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inimum Housing Standards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사회적 약자를 위한 주거규모의 최소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김도연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 윤재신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Published : 2009.06.25

Abstract

Providing an adequate housing to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ith a weak economic base is the most difficult task of housing policies. Korea established minimum housing standards and has used them for housing policies. However, the level of Korean minimum housing standards is far lower than that of foreign minimum housing standards. Thus,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minimum housing standards with foreign housing standards in various aspects in order to guarantee housing quality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Korea. In particular, the floor area and ratio of small lease homes are minutely examined to present the actual housing standard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e level of Korean minimum housing standards suggested in this paper is very close to that of Japanese minimum housing standard, which is 37.95 $m^2$ for a 3 member family and just above Chombard de Lauw's pathological limit (36.03 $m^2$). As this research is specifically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minimum floor area standards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further research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more specific requirements of various groups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7), 2006년 주거실태조사, 건설교통부
  2. 국토연구원(1986), 주거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3. 국토연구원(1991), 최저주거기준의 규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4. 건설교통부(1997), 주거기준 도입 방안 연구
  5. 대한주택공사(2002), 주거복지백서, 대한주택공사
  6. 대한주택공사(2000), 최저주거기준 도입과 공공부분의 역할-공사창립 38주년 기념정책토론회 자료집, 대한주택공사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서울시 주택지표 재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7),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설정 및 저소득층 주택정책 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 서울특별시(1997), 복지주거기준제도 도입을 위한 주거기준 및 정책개발연구, 서울특별시
  10. 서울특별시(1997), 서울시 주택정책의 대전환, 서울특별시
  11. 박신영(2000), 최저주거기준의 달성과 공공부문의 역할, 대한주택공사 38주년 기념 정책토론회 자료집, 59-88
  12. 박환용(2000), 효율적 주택공급을 위한 주거수준 지표설정, 대한국토·도시학회지 35(2), 59-71
  13. 배순석(2000), 최저주거기준의 정책적 의의와 도입방안, 대한주택공사 38주년 기념 정책토론회 자료집, 19-57
  14. 김경환·정재호(1994), 라이덴방식에 의한 최저주거기준설정, 주택연구 2(1), 87-98
  15. 박의권(1997), 주거적정규모기준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3), 4-5
  16. 신경주·문학조(2007), 주거수준측면에서 임대아파트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별 면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3(12), 143-152
  17. 염돈민(1986), 주거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주택금융 19(1), 20-27
  18. 이경아(2006), 아파트단위평면 분석을 통한 주거공간면적에 관한 연구, 연세대석사논문
  19. 강수림(1980), 주거공간에 있어서 최소필요공간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주택조사연구 6월호, 대한주택공사
  20. 정성자(1991), 최소주거기준의 규정에 관한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21. 안옥희 외 7인(2007), 주택계획, 기문당
  22. L. Sheridan, H.J. Visscher, F. M. Meijer (2003), Building Regulations in Europe,Part II: A comparison of the technical requirements in eight European countries: University of Delft
  23. www.moct.go.kr
  24. http://www.london.gov.uk/mayor/planning/docs/space-standards.pdf
  25.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1977), "The Social Impact of Housing: Goal, Standards, Social Indicator and Popular Paticipation", UN, ESA/OTC/SEM, p. 21
  26. 영국 주택법(1985), Housing Act 1985 Part 10 S.326http:/ /www.opsi.gov.uk/RevisedStatutes/Acts/ukpga/1985/ cukpga_19850068_en_26#pt10-pb1-l1g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