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eplay as a Semiotic Interpretation

기호 해석 활동으로서의 게임 플레이 연구

  • 류철균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 조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Published : 2009.06.19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semiotic interpretation in digital gameplay and define layers of meaning which is provided by a game designer and a player. The primary author of the digital game is a game designer; however, to accomplish the whole meaning of the digital game, there must be a player's action. In digital games, the game designer leads to player's action and the player progresses the game at her desire. During the gameplay, each of the intention clashes and coincides through the semiotic interpretation. It can be classified under five sections that represent the game designer, the player and the game text.

이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 게임 플레이에서 나타나는 기호 해석 과정을 설명하고, 각 해석 주체의 해석 의도를 통해 나타나는 의미의 층위를 규명하는 데 있다. 디지털 게임의 일차적인 저자는 게임 디자이너이며, 여기에 플레이어의 활동이 더해짐으로써 텍스트의 의미가 비로소 실현된다. 플레이어는 게임 텍스트에 존재하는 기호 해석을 통해 게임 플레이를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게임 텍스트를 일차적으로 만든 디자이너의 의도와 이것을 플레이하는 플레이어의 의도가 뒤섞이게 된다. 디자이너는 생산한 기호가 플레이어의 올바른 행위를 유발하기를 바라고 플레이어는 기호를 올바로 해석하여 자신의 의도대로 플레이를 진행시키기를 원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 주체의 의도 실현 양상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특히 플레이어의 의도에 따른 텍스트 생성을 살핀다.

Keywords

References

  1. 롤랑 바르트, 김희영 역, “작품에서 텍스트로”,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1997.
  2. 볼프강 이저, 차봉희 편, 독자반응비평, 고려원,1993.
  3. 움베르토 에코, 김운찬 역, 소설 속의 독자, pp.79-103, 열린책들, 1996.
  4. 자넷 머레이, 한용환 역,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2001.
  5. 이인화, 디지털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6. 피에르 레비, 전재연 역, 디지털 시대의 가상현실, pp. 59, 궁리, 2002.
  7. 프로그램 코드와 게임 텍스트의 층위를 달리하는 입장에 대해서는 Konzack(2002), Salen and Zimmerman(2004) 참조.
  8. 움베르토 에코, 손유택 역, 해석이란 무엇인가, pp. 35, 열린책들, 1997.
  9. 에스펜 올셋, 류현주 역, 사이버텍스트, pp. 130, 글누림, 2007.
  10. Salen, Katie, Eric, Zimmerman, Rules of Play : Game Design Fundamentals, MIT Pres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