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milies and Kinship Concepts in Korea: A Focus on Family Related Laws

한국 가족 및 친족 개념에 대한 연구 : 가족관련 법을 중심으로

  • Sung, Mi-ai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Published : 2009.05.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milies and the kinship concepts in Korean laws based on meanings, boundaries, and functions. Korean culture is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raditional familism to democratic individualism, yet this is not a simple transition. In recent times, many people have come to look at family life from both traditional and individual perspectives, so their family values a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refore, this creates many family conflicts. As a result of this problem, I have analyzed families and the kinship concepts in Korean laws based on meanings, boundaries, and functions. Because laws regulate and reflect our everyday life, it is meaningful to review these law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meaning of family in Korean laws is to respect other family members, and democratic family relationships. Second, the family boundaries are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 laws. The core boundary is the nuclear family, but in addition to the nuclear family, the parents of the wife and husband, the family of origin and the kin living together are included in the family member regulations. Third, the functions of the family are caring, education, rules for the living place, child discipline, supporting each other, guardianship for the family members, succession of family assets, and legal accusation rights. Kin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child guardianship, permission of a minor to marry, and authority over legal incompetency. Therefore, there are some contradictions between individualism and patriarchy in Korean laws, and these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conflicts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everyday life.

Keywords

References

  1. 고현선(1994). 부부의 자아분화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 9, 3-20
  2. 김경동, 이온죽(1994). 사회조사연구방법. 서울: 박영사
  3. 김규원(1995).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치관. 가족학논집 7, 213-255
  4. 김엘림, 조승현(2005). 생활법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5. 김엘림, 조승현, 최정학(2009). 생활법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6. 김철수(2002). 헌법학신론. 서울:박영사
  7. 김혜선, 박혜인, 옥선화(2003). 가족관계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8. 김혜선, 박혜인, 홍형옥(2004). 한국가정생활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9. 김혜숙, 김은희, 김항원, 유처인, 장현섭(1999). 한국가족/친족 연구의 쟁점. 가족과문화 11(1), 1-22
  10. 김혜영(1996). 한국 가족문화의 계급별 특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경제와 사회 1(31), 240-262
  11. 노명호(1987). 고려시대 친족조직의 연구상황. 중앙사론 5, 173-189
  12. 박부진(1996).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가족연구를 위한 인류학적 접근. 인문과학 연구논총 14, 279-294
  13. 배경숙(1988). 청소년 범죄의 문제점과 그 대책. 학생생활연구 9, 47-91
  14. 변화순(1992). 가족의식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서울과 후쿠오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35권.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5. 변화순, 최윤정(2004). 가족정책 방향 정립 및 통합적 시행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6. 성미애(2006a). 중년 기혼남녀의 가족/친족 개념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39차 춘계학술대회지, p.303
  17. 성미애(2006b).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가족의 양계화 현상에 대한 진단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59-72
  18. 신영호(2001). 현행 민법상 친족의 의의와 범위. 현대민사법학의 과제. 서울: 관원정조근교수화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19. 안호용(2000). 한국 가족변화의 사회적 의미. 한국사회 제3집, 89-132
  20. 양옥경(2001).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175-199
  21. 양창수(1997). 민법연구. 서울: 박영사
  22. 양현아(2007). 한국 가족과 국가의 관계 고찰: 최근 가족관계법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젠더법학회 제1차 심포지움 발표 논문. pp. 6-29
  23. 오청미, 최연실(2006).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Bowen이론과 McMaster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199-223
  24. 옥선화, 김주희, 박혜인, 신화용, 한경혜(2000). 가족/친족 구조의 해체와 재구성.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사회과학 중점영역 연구 결과 보고서
  25. 옥선화, 성미애, 신기영(2000). 도시 및 농촌 거주자의 가족 및 친족관련 가치관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8(9), 1-20
  26. 유계숙(2004). 건강가족을 위한 가족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성인의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173-180
  27. 유계숙, 유영주(2002).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5), 79-94
  28. 유영주, 김경신, 김순옥(1996). 가족관계학. 서울: 교문사
  29. 이광규(1986).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서울: 일지사
  30. 이광자(1988). 우리나라 친족관계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연구-도시 중산층 핵가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이동원, 김현주, 최선희, 함인희, 김선영(2002). 한국가족의 현주소. 서울: 학지사
  32. 이병화(2003). 현대법학개론. 서울: 에듀컨텐츠
  33. 이상욱(2002). 친족편 제1장 총칙·제6장 친족회의 개정 필요성과 개정방향. 가족법연구 16(2), 41-76
  34. 이영숙, 박경란(2002). 청년과 중년의 가족개념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0(10), 217-230
  35. 이재경(1999).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 한국여성학 15(2), 55-86
  36. 이효재(1990). 한국가부장제의 확립과 변형. 한국가족론. 서울: 까치
  37. 임규철(2002). '가족'의 헌법상 의미에 관한 비판적 고찰. 헌법학연구 9(1), 459-486
  38. 장경섭(1994). 가족과 정치생활.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경문사
  39. 장현섭(1994). 가족의 미래.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경문사
  40. 정현숙, 옥선화(2008). 가족관계.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41. 조 은(1983). 산업화와 신가부장제. 한국사회 어디로 가나. 서울: 현대사회연구소
  42. 조은경, 정혜정(2002)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6
  43. 조은숙, 옥선화(1995). 가족상 연구의 접근법 및 그 적용. 대한가정학회지 33(1), 111-123
  44. 조정문(1997). 한국사회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13(1), 87-114
  45. 최홍기(2006). 한국 가족 및 친족제도의 이해: 전통과 현대의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46. 한경혜, 성미애, 진미정(2006). 가족발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47. 한경혜, 윤성은(2004).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세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7(2), 177-203
  48.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가족특별위원회(2005). 한나라당 가족 up-grade 비전-신가족주의와 가족의 삶의 질 증진-자료집
  49. 홍지윤(2003). 보웬의 가계도를 활용한 부부의 자아분화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결혼 5년이내 부부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Carter, B., & McGoldrick, M.(1989).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Boston: Allyn & Bacon
  51. Gubrium, J. F., & Holstein, J. A.(1990). 가족이란 무엇인가? 최연실, 조은숙, 성미애 (공역). 서울: 도서출판하우. (1997년 원저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