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Music Abilities and Multiple Intelligences

유아의 국악능력과 다중지능간의 관계

  • Received : 2008.12.31
  • Accepted : 2009.03.13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spects of multiple intelligences related to rhythm, melody,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ubjects were 60 4-to 6-years-old children. Instruments were the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Music (KTM) Ability Test (Park 2006)and Korean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Assessment Scale-My Young Child (MIDAS-MYC, Shearer, 1996).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t-test. Findings were that (1) average scores on KTM rhythm and understandings were higher than melody and representation. (2) Traditional rhythm ability correlated most with linguistic intelligence. (3) Multiple intelligences by representation ability for KTM differed significantly in Linguistic intelligence and relationships to Naturalist, Musical, Logical-mathematical, Interpersonal,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s.

Keywords

References

  1. 문용린 . 유경재 . 전종희 . 엄채윤(2007). 개인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중지능 하위요소의 재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1(2), 283-309.
  2. 문화관광부(2005). 유아국악교육 실태조사.
  3. 박성순(2005). 전래동요를 활용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청구논문.
  4. 박형신(2006).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 개발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박사학위청구논문.
  5. 박형신 . 김영옥 . 김영연(2006). 국악요소의 이해 및 표현에 대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 분석. 열린유아교육, 11(3), 47-75.
  6. 박형신 . 김영옥(2007).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아동학회지, 28(1), 37-54.
  7. 석문주(2002).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 음악교육연구, 22, 29-57.
  8. 성용혜 . 문미옥(2003). 유아 국악장단 수업 모형의 개발 및 효과 연구- Orff의 청음중심 단계적 지도법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4), 89-102.
  9. 손경아(2007).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청구논문.
  10. 안재신(2003).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음악교육연구, 24, 67-83.
  11. 양옥승 . 신화식 . 이경옥 . 황혜경 . 김승옥(2004). 교사가 평가한 유아 다중지능 평가도구의 구조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5(4), 115-128.
  12. 엄성은 . 홍은주(2003). 전래동요를 활용한 자연 친화교육의 방향 모색. 국악과 교육. 21, 201-228.
  13. 원영실(2007). 국악교육과 아동의 지적 능력간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국악과 교육 25, 181-210.
  14. 유지연(2002). 수학, 음악 통합 활동이 유아의 패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유아교육과정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임은애(2008). 통합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7(4), 19-34.
  16. 조흥기(2004). 코다이 음악교육.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7. 최미향(2003). 취학 전 유아의 타악기를 이용한 국악수업. 한국음악사학회, 30, 725-748.
  18. 최은식 . 권덕원 . 석문주 . 정재은(2007). 초 . 중등 학생을 위한 음악 인지능력 검사도구의 개발. 음악교육연구. 32, 183-206.
  19. 星野圭朗.(2007). 일본 오르프 슬베르크(김규식 . 맹삼주 공역). 한국 오르프 음악교육 연구소.
  20. Cheek, J. M., & Smith, L. R. (1999). Music training and mathematics achievement. Adolescence, 759-761.
  21. Fujit., F. (Eds.). (1990). The intermediate performance between talking and singing from an observational study of Japanese children's music activities in nursery schools. Music education : Facing the future. Christchurch, New Zealand : ISME.
  22. Gardner, H. (1993).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마음의 틀(이경희 역주). 서울 : 문음사(1983년 원전 발간).
  23. Gordon. E. E. (1991). Guiding your child's musical development. Chicago, IL; GIA publication.
  24. Gordon, E. E. (1997).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IL : GIA publication.
  25. Kolb, G. R. (1996). Read with a beat. The Reading Teacher. 50(1), 76-77.
  26. Lamb, S., & Gregory, A.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reading in beginning readers. Education Psychology, 13(1), 19-27. https://doi.org/10.1080/0144341930130103
  27. Lang, S. S. (1999). Music-good for Dot only the soul, but the brain. Human Ecology Forum, 27, 24-25.
  28. Lloyd, M. J. (1978). Teach music to aid beginning readers. The Reading Teacher, 32, 323-327.
  29. Lynn, W., & Gault (1989). Simple music tests as measures of spearman's g. Pers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1), 25-28. https://doi.org/10.1016/0191-8869(89)90173-6
  30. Orff, C. (1974). The orff music therapy. London : Schott.
  31. Schellenberg, E. G. (2004). Music lessons enhance IQ. Psychological Science. 15(8), 511-514. https://doi.org/10.1111/j.0956-7976.2004.00711.x
  32. Schellenherg, E. G. (2005). Music and cognitive abilities. Current Directions Psychological Science, 14(6), 317-320. https://doi.org/10.1111/j.0963-7214.2005.00389.x
  33. Shilling, W. A. (2002). Mathematics, music, and movement exploring concepts and connec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3), 179-184. https://doi.org/10.1023/A:1014536625850
  34. Sloboda, J. A, Davidson, J. W, Howe, M. J. A., & Moore, D. G. (1996). The role of practice in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musician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7, 287-309. https://doi.org/10.1111/j.2044-8295.1996.tb02591.x
  35. Suzuki, S. (1973). The Suzuki concept. San Francisco : Diablo Press.
  36. Weinberger, N. M. (1998). The music in our mind. Educational Leadership November, 36-40.
  37. Wiggins, D. G. (2007). Pre-K music and the emergent reader promoting literacy in a music-enhanced environ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5(1), 55-64. https://doi.org/10.1007/s10643-007-01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