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valence of Fatty Liver and Its Association with Indices of Obesity, Liver Function and Hyperlipidemia among Adult Males

성인 남성의 지방간과 비만, 간기능 및 고지혈증 지표와의 관련성

  • Lee, Kyu-S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g-Hwan (Department of Hospital Management Gykonyang University) ;
  • Cho, Young-C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Research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s)
  • 이규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
  • 김광환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lucidate such a relationship by comparing the indices of obesity, liver function, and hyperlipidemia with & without fatty liver by using data from health check-up for the adult males in a university hospital. Study subjects were 772 adult males of 30 years and over, who underwent health package check-up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The prevalence rates of fatty liver of study subjects were 25.5%, and this study shows that fatty liver by abdominal ultrasound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indices of obesity(body weight, BMI, body fat, waist to hip ratio, & waist to stature ratio), liver function(AST, ALT,& GGT), and hyperlipidemia(TG, TC, & HDL-C), and that was independent of age that was relevant.

본 연구는 복부초음파검사를 통하여 얻은 건강진단 결과로부터 지방간 유소견자의 비율을 파악하고, 비만, 간기능 및 고지혈증 지표들과 지방간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06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의 기간에 D시의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30세 이상 남성 772명이었으며,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지방간 유소견율은 25.5%이었으며, 비만지표(체중, BMI, 체지방율,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비, 허리둘레와 신장 비), 간기능지표(AST, ALT, GGT) 및 고지혈증지표(TG, TC, HDL-C)들과 유의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연령과는 독립적으로 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Ludwig J , Viggiano TR, McGill DB, Oh BJ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Mayo clinic experiences with a hitherto unnamed disease. Mayo Clin Proc, Vol 55, pp. 434-438, 1980.
  2. 김선숙. 지방간. 대한의사협회지, 44권5호, pp. 543-548, 2001.
  3. 유현동, 이태호, 조애경. 복부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의 임상적 의의. 가정의학회지, pp. 734-742, 1993.
  4. 박현진, 안정기, 강원균, 이헌영, 김영권, 이복희. 지방간의 임상적 고찰. 대한소화기병학회지, 21권1호, pp. 96-103, 1989.
  5. 이정일 비알콜올성 지방간염의 진단 및 간섬유화 정도의 예측인자. 대한내과학회지, 67권3호, pp. 221-223, 2004.
  6. 김태현, 유 권. 비만과 지방간질환자. 대한내과학회지, 68권4호, pp. 347-349, 2005.
  7. 서상혁, 이현웅, 박혜원, 장병국, 정우진, 박경식, 조광범, 황재석, 안성훈. 건강검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유병률. 대한내과학회지. 70권1호, pp. 26-32, 2006.
  8. 김동현, 최영호, 곽경섭, 강성현, 장숙량, 최용준, 문유선, 김윤기, 권혁성, 홍경순, 최문기, 신혜림. 춘천지역 중년 및 노인에서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위험 연구. 가정의학회지, 27 권, pp. 190-200, 2006.
  9. 小畠降司,徳永勝人, 藤岡滋出. 肥満患者における脂肪肝発症と腹腔内内臓脂肪蓄積. 第12會 日本肥満學會記録, pp. 387-388, 1992.
  10.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Vol 346, pp.1221-1231, 2002. https://doi.org/10.1056/NEJMra011775
  11. Yamada Y, Ikai E, Ishizaki E. Control of hepatic steatosis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oronary disease in middle-aged industrial workers. The Path to productive Aging. London, Taylor & Francis Ltd, pp. 70-74. 1995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Physical status: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anthropometry. Technial report series 854. Geneva: WHO; pp 34-41, 1995.
  13.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Vol 18, pp. 499, 1972.
  14. 안재억, 함정오, 황규윤, 김주자, 이병국, 남택승, 김정순, 김헌 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의 유병율 조사 및 그 유발인자에 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4권2호, pp 195-210, 1991.
  15. 최희순, 최현림. 선별검사로서 복부초음파검사의 의의에 관한 연구. 가정의학회지, 14권4호, pp. 240-249, 1993.
  16. 이미연. 초음파 검진에서 간질환의 유병률 및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한서대 건강증진대학원, pp. 1-73, 2007.
  17. Pares A, Tresserras R, Nunez I, Cerralbo M, Palana P, Massip A.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fatty liver in presumably healthy men. Med Clin(Barc), Vol 114, pp. 561-565, 2001.
  18. Nomura H, Kashiwagi S, Hayashi J, Kajiyama W, Tani S, Goto M. Prevalence of fatty liver in a general population of Okinawa, Japan. Jpn J Med, Vol 27, pp. 142-149, 1998.
  19. 도영훈, 정진곤, 차연순, 선우성, 김영식 지방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정의학회지, 20권11호, pp. 19, 1999.
  20. 양문희. 지방간에서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과 혈청 지질 농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pp. 1-35, 2005.
  21. 김진석, 이종영, 우극현, 유재영. 남자 근로자들의 3년간 추적조사를 통한 지방간 발생률 및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59 권3 호, pp. 310-322, 2003.
  22. 최권, 최병익, 조용균, 박창영, 손정일, 전우규, 김향, 정을순. 지방간에 대한 혈청 $\gamma$ -glutamyl transferase(GTT) 의 진단적 유용성 및 다른 인자와의 상관관계. 대한내과학회지 57권6호, pp. 1006-1014, 1999.
  23. 최수철, 손종현, 권정일, 조용희, 최웅, 조충환. 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의 정도와 간기능 검사상의 연관성. 가정의학회지, 20권 11호, pp. 157, 1999.
  24. 이종협, 강경화, 김세환, 박지현, 조창민, 권영오, 김성국, 최용환.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ALT치와 비만관련인자들. 대한내과학회지, 69권 1호, pp. 46-54, 2005.
  25. 김길수, 최영식, 박요한 비음주 수진자들에서 지방간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 고신대학교 의과대학학술지, 21권1호, pp. 207-21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