sam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 ;
  • Park, Hyo-Bong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 ;
  • Ryu, Seung-Woo (Division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 Ryu, Cheong-Ro (Division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박순 ((주) 혜인E&C) ;
  • 윤한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박효봉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류승우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류청로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Received : 2009.06.12
  • Accepted : 2009.08.18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numerical simulations to analyze the wave characteristics(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directional changes of wav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by using SWAN(Simulating WAves Nearshore) model. The results from the tests are summarized as below. The wave height rates are generally highly distributed with the incident waves from the S, SSE, SSW, SE, SW in sequence. When the waves from the S, SSW, SSE directions are predominant, the bigger waves were observed in front of sandb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ave steepness against the wave direction, at the east coast of Gadeok island(northwest of Nakdong estuary), where has mild seabed slopes, the wave height rates distribute in the range of 0.4~0.6; the wave height rates over the west coastal region of Dadeapo(southeast of Nakdong estuary) are 0.5~0.6. The wave height rate tends to be rapidly decreased over the east region of Nakdong river estuary rather than its west region.

본 연구에서는 천해역 파랑추산모델인 SWAN(Simulating WAves Nearshore) 모델을 이용하여 파향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의 파랑분포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탁월 파향 변화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 파랑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천해역인 낙동강 하구역에서의 파랑분포는 S계열의 파향이 우세한 경우 파고비가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다음으로 SSE, SSW, SE, SW계열의 순으로 파고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 및 SSW, SSE 파향이 탁월한 경우 사주섬 전면의 극천해역까지 파랑에너지가 전달되어 높은 파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향별 파형경사의 단면 분포 계산결과에 따르면 해저경사가 완만한 가덕도 동측해역(낙동강 하구역 남서측)에서 파고비는 0.4~0.6이었으며, 다대포 서측해역(낙동강 하구역 남동측)에서 파고비는 0.5~0.6으로서 파고비의 감소폭이 가덕도 동측해역(낙동강 하구역 남서측)보다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환, 2005, "낙동강 하구둑 건설과 삼각주 연안 사주섬지형 변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류황진, 홍기용, 신승호, 송무석, 김도영, 2004, "SWAN 모델을 이용한 제주해역 장기 파랑분포 특성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7권, 제3호, 137-145.
  3. 박 순,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2007, "춘계 낙동강 하구역의 파랑과 기상조건과의 상관성 분석", 한국해양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417-422.
  4. 박 순,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8, "외해 입사파랑의 파향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 파랑 특성 분석",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37-238.
  5.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 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6호, 54-60.
  6. 최병습, 1996, "낙동강 하구둑 주변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Booij, N., Ris, R.C. and Holtjuijsen, L.H., 1999, "A third-generation wave model for coastal regions, Part I, Model description and validation", J. Geophys. Res., Vol.104, C4, 7649-7666. https://doi.org/10.1029/98JC02622
  8. Booij, N., Haagsma, IJ.G., Holtjuijsen, L.H., Kieftenburg, A.T.M.M., Ris, R.C., Van Der Westhuysen, A.J. and Zijlema, M., 2006, SWAN-User manual.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Environmental Fluid Mechanics Section, available from http://www.fluidmechanics.tudelft.ni/swan/index.htm (Version 40. 51AB, 2006).
  9. Ris, R.C., Booij, N. and Holtjuijsen, L.H., 1999, "A third-generation wave model for coastal regions, Part II, Verification", J. Geophys. Res., Vol.104, C4, 7667-7681. https://doi.org/10.1029/1998JC9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