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gineering Properties of Liquefied Stabilized Soil by Contents of Humic Acid

휴믹산 함유량에 따른 유동화 처리토의 공학적 특성

  • 한상재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연구소) ;
  • 안동욱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
  • 박재만 ((주)지성ECS) ;
  • 김수삼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09.06.24
  • Accepted : 2009.09.02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A conventional way of backfilling has used sand or in-situ soil. It not only requires substantial amount of time and cost but also makes it particularly difficult to fill the bottom part and small cracks of a pipe. To address the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mpaction, liquefied stabilized soil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because it reuses in-situ soil which can ensure sand supply while adjusting flowability and strength of the soil with design of mix proportion. With an aim to identify the mixing properties of liquefied stabilized soil depending on the organic content of in-situ soil, this study conducted indoor tests of material segregation, flowability, strength, and permeability by changing humic acid content of the soil. The results revealed that material segregation and flowability increased proportionally while strength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humic acid. In the mean time, permeability of liquefied stabilized soil wasn't affected by organic content.

전통적인 되메우기 방법은 모래 또는 현장발생토를 다짐하는 공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특히 관의 하부 및 작은 틈새와 같은 부분은 전통적인 다짐 공법으로는 다지기가 난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장토를 재활용함으로써 모래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배합설계를 통해 유동성 및 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유동화 처리토 공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토의 유기물 함유량에 따른 유동화 처리토의 배합 특성을 파악하고자, 휴믹산 함유량에 따른 재료분리특성, 유동성, 강도특성, 투수특성을 실내실험을 통해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휴믹산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재료분리 특성과 유동성은 크게 나타났고, 강도는 유기물 함유량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기물 함유량은 유동화 처리토의 투수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도(2002) 왕겨재를 이용한 토질 안정처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 박흥규, 구제민(2001) 영동지역 유기물토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제2권 제1호, pp. 23-30.
  3. 송태협. 이세현, 서치호(2004) CSA를 사용한 플라이애시 시멘트의 수화 및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2호, pp. 395-398.
  4. 원종필, 이용수(2001) Bottom Ash를 혼합한 저강도 고유동 충전재의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3권 제3호, pp. 294-300.
  5. 안병호(2002)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주문진 표준사의 특성연구,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6. 이창훈(2005) Peat moss로부터 추출한 Humin의 특성 규명 및 중금속 흡착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7. 조대호(2007) 급결성 유동화 처리토의 물리적 특성과 배합설계 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8. 천선호, 정상섬, 이대수, 김대홍(2006) 굴착 잔토를 재활용한 지중전력구조물 뒷채움재의 역학적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5C호, pp. 303-312.
  9. 久野苦郞, 三木博史, 吉原正博(1997) 流動化理土の一軸壓縮强さに 關する一考察, 第32回地盤工學硏究發表會, pp. 2453-2454.
  10. 柳澤榮司(2004) 再生材の基礎工への活用, 2004年 7月號, Vol. 32, No. 7.
  11. Stevenson, F.J. (1982) “Organic forms of soil nitrogen”, In F.J. Stevenson (ed.) Nitrogen in agricultural soils. Agron. Monogr. 22. ASA and SSSA, Madison, WI. pp. 67-114.