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직업교육경험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 천의영 (수원여자대학 간호보건학부) ;
  • 남영희 (수원여자대학 간호보건학부) ;
  • 권현주 (수원여자대학 간호보건학부)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395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from 2 universities and 2 colleges located in Incheon city,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 to 20, 2008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 For the difference b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scor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3.415), high school style(F=2.661), subject economic status(F=3.627), subject satisfaction of school life(F=7.964), subject health status(F=6.507). For the correlation of major variable,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from friends, social support from family, social support from professor,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a regression analysi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beta$=.378), social support from friends($\beta$=.198), age($\beta$=.124), grade($\beta$=-.161)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career attitude maturity(32%).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activates the social network from friends and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 administration considering these findings.

Keywords

References

  1. 감효정 대학의 의무기록 교과과정에 대한 분석[석사학위논문], 부산: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1999
  2.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및 전문대학 정보. http://www.mest.go.kr;2009
  3.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1994
  4. 김명아, 임지영, 김숙영, 김은정, 이종은, 고유경. 간호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04;13(4):383-389
  5. 김연희.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1998
  6. 김영태.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원광대 학술지 2005;34:81-104
  7. 김재호.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2006
  8. 김희성.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2
  9. 남영희, 권현주, 천의영. 2년제 보건행정과와 의료정보과 대학생의 진로준비 경험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수원여대 논문집 2008;115-134
  10. 박지영. 인문계 고교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적응성과 진로 의사 결정과의 관계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1995
  11. 손정순.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 사회적지지 및 자기 통제력의 차이[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2008
  12. 신혜영. 대안학교 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4
  13. 윤영란.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 상담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상명대학교 대학원;2008
  14.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1997
  15. 이기학.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 상담연구 2003;11(1):13-21
  16. 이기학, 이학주.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000;12(1):127-136
  17. 이상희. 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2005
  18.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2001
  19. 이현진.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9
  20. 장석민, 임두순, 송병민.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21. 정옥미.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2006
  22. 조지혜.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2007
  23. 최원호, 이태정. 전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 체계 유형과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의 관계,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2003;7:389-412
  24. 홍미리. 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준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5
  25.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997
  26. Creed PA, Patton W.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and career knowledge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paid work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2003;3(1):21-33 https://doi.org/10.1023/A:1022674528730
  27. Creed PA, Patton W. Predicting two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in school based adolesc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003;29(4):277-290 https://doi.org/10.1023/A:1022943613644
  28. Crites JO. Manual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for adults. Monterey, California: CTB/McGraw-Hill, 1978
  29. Hackett G, Betz NE.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81;18: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30. Lee S-K. The relationship of family interaction to Korean high school girls' career attitude matu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2003;4(2):1-14
  31. Luzzo DA.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1993;26: 137-142
  32. Penick MF. Student characteristic as predicator of vocational attitude maturity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2
  33. Peterson SL, Delmas RC. The component structu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underprepar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1998;24(3):209-226 https://doi.org/10.1023/A:1025029718715
  34. Taylor KM, Betz NE.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 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83;22: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