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GIS to Typhoon Risk Assessment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태풍 위험 평가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Damages from typhoon events have contributed more than 60 percent of total economic and social loss and the size of loss have been increased up to 800 million dollars per year in Korea,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mitigate the loss of natural disasters. To facilitate the evaluation of damages in advance and to support the decision making to recover the damages, scientific methods have been adopted. With the effort, GIS data can provide various tools. Three components of hazard mapping are estimation of hazard, inventory for vulnerable features, and fragility of each feature. Vulnerability of natural disaster can be obtained by relation between loss and meteorological data such as precipitation and wind speed. Features can be categorized from other GIS data of public facilities and private properties, and then social and economic loss can be estimated. At this point, GIS data conversions for each model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build a method to estimate typhoon risk based on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and land use map, facilities.

최근 10년간 발생한 자연재해 중 태풍의 피해는 전체의 60%를 넘을 정도로 풍수해의 피해는 막대하며, 지속적 산업화와 개발로 인해 피해 규모 역시 매년 1조원 이상을 상회하고 있어,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 경감 노력이 매우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풍수해의 피해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예방 및 대비는 물론 재해 발생에 따른 응급 대응 및 복구의 효율성을 제고를 목적으로 과학적 방법론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풍에 의한 피해 예측은 위험도 (Hazard)의 추정, 피해 대상 자료의 구축 (Inventory) 및 피해대상의 취약도 (Fragility)의 세 가지 요소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험도는 자연재해의 특성인 강우, 풍속 등을 물리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으며, 피해 대상 자료는 공공 및 사유 시설물을 총 망라함으로써 피해의 사회, 경제적인 피해 규모 예측에 활용된다. 각각의 피해 대상이 위험도에 따라 갖는 취약도는 최종 피해 및 손실 규모의 평가 자료로 이용된다. 이때 위험도의 추정 및 피해 대상자료의 구축을 위한 핵심적인 방법론으로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이 크게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 피해 예측을 위한 자연재해 위험성 평가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고도 및 자연 지형, 지표의 특성 및 활용도, 피해 대상인 인공 시설물 등의 자료 항목을 분류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태풍 위험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승수, 장은미, 풍수해 피해 예측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2007, 소방방재청.
  2. 조원철, 이승수 외, 태풍 위험도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분석 연구, 2006, 국립방재연구소.
  3. 자연재해보험 활성화 방안 연구, 2007, 소방방재청.
  4. 이승수, 함희정, 산업용 시설물의 풍해손상함수 국산화방안 연구, 2007,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5. 김윤종, 김원명, 유일현, 1993, 지질재해분석을 위한 GIS 응용연구, 한국GIS학회지 1(1): 89-94.
  6. 이사로, 김윤종, 1996, Drastic System을 이용한 지하수오염가능성 및 위험분석연구 1-11.
  7. 유환희. 김원석, 2006, 도시홍수모델을 이용한 해안지역의 침수재해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4(3) : 299-309.
  8. National report on disaster reduction in Vietnam, The World Conference on Disaster Reduction, Kobe-Hyogo, Japan, 18-22 January 2005.
  9. Swiss Re, Natural catastrophes and man-made disasters in 2004, Sigma, No1/2005.
  10. 김감래, 정혜진, GIS기법을 이용한 재해상황 통보 및 관리 지원 시스템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24권4호, 2006. 10, pp.359-365.
  11. 유환희, 김원석, 김성삼,도시홍수모델을 이용한 해안지역의 침수재해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4권3호, 2006.8, pp.299-309.
  12. 장은미. 2006, 지리정보기반의 재해 관리시스템 구축(I), 민간 보험사의 사례, 태풍의 경우, 대한지리학회지 41(2): 106-120.
  13. HAZUS-MH, Technical Manual, 2005, FEMA.
  14. 건축물 구조기준, 2005, 대한건축학회.
  15. 이영규, 이승수, 한반도 근역 태풍에 의한 지표풍 추정, 한국풍공학회지, 12권2호, 2008.8, pp.121-128.
  16. 이승수, 이영규, 김학선, 한반도 내습 태풍의 최대풍속 반경 분석, 한국풍공학회지, 11권2호, 2007.12, pp.203-210.
  17. 이승수, 함희정, 서애숙, 강풍 및 대설 위험도 산정 기법 연구, 2009, 소방방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