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hoff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ants from Artificial Grassland

강우시 인공 초지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상관성

  • 이정용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
  • 최지연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재운 (금강물환경연구소) ;
  •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09.11.24
  • Accepted : 2009.12.30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ecently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has been changed from managing the point source to controlling the nonpoint sources (NPSs) because of TMDL program. Most NPSs are accumulated on the surface during dry periods. These accumulated pollutants are washed-off during a storm event and highly impai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receiving water bodies. Usually NPS has high uncertainty and is hard to control because of the variability of the rainfall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Also, NPS is derived from various land us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s studying and monitoring the pollutant loads from each land use since 2007 to determine the unit pollutant loads. This research was a part of long-term monitoring program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washoff and provide the mean EMC of artificial grassland. The average EMCs result of BOD, COD, DOC, SS, TN, NH4-N, NO3-N, TP, and PO4-P of the artificial grassland were deterined to 8.2, 17.5, 11.3, 110.1, 3.07, 0.20, 0.75, 0.86 and 0.08 mg/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conducted showed a low correlation to the contaminants.

현재까지 국내의 수질관리 정책은 점오염원 관리를 우선시 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점오염원의 관리에도 불구하고 호소수의 수질은 악화되고 있다. 비점오염원은 강우 시 발생하는 오염원으로 토지이용에 따라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양이 달라 불확실성이 큰 오염원이므로 점오염원과 함께 비점오염원의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다양한 토지이용 중에서 인공초지(공원 묘지) 지점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기 때문에 원단위를 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초지(공원 묘지) 지점으로부터 강우 시 유출수와 함께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강우 초기에 오염물질의 농도는 비교적 높게 유출되는 현상을 나타냈으며, 강우가 지속될수록 오염물질의 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첨두유량이 발생하면서 유출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오염물질별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부하량과 원단위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이형, 강주현(2004).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EMC 및 부하량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지, 20(6), pp. 631-640.
  2. 김이형, 이선하(2005). 강우시 주차장 및 교량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특성 비교 및 동적 EMCs, 한국물환경학회지, 21(3), pp. 248-255.
  3. 신민환, 신용철, 허성구, 임경재, 최중대(2007). 농업 및 산림유역의 강우유출수 유량가중평균농도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9(6), pp. 3-9.
  4. 신은성, 최지용, 이동훈(2001). 토지용도와 유역특성을 고려한 비점오염물질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17(2), pp. 137-146
  5. 원철희, 최용훈, 서지연, 김기철, 신민환, 최충대 (2009). 산림과 밭 지역 강우 유출수의 EMC 및 원단위 산정,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4), pp.615-623
  6. 이은주, 고석오, 강희만, 이주광, 임경호, 이병식, 김이형(2006). 고속도로 노면유출수의 중금속 유출 특성 및 상관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2(1), pp. 128-133.
  7. 이치타오, 허진휴, 김영철(2008). 농촌지역에서 유출시간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4(6), pp. 773-783
  8. 주진호, 정영상, 양재의, 옥용식, 오상은, 유경렬, 양수찬(2007). 낙동강 수계 고령지 밭의 비점오염 물질 유출 특성 조사 및 단위 유출량 산정, 한국환경농학회지, 26(3), pp. 233-238
  9. 최지연, 이소영, 김이형(2009). 산림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EMC 산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9(4), pp. 129-134.
  10. 환경부(2004). 관계부처합동 [물관리 종합대책]의 추진강화를 위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 대책.
  11. 환경부(2006a).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
  12. 환경부(2006b). 물환경관리기본계획
  13. 환경부(2008).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금강수계관리위원회
  14. 환경부(2009). 강우유출수조사방법
  15. Irish, Jr. L.B., Barrett, M.E., Malina, Jr. J.F., and Charbeneau, R.J. (1998) Use of Regression models for analyzing highway storm-water loads. Journal of Environ. Engg., 124(10), pp. 987-993.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8)124:10(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