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Runoff Variation due to Urbanization in Cho-kyung Stream Watershed

조경천 유역의 도시화에 따른 유출 변화 추이 분석

  • 최정화 (국토해양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남원국도관리사무소) ;
  • 이정주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9.12.09
  • Accepted : 2009.12.29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ainfall-runoff procedures of urban area are more complicated than agricultural procedures. Extension and development of town leads to shift of the basin characteristics and it makes more difficult to use runoff models.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hydrologic circumstances and the shape of hydrograph due to the urbanization in Cho-kyung river basin has been assessed which is the representative urban stream in Jeonju city. The urbanization can be classified as four typical year. The natural basin period(1924) that is before the urban development, the period of construction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ampus (1963), the period of construction of residential area(1986), and urbanization process has been finally completed in 1995. The rainfall-runoff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 under condition of the basin characteristics and impervious area of each period. It was found that hydrologic characteristics such as river length, roughness coefficient, and coefficient of surface storage has been decreased. According to the land use change, the pervious area was decreased from 97.7% to 42%, while the impervious area was increased from 0.6% to 34%. The time of concentration was shorten from 90 minutes to 37 minutes. Along with decreasing the time of concentration, the peak discharge was increased from $4.37m^3/s$ to $111.13m^3/s$, and the runoff rate was also increased from 0.8% to 68%.

도시 지역의 강우-유출 과정은 자연유역과 비교하여 보다 복잡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도심의 확장과 개발로 인해 유역의 특성들이 변화하고, 이로 인해 유출 모형의 적용 또한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의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조경천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화의 진행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와 강우-유출 형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도시화 정도에 따라 도시화가 진행되기 전인 자연유역기(1924), 전북대학교 조성기(1963), 주거단지 조성기(1986), 도시화 완료기(1995)로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별 유역특성자료와 불투수면적 등의 입력자료를 기반으로 SWMM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을 분석하였다. 단계별 배수계통도에 의하면, 유로연장, 조도계수, 지표면 저류계수는 감소하였고, 토지이용 상태는 투수면적이 97.7%에서 42%로 감소하였고, 불투수 면적은 0.6%에서 34.0%로 증가하였다. 도달시간은 90분에서 37분으로 감소하였고, 첨두유량은 $4.37m^3/s$에서 $111.13m^3/s$로 증가 하였으며, 유출률은 0.8%에서 68%로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규우, 허준행, 조원철 (1996), 도시화에 따른 유출영향분석 및 침수저감대책에 관한 연구-부평(2) 배수권역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16, No.II-5, pp. 421-431.
  2. 성효현 (1996), 수도권지역 개발에 따른 자연재해 특징분석 : 안양천 유역분지에서 잠재적 수해 특성 분석,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Vol.4, No.1, pp. 21-42.
  3. 윤용남, 강병석, 김웅태, 김재형, 고익환 (1998), 댐 건설전후 유역의 장기유출특성변화의 분석 II. 모형의 매개변수 산정을 통한 유역 장기유출특성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18, No.II-5, pp. 461-468.
  4. 윤태훈 (1997), 응용수문학, 청문각.
  5. 임창수 (2007),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후변화 II(도시화가 기준 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ol.40, No.7, pp. 571-583
  6. 임창수, 채효석 (2007),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후변화 I(연 물수지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ol.40, No.7, pp. 555-570
  7. 전라북도 (2001), 조경천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8. 정동국, 이범희 (2003), 도시유출 모형을 이용한 도시화 유역의 유출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ol.36, No.1, pp. 75-85.
  9. 진은진 (2001), 도시화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SCS 유출모형을 활용한 저류 용량산정에 관하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10. Chow, V. T., D. R. Maidment, et al. (1988). Applied hydrology. New York, McGraw-Hill.
  11. Liong, S. Y., W. T. Chan, et al. (1995), Peak-Flow Forecasting with Genetic Algorithm and Swmm,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Asce, 121(8), pp. 613-617.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5)121:8(613)
  12. Metcalf & Eddy. (1971).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Washington, D.C.,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ter Quality Office.
  13. Obled, C. and I. Zin (2004), TOPMODEL: basic principles and a test case, Houille Blanche- Revue Internationale De L Eau(1), pp. 65-77.
  14. Rodriguez, F., C. Cudennec, et al. (2005), Application of morphological approaches to determine unit hydrographs of urban catchments, Hydrological Processes, 19(5), pp. 1021-1035. https://doi.org/10.1002/hyp.5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