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of Estheticians

피부미용사의 전문직업성 연구

  • Yang, Hyun-Ok (Dept. of Cosmetics,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 Kwak, Hee-Young (Dept. of Cosmetics,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양현옥 (원광보건대학 미용피부관리과) ;
  • 곽희영 (원광보건대학 미용피부관리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of estheticians in gusan and jeonju city, jeollabuckdo province. Total 29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april 1 to 20, 2009.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ir professionalism was checked in light of the selected variables, their age, education and work years at current job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at was different according to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By life satisfaction, the estheticians who found their lives satisfactory professionalism better than the others who didn't(t=2.77, p<.01) By job satisfaction, the estheticians who were contented with their job took the most positive professionalism, and those who found their job just not to be bad looked at it less positively than the others who were discontented(F=6.06, p<.01). Second, when the correla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of the sub-factors was investigat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mong faith in autonomy(r=.595, p<.001), us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r=.428, p<.001) and sense of mission(r=.492, p<.001). Their faith in services(r=-.634,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faith in self-control(r=-.485, p<.001).

피부미용사들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을 밝혀보고자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전라북도 군산시와 전주시의 피부미용사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별 전문직업성은 연령, 학력, 현 근무지 근무 연수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삶의 만족도, 직무만족도별 전문직업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삶에 대해 만족하는 피부미용사가 그렇지 않은 피부미용사보다 높았고(t =2.77, p<.01), 직무만족도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직무에 대해 만족하는 피부미용사가 가장 긍정적이었고, 보통인 피부미용사가 불만족하는 피부미용사보다 높지 않았다(F= 6.06, p<.01). 둘째, 전문 직업성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율성 (r=.595, p<.001), 전문조직의 활용(r=.428, p<.001),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r=.492,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비스에 대한 신념 (r=-.634, p<.001),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r=-.485,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조, "한국의사의 직업의식" 현상과 인식, 제13권, 제1호, pp.26-52, 1989.
  2. 박승규,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강남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 박용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4. 박종우,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5. 이재형.송인영, "미용과학 용어", pp. 34-36, 현문사, 2002.
  6. 이한웅, "피부미용사제도 입법방안에 관한 소고"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2권, 제1호, pp. 93-102, 2004.
  7. 전병제 외,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pp. 9-15, 박영사, 1995.
  8. 황순욱 외,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피부미용 실태조사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p. 16, 한국보건산업진흥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9. Hall, R., "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SR: 92-104. 1968.
  10. Rothman, R. A., "Working Sociological Perspectives", Prentice-Hall, 1987.
  11. Snizek, W.. " Hall's professional scale: a empirical reassessment", McGraw-hill, 1972.z

Cited by

  1. Professional Job Percep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edical Recorders engaged in General Hospitals vol.14, pp.1,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